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초기자료
2. 과거력 및 치료계획
3. 간호과정
4. 간호진단 및 중재
진단1. <수술부위(오른쪽 전완 위쪽)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진단2. <수술부위 관리와 관련된 말초 신경 혈관 기능 장애 위험성>
진단3. <소양감과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 위험성>
진단4. <수술의 효과와 수술 후 합병증과 관련된 지식 부족>
5.reference
2. 과거력 및 치료계획
3. 간호과정
4. 간호진단 및 중재
진단1. <수술부위(오른쪽 전완 위쪽)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진단2. <수술부위 관리와 관련된 말초 신경 혈관 기능 장애 위험성>
진단3. <소양감과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 위험성>
진단4. <수술의 효과와 수술 후 합병증과 관련된 지식 부족>
5.reference
본문내용
g
흔히 제한
하지 않음
(3) Plan : HD(혈액 투석)을 하기 위해 AVF(동정맥루 수술)
◎ HD(혈액 투석)란?
말기 신부전증 환자에게 시행되는 신 대체 요법의 하나로 환자의 혈액이 특수한 관을 타고 체외로 나와서 특수한 필터(투석기)를 통해 노폐물 및 수분이 걸러진 후 체내로 다시 주입되는 치료 방법으로 치료 시간은 1회 4시간, 주 3회로 일주일에 12시간 투석하는 것이 표준 혈액 투석이며, 환자의 상태에 따라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혈액 투석은 반투막을 경계로 한쪽에는 노폐물이 축적된 환자의 혈액과 다른 한편에는 정상인의 세포외액과 조성이 비슷한 투석액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흐르도록 하여 혈액 내에 축적된 요소와 다른 노폐물을 포함한 용질을 농도 차이에 의한 확산에 의해 제거하고 정수압의 차이를 만들어 혈장을 한외 여과시켜 혈장내의 과다한 수분을 제거하는 원리를 이용하고 있다.
장점
병원에서 시행되므로 안전하며 의료요원이 치료를 담당하며 다른 환자와 의료요원과의 정기적 접촉이 가능하며 폐기능의 장애를 초래하지 않는다.
단점
동정맥루를 만들기 위한 수술이 필요하며 고정된 스케줄로 기계에 시간이 구속되며 혈액내 전해질 변화가 심하며 심장 혈관계에 부담을 줄 수 있고 투석간 식이 요법 및 수분 섭취 제한이 필요하다.
◎ AVF란?
혈액 투석을 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혈류 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큰 혈관이 필요해 보통의 말초 혈관으로는 시행할 수 없으므로 간단한 수술을 통해 환자의 팔과 다리 등에서 동맥과 정맥을 연결하여 혈관을 굵게 만든다. 동정맥루는 보통 손목 부위에 만들지만 손목 부위에 혈관이 좋지 않을 경우 팔의 상부 또는 다리의 대퇴부 등 여러 부위에 만들 수 있다. 혈관상태에 따라서 환자 자신의 동맥과 정맥을 직접 연결하거나 환자의 동맥과 정맥사이에 인조혈관을 삽입하여 연결하기도 한다. 수술 후 2-3주가 지나서 혈관이 잘 자라면 동맥측과 정맥측에 각각 바늘을 삽입하여 투석할 수 있으며, 동정맥루가 잘 형성되도록, 또한 잘 유지되도록 혈관관리를 해야 한다.
◎ AVF 수술 전 간호
AVF 수술 전에는 금식 할 필요는 없다.
수술 부위의 피부 간호를 한다. ←제모크림으로 수술 부위의 털을 제거한다.
응급 상황을 예비하여, 18G로 정맥 주사로를 준비한다.
D5W 500mg을 투여한다. 단, 당뇨가 있기 때문에 다 투여하지는 않는다.
동의서를 준비한다.
on-call이 오면 항생제를 투여한다. (∵감염)
◎ AVF 수술 부위
일반적으로 왼팔 손목부위에 하지만, 이 환자는 이 부분의 혈관이 약해서 오른팔부위에 수술을 하였다.
