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harp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주제선정이유

Ⅲ. 근거

Ⅲ. 어떻게 할 것인가?

Ⅳ. 왜 그렇게 하는 가?

본문내용

- 기존의 전략을 유지하고 기존의 이미지 변화 추구
- Posco건설과의 연관성을 끊고 The Sharp만의 단독 브랜드 구축
- 더 샾의 네이밍 변경
Posco 건설의 전략을 받아들인 상태에서 새로운 concept
아니면 Posco 건설의 전략을 받아들이지 않고 새로운 concept
Posco the sharp 이 아닌 The Sharp 으로서의 단독 브랜드 제고
새로운 전략 하에 그에 맞는 concept 도출
1. The Sharp 의 음악적 의미와 단어가 주는 샤프함, 세련미와 Posco 의
안전성과의 연결 부조화
음악적 반올림의 의미는 온음과 온음 사이에 존재하는 불안정적인 요소를 내포 기존의 Posco의 안정성의 이미지와는 연결이 되지 않고, 어감에서 느낄 수 있는 샤프함, 세련미와 Posco 건설이 가지고 있는 아이덴티티인 안전성, 건실함, 신뢰성은 어울리지 않음.
3. 전문성이 결여된 상태에서 대기업의 자본력을 이용해 진입한 후발주자 기업의 수익성 추구를 위해 전문성보다는 자본력을 이용하여 시장에 진입.
ⅰ. 실패사례
- 진로
92년 진로가 맥주회사인 쿠어스와 합작. 당시 진로는 소주업계의 1위. 소주와 맥주를 동시에 팔면 시너지 효과가 클 것으로 전망. 하지만 결과는 진로쿠어스맥주는 1000억원이 넘는 누적적자를 기록하고 매각. 맥주와 소주의 소비 계층이 달랐기 때문이다.
 - 샤넬
 여성용 향수에서 세계적인 브랜드이다. ALLURE Homme "남성용" 향수를 출시. 같은 '향수'이지만 샤넬은 여성의 향기라는 소비자 인식이 너무 강해서 남성에게는 안 어울린다는 소비자 인식 때문에 실패했다.
ⅱ. 성공사례
'대상’의 ‘청정원’ 이나 ‘마쯔시다’의 ‘Panasonic’ 의 예로 소비자들에게는 마치 기업브랜드처럼 보이는 강력한 패밀리브랜드가 많은 하위 브랜드들을 보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소비자들로서는 ‘대상’이나 ‘마쯔시다’를 모르더라도 ‘청정원’, ‘Panasonic’ 에 대한 지식만으로도 의사결정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패밀리브랜드의 경우 기업브랜드에 비해 사업 카테고리 지향성을 보다 쉽게 드러낼 수있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혼란을 줄일 수 있고 아이덴티티의 전달도 용이하기 때문이다. 한편 전략적으로 기업브랜드를 숨기고 새로 런칭한 브랜드의 이미지를 처음부터 새롭게 구축해나가는 방법도 시도되고 있다.대표적인 예로 프리미엄 제품 ‘삼성전자’의 양문형 냉장고‘지펠(Zipel)’, 고화질 디지털TV‘파브(PAVV)’, 도요타의 렉서스.

키워드

posco,   ,   포스코,   마케팅
  • 가격1,4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7.07.16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4209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