목차
Ⅰ. 서론
1. 연구목적과 의의
2. 연구방법
3. 연구범위
4. 논문 전개 방식
5. 개념설명
(1) 엘리뇨(El Nino)
(2) 남방진동(Southern Oscillation)
Ⅱ. 본론 : 엘리뇨의 발생원인 분석
1. 대기의 변화
2. 해양의 변화
Ⅲ. 결론
<참고문헌>
1. 연구목적과 의의
2. 연구방법
3. 연구범위
4. 논문 전개 방식
5. 개념설명
(1) 엘리뇨(El Nino)
(2) 남방진동(Southern Oscillation)
Ⅱ. 본론 : 엘리뇨의 발생원인 분석
1. 대기의 변화
2. 해양의 변화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엘리뇨 현상을 나타낸다.
2. 해양의 변화 : 적도반류의 강화(해류순환의 정체)
증가된 온실기체에 의한 온실효과의 강화로 인해 나타나는 지구온난화는 평균기온을 증가 시킨다. 이러한 온도상승은 해수의 열팽창을 촉진시킨다. 지구의 자전에 의해 생기는 전향력으로 인해 해류순환계의 중심이 서쪽에 치우쳐있는 서안강화현상으로 서태평양에 많은 양의 난류가 모이게 되어 더욱 해수의 열팽창을 촉진시키게 된다. 해수표면의 경사가 더욱 커지게 되어 다시 평형상태로 되돌아갈 때 흐르는 해류인 경사류의 강도가 커지게 된다.
즉 서태평양에서 동태평양으로 흐르는 적도반류의 흐름이 거세게 된다는 것이다. 강화된 적도반류는 동태평양에서 서태평양으로 흐르는 남적도 해류의 흐름을 막게 되어 해류순환 의 정체를 야기 시킨다.
<지구의 대기대순환>
Ⅲ. 결론
현재까지 연구로 봤을 때, 엘리뇨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 왜냐하면 거대한 규모와 대기와 해양의 상호작용 등으로 인해 엘리뇨의 원인이 모호해지기 때문이다. 결국 대기의 변화와 해양의 변화가 가장 유력한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엘리뇨가 자연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임이 밝혀진 이상, 분명히 예전에도 엘리뇨는 있었다. 하지만 지금은 비이상적인 엘리뇨가 지구의 기후를 교란시키고 있다. 과거에 비해 지구가 변한 것은 평균기온의 상승,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비율 증가인 것이다. 그러므로 대기의 변화가 엘리뇨의 가장 큰 이유인 것이다. 비이상적인 엘리뇨의 발생을 줄이기 위해서는 인간의 활동으로 인한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줄여야한다.
<참고문헌>
-인터넷 사이트
http://rose0.knu.ac.kr/%7Ez9928019/effectofelninoother.htm
http://www.climate.go.kr/m2_science/celrinyo.htm-기후변화 정보센터
http://www.kma.go.kr/climate/elnino/eln_3.htm
http://www.sisite.co.kr/yu/8_simchung/mobum/earth/earth-06.htm
http://sigma101.nazip.net/menu_4_data/elnino.htm
매들린 내쉬, 『엘리뇨의 비밀』, 중심, 2006
Huet와 Sylvestre, 『기수의 반란』, 궁리출판, 2002
홍준석, 「엘리뇨 현상과 한국의 지역별 강수량 분포의 관계」, 06년 졸업논문
김미정, 「엘리뇨 현상과 한국의 강수량」, 02년 졸업논문,
2. 해양의 변화 : 적도반류의 강화(해류순환의 정체)
증가된 온실기체에 의한 온실효과의 강화로 인해 나타나는 지구온난화는 평균기온을 증가 시킨다. 이러한 온도상승은 해수의 열팽창을 촉진시킨다. 지구의 자전에 의해 생기는 전향력으로 인해 해류순환계의 중심이 서쪽에 치우쳐있는 서안강화현상으로 서태평양에 많은 양의 난류가 모이게 되어 더욱 해수의 열팽창을 촉진시키게 된다. 해수표면의 경사가 더욱 커지게 되어 다시 평형상태로 되돌아갈 때 흐르는 해류인 경사류의 강도가 커지게 된다.