3. 간호과정
(1)초기자료
①신체적자료(신체검진 및 검사 결과)
▶ 신체검진
<체중 변화>
3월 8일: 51kg → 3월 14일 50.2kg
<체온 변화>
3월 11일 : 37.2℃ → 3월 12일 38.4℃
3월 09일
183
11A
3월 10일
216
3월 11일
281
3월 12일
308
3월 13일
367
섭취
배설
3월 10일
경구:1600
정맥주입:400
합계 : 2000
자연배뇨:5
3월 12일
740
510
⇒검사 결과의 의미 : DM이므로 일정한 시간에 BST를 측정한다.
수술 후 체온이 증가하여 감염의 위험성을 보인다.
신부전 환자는 체내의 수분의 섭취와 배설량을 기록하여 간호한다.
▶ 수술 전 검사 결과 (3월 8일) : 일반 혈액 검사 및 혈액 응고 검사
신장 기능을 사정하기 위해 가장 흔히 이용하는 검사는 혈청 creatinine 검사, 혈액요소질소 검사, creatinine 청소율 검사 등이다. 이런 감사들을 일명 신기능 검사라고 한다.
결과
비교
참고치
관련 질환
Na
136
135~145 mmol/L
K
5.3
3.5~5.5 mmol/L
Cl
109
98~110 mmol/L
BUN
76
▲
10~26 mg/dL
신질환, 고단백 식이
위장관 출혈, 감염,
발열, 영양불량
Creatinine
5.6
▲
0.7~1.4 mg/dL
신질환
T. Bil.
0.5
0.2~1.2 mg/dL
Glucose
295
▲
70~110 mg/dL
당뇨
Calcium
7.5
▼
8.8~10.5 mg/dL
Phosphorus
4.5
2.5~4.5 mg/dL
Uric acid
6.7
3.0~7.0 mg/dL
신질환
Chol.
108
0~240 mg/dL
Alk. phos.
109
30~115 IU/L
CRP
0.61
0~1.0 mg/dL
감염
aPTT
30.2
29~45 sec
PT INR
1.09
0.8~1.2 INR
PT %
88
80~120 %
PT sec
13.8
~ sec
Fibrinogen
485
▲
170~350 mg/dL
WBC
5.5
4.0~10.0 ×10³/㎕
신장, 요로계의 감염
면역 억제제 사용
RBC
2.83
▼
4.0~5.4 ×백만/㎕
Hb
8.7
▼
12~16 g/dL
만성신부전
Hct
26.1
▼
36~48 %
만성신부전
PLT
160
130~400 ×10³/㎕
※ BUN : 혈액요소질소치는 요소질소를 배설하는 신기능의 일반적인 지표로 단백질의 대사산물로서 간에서 합성되고 신장으로 배설된다. 그러므로 신장기능을 나타내는 동시에 간기능도 반영한다.
※ Creatine : 신장기능 검색으로 사구체 여과의 좋은 지표가 되며 BUN보다 특이성이 높다. 수치의 증가는 신장염, 요로 폐색, 신부전, 간소는 간 기능 장애, 근육 질환을 의미한다.
※ Uric acid : 단백대사에서 생성되는 질소성 산물로 퓨린의 최종 대사산물이다. 퓨린(purines)은 세포핵산 대사와 복합적인 단백식이 대사에서 생성된다. 혈청 내 요산 수치는 신기능 장애가 있거나 퓨린 대사 장애가 있을 때 상승한다.
※ hs-CRP : 여러 가지 염중 반응이나 조직 손상의 빠르고 예민한 지표이다. 가염 후 대개 14~26 시간 이내에 혈청 중에 출현하였다가 회복기에 차츰 소실된다.
※ 기타검사 : 만성 신부전 환자는 적혈구조혈호르몬 생성이 감소하므로 혈색소와 헤마토크리트치가 낮다. 백혈구는 요로계의 감염이 있으면 상승한다. 혈청 포타슘과 인의 수치는 급성 신부전과 요독증이 있을 때 상승하는데 고칼
흔히 제한
하지 않음
(3) Plan : HD(혈액 투석)을 하기 위해 AVF(동정맥루 수술)
◎ HD(혈액 투석)란?
