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배낭여행의 요인에 따른 만족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및 설문지 구성

Ⅳ. 자료 분석 및 결과

Ⅴ. 결론

본문내용

일 이상
합계
4
16
30
35
15
100
5.50
5.56
6.27
6.14
6.07
6.05
시기만족
3월~5월
6월~8월
9월~11월
12월~2월
합계
3
53
15
29
100
6.67
6.23
5.73
6.21
6.16
동행인만족
혼자
친구
가족 또는 친지
애인
기타
합계
37
45
13
3
2(직장상사, 선배)
100
6.11
5.96
5.92
6.33
6.00
6.02
비용만족
100만 원 이하
150만 원 이하
200만 원 이하
250만 원 이하
300만 원 이하
300만 원 이상
합계
11
17
14
12
13
33
100
5.18
5.59
5.57
5.83
5.85
5.82
5.68
조사대상자의 해외배낭여행 선택요인별 만족도를 살펴보면 목적지에 대한 만족은 각 지역별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오세아니아에 대한 만족도가 5.45로 다른 지역의 만족도에 비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행 형태에 따른 만족도는 자유배낭여행이 6.25, 호텔팩 배낭여행이 6.18 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호스텔팩 배낭여행 5.33, 단체 배낭여행 5.44, 버스 배낭여행이 5.50 으로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행기간별 만족도는 6박7일 이하의 여행은 6박7일 이상의 여행보다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방문 시기별 만족도는 3~5월 사이가 6.67 으로 가장 높고 9~11월 사이는 5.73으로 만족도가 떨어졌다.
동행인에 따른 만족도는 크게 차이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고 지출비용에 대한 만족도 역시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100만 원 이하에 대한 만족도가 5.18로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볼 때 지출비용이 너무 적으면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4. 조사대상의 선택요인에 대한 만족도가 전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표5. 선택요인에 대한 만족도가 전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계수(a)
모형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t
유의확률
B
표준오차
베타
1
(상수)
기간만족
여행형태만족
비용만족
동행인만족
목적지만족
시기만족
2.001
.253
.090
.221
.277
.183
-.382
.913
.104
.080
.087
.108
.109
.111
.228
.099
.225
.264
.189
-.332
2.191
2.430
1.120
2.548
2.559
1.673
-3.440
.031
.017
.266
.012
.012
.098
.001
a 종속변수: 전체만족도
선택요인에 대한 만족도가 전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표준화 계수 베타는 표준화(Z) 점수로 환산 할 때의 기울기로, 여기서는 전체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시기만족(-0.332)으로 전체만족도와 반비례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요인들 중 두 변수에 대한 p값들이 p<0.05의 유의 수준을 가지고 있는 것은 기간 만족, 비용 만족, 동행인 만족으로 전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으나 나머지 여행형태 만족과 목적지 만족은 p값들이 p>0.05의 유의 수준을 가지고 있으므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Ⅴ. 결론
본 연구는 해외배낭여행의 주류 시장이라 할 수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기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배낭여행 선택 요인에 따른 만족도를 살펴보고 선택 요인에 대한 만족도가 해외배낭여행 전체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조사 결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에서 한 달 용돈이 비교적 많은 학생들이 해외 배낭여행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경제력과 해외배낭여행 사이에는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해외배낭여행의 일반적 특성에서 배낭여행 횟수가 1회인 사람이 전체 표본의 절반이었지만 반대로 나머지 50%는 2회 이상의 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해외배낭여행 비용조달에서 부모님에 대한 의존도가 굉장히 높아 대학생들의 자립도가 낮음을 알 수 있었다.
해외배낭여행 선택요인별 만족도 분석에서는 여행형태 요인에서 자유배낭여행, 호텔팩 배낭여행과 같은 자유도가 높고 좋은 숙박시설을 제공하는 형태는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호스텔팩 배낭여행, 단체 배낭여행, 버스 배낭여행과 같은 자유도가 떨어지고 시설이 비교적 열악한 여행형태보다 만족도가 높았다. 그리고 선택요인에 대한 만족도가 전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여행 시기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은 영향력을 끼쳤다. 그 외에 기간 만족, 비용 만족, 동행인 만족 또한 전체 만족도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나머지 목적지 만족과 여행형태 만족은 전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본 연구는 한양대생만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기 때문에 앞의 연구 결과를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해외배낭여행 특성으로 일반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지방대와 수도권 대학, 이화여대와 같은 단일성(性)으로 구성된 대학, 캠퍼스의 분리 여부와 같은 대학의 위치와 형태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날 수도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 해외배낭여행의 주류시장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반영하여 대학의 위치와 형태에 따른 차이를 고려하여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 참 고 문 헌 >
오상훈, 준비단계에서 본 국제배낭여행객의 형태적 특성 연구, 관광레저연구 제8권 제2호, 한국관광레저학회, 1996년
반정화이정규, 대학생 배낭여행객의 여행행태 분석, 호텔관광연구 제4권 제3호 (통권10호), 2002년
권태영, 대학생의 국외여행에 따른 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학생활연구소 : 6호, 오산대학, 2001년
박의서, 배낭여행 선택행동에 관한 연구 : 서울경기 지역 소재 대학생을 중심으로, 관광경영학연구 제6권 제3호, 2002년
이태희, 국제 배낭여행 시장의 심리분석적 시장세분화 연구, 관광학연구 제 21권 제2호, 한국관광학회, 1998년
주영우, 국외배낭관광자의 동기에 따른 유형별 여행상품만족도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4년
박철호, 국외여행자의 불평행동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97년
  • 가격1,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7.07.13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06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