즉 서태평양에서 동태평양으로 흐르는 적도반류의 흐름이 거세게 된다는 것이다. 강화된 적도반류는 동태평양에서 서태평양으로 흐르는 남적도 해류의 흐름을 막게 되어 해류순환 의 정체를 야기 시킨다.
<지구의 대기대순환>
Ⅲ. 결론
현재까지 연구로 봤을 때, 엘리뇨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 왜냐하면 거대한 규모와 대기와 해양의 상호작용 등으로 인해 엘리뇨의 원인이 모호해지기 때문이다. 결국 대기의 변화와 해양의 변화가 가장 유력한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엘리뇨가 자연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임이 밝혀진 이상, 분명히 예전에도 엘리뇨는 있었다. 하지만 지금은 비이상적인 엘리뇨가 지구의 기후를 교란시키고 있다. 과거에 비해 지구가 변한 것은 평균기온의 상승,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비율 증가인 것이다. 그러므로 대기의 변화가 엘리뇨의 가장 큰 이유인 것이다. 비이상적인 엘리뇨의 발생을 줄이기 위해서는 인간의 활동으로 인한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줄여야한다.
<참고문헌>
-인터넷 사이트
http://rose0.knu.ac.kr/%7Ez9928019/effectofelninoother.htm
http://www.climate.go.kr/m2_science/celrinyo.htm-기후변화 정보센터
http://www.kma.go.kr/climate/elnino/eln_3.htm
http://www.sisite.co.kr/yu/8_simchung/mobum/earth/earth-06.htm
http://sigma101.nazip.net/menu_4_data/elnino.htm
매들린 내쉬, 『엘리뇨의 비밀』, 중심, 2006
Huet와 Sylvestre, 『기수의 반란』, 궁리출판, 2002
홍준석, 「엘리뇨 현상과 한국의 지역별 강수량 분포의 관계」, 06년 졸업논문
김미정, 「엘리뇨 현상과 한국의 강수량」, 02년 졸업논문,
추천자료
환경문제 (환경오염 사회문제 사회복지)
[환경오염]다양한 사례로 살펴본 환경오염의 현황과 대처에 관하여(근대화와 환경문제, 환경...
[환경오염][대기오염][수질오염][토양오염][환경오염 방지 정책][환경보존][환경보전][환경문...
환경문제와 불교사상(불교의 관점에서 본 환경문제)
Environmental Ethics as a Means of Wilderness Preservation and Environment Protection(...
여성건강(여성의 건강)의 의미와 쟁점, 여성건강(여성의 건강)과 인공유산문제와 노동환경문...
[과학기술][과학기술정책][과학기술전략][국제협력][환경문제]과학기술의 역할, 과학기술의 ...
[환경윤리] 환경라운드(GR) 및 환경문제의 유형과 환경공해의 영향, 환경오염의 규제제도와 ...
5)사회-3. 자연재해와 환경문제 - 우리 가족 환경 일지를 바탕으로 환경 문제를 파악해보기
한국사회와 지역발전 및 환경문제,환경오염사례.환경오염,환경과지역발전,환경오염과정부,환...
환경문제에 대한 목회적 해결방안 - 환경문제에 대한 교회의 태도
기업의 사회성 (기업의 사회공헌, 기업의 환경문제 대응방안, 사회공헌과 이익추구와의 조화,...
환경문제와 기업,지구환경문제와 기업의 대응과 역할,변화하는 기업의 목적과 기업경영
[국가경제와 환경마인드] 환경악화 및 환경정화의 비용, 환경오염과 건강, 환경문제해결을 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