말기 신부전증 환자에게 시행되는 신 대체 요법의 하나로 환자의 혈액이 특수한 관을 타고 체외로 나와서 특수한 필터(투석기)를 통해 노폐물 및 수분이 걸러진 후 체내로 다시 주입되는 치료 방법으로 치료 시간은 1회 4시간, 주 3회로 일주일에 12시간 투석하는 것이 표준 혈액 투석이며, 환자의 상태에 따라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혈액 투석은 반투막을 경계로 한쪽에는 노폐물이 축적된 환자의 혈액과 다른 한편에는 정상인의 세포외액과 조성이 비슷한 투석액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흐르도록 하여 혈액 내에 축적된 요소와 다른 노폐물을 포함한 용질을 농도 차이에 의한 확산에 의해 제거하고 정수압의 차이를 만들어 혈장을 한외 여과시켜 혈장내의 과다한 수분을 제거하는 원리를 이용하고 있다.
장점
병원에서 시행되므로 안전하며 의료요원이 치료를 담당하며 다른 환자와 의료요원과의 정기적 접촉이 가능하며 폐기능의 장애를 초래하지 않는다.
단점
동정맥루를 만들기 위한 수술이 필요하며 고정된 스케줄로 기계에 시간이 구속되며 혈액내 전해질 변화가 심하며 심장 혈관계에 부담을 줄 수 있고 투석간 식이 요법 및 수분 섭취 제한이 필요하다.
◎ AVF란?
혈액 투석을 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혈류 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큰 혈관이 필요해 보통의 말초 혈관으로는 시행할 수 없으므로 간단한 수술을 통해 환자의 팔과 다리 등에서 동맥과 정맥을 연결하여 혈관을 굵게 만든다. 동정맥루는 보통 손목 부위에 만들지만 손목 부위에 혈관이 좋지 않을 경우 팔의 상부 또는 다리의 대퇴부 등 여러 부위에 만들 수 있다. 혈관상태에 따라서 환자 자신의 동맥과 정맥을 직접 연결하거나 환자의 동맥과 정맥사이에 인조혈관을 삽입하여 연결하기도 한다. 수술 후 2-3주가 지나서 혈관이 잘 자라면 동맥측과 정맥측에 각각 바늘을 삽입하여 투석할 수 있으며, 동정맥루가 잘 형성되도록, 또한 잘 유지되도록 혈관관리를 해야 한다.
◎ AVF 수술 전 간호
AVF 수술 전에는 금식 할 필요는 없다.
수술 부위의 피부 간호를 한다. ←제모크림으로 수술 부위의 털을 제거한다.
응급 상황을 예비하여, 18G로 정맥 주사로를 준비한다.
D5W 500mg을 투여한다. 단, 당뇨가 있기 때문에 다 투여하지는 않는다.
동의서를 준비한다.
on-call이 오면 항생제를 투여한다. (∵감염)
◎ AVF 수술 부위
일반적으로 왼팔 손목부위에 하지만, 이 환자는 이 부분의 혈관이 약해서 오른팔부위에 수술을 하였다.
3. 간호과정
(1)초기자료
①신체적자료(신체검진 및 검사 결과)
▶ 신체검진
<체중 변화>
3월 8일: 51kg → 3월 14일 50.2kg
<체온 변화>
3월 11일 : 37.2℃ → 3월 12일 38.4℃
3월 09일
183
11A
3월 10일
216
3월 11일
281
3월 12일
308
3월 13일
367
섭취
배설
3월 10일
경구:1600
정맥주입:400
합계 : 2000
자연배뇨:5
3월 12일
740
510
⇒검사 결과의 의미 : DM이므로 일정한 시간에 BST를 측정한다.
수술 후 체온이 증가하여 감염의 위험성을 보인다.
신부전 환자는 체내의 수분의 섭취와 배설량을 기록하여 간호한다.
▶ 수술 전 검사 결과 (3월 8일) : 일반 혈액 검사 및 혈액 응고 검사
신장 기능을 사정하기 위해 가장 흔히 이용하는 검사는 혈청 creatinine 검사, 혈액요소질소 검사, creatinine 청소율 검사 등이다. 이런 감사들을 일명 신기능 검사라고 한다.
결과
비교
참고치
관련 질환
Na
136
135~145 mmol/L
K
5.3
3.5~5.5 mmol/L
Cl
109
98~110 mmol/L
BUN
76
▲
10~26 mg/dL
신질환, 고단백 식이
위장관 출혈, 감염,
발열, 영양불량
Creatinine
5.6
▲
0.7~1.4 mg/dL
신질환
T. Bil.
0.5
0.2~1.2 mg/dL
Glucose
295
▲
70~110 mg/dL
당뇨
Calcium
7.5
▼
8.8~10.5 mg/dL
Phosphorus
4.5
2.5~4.5 mg/dL
Uric acid
6.7
3.0~7.0 mg/dL
신질환
Chol.
108
0~240 mg/dL
Alk. phos.
109
30~115 IU/L
CRP
0.61
0~1.0 mg/dL
감염
aPTT
30.2
29~45 sec
PT INR
1.09
0.8~1.2 INR
PT %
88
80~120 %
PT sec
13.8
~ sec
Fibrinogen
485
▲
170~350 mg/dL
WBC
5.5
4.0~10.0 ×10³/㎕
신장, 요로계의 감염
면역 억제제 사용
RBC
2.83
▼
4.0~5.4 ×백만/㎕
Hb
8.7
▼
12~16 g/dL
만성신부전
Hct
26.1
▼
36~48 %
만성신부전
PLT
160
130~400 ×10³/㎕
※ BUN : 혈액요소질소치는 요소질소를 배설하는 신기능의 일반적인 지표로 단백질의 대사산물로서 간에서 합성되고 신장으로 배설된다. 그러므로 신장기능을 나타내는 동시에 간기능도 반영한다.
※ Creatine : 신장기능 검색으로 사구체 여과의 좋은 지표가 되며 BUN보다 특이성이 높다. 수치의 증가는 신장염, 요로 폐색, 신부전, 간소는 간 기능 장애, 근육 질환을 의미한다.
※ Uric acid : 단백대사에서 생성되는 질소성 산물로 퓨린의 최종 대사산물이다. 퓨린(purines)은 세포핵산 대사와 복합적인 단백식이 대사에서 생성된다. 혈청 내 요산 수치는 신기능 장애가 있거나 퓨린 대사 장애가 있을 때 상승한다.
※ hs-CRP : 여러 가지 염중 반응이나 조직 손상의 빠르고 예민한 지표이다. 가염 후 대개 14~26 시간 이내에 혈청 중에 출현하였다가 회복기에 차츰 소실된다.
※ 기타검사 : 만성 신부전 환자는 적혈구조혈호르몬 생성이 감소하므로 혈색소와 헤마토크리트치가 낮다. 백혈구는 요로계의 감염이 있으면 상승한다. 혈청 포타슘과 인의 수치는 급성 신부전과 요독증이 있을 때 상승하는데 고칼
추천자료
성인간호- 골절의 정의, 간호진단, 간호중재
[간호][가정간호][자가간호][재활간호][정신간호][노인간호][치매간호][간호중재][간호과정]...
성인 간호학 위암case/위암문헌고찰/위암병태생리/위암간호진단/위암간호중재/진행성위암/gas...
성인간호학-결핵 간호진단 및 간호중재
복막염, penperitonitis,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간호과정, SOAPIE, 간호진단, 간호사정,...
복막염, penperitonitis, 복막염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간호과정, 복막염 수술 후 관리,...
우측어깨회전근개파열, 간호과정, case study,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 간호사정, 간호계획,...
심근경색증, 심근경색증간호과정, MI, 간호과정, SOAPIE, 심근경색증 병태생리, 심근경색증상...
복막염, penperitonitis,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간호과정, SOAPIE, 간호진단, 간호사정,...
복막염, penperitonitis,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간호과정, SOAPIE, 간호진단, 간호사정,...
불안장애, 불안, 불안간호과정, 불안간호계획, 불안간호중재, 공포장애, 강박장애, 외상후스...
2017 기초간호과학 급성염증과 만성염증의 특징적인 차이 염증의 형태적분류와 그 예를 제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