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회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쉽게 달아올랐다가 쉽게 꺼지는 성냥불과 같은 사람들의 근성에 대한 신랄한 풍자를 가하고 있는 것이었다. 이런 생각을 가지다보니 이 극을 쓴 사람이 궁금해졌다. 그래서 찾아보니 아일랜드의 대표적인 작가라고 불리우는 '존 말링턴 씽'이라는 사람에 대해서 알게 되었다. 그는 실제로 이 극을 통하여 아일랜드인의 냄비와 같은 기질을 조롱했다고 한다.
원작자의 의도가 잘 전달되었지만, 웃음이라는 요소에는 다소 약했던 '서쪽나라에서 온 플레이보이'는 우리 사회와 사람들의 모습에 대해서 다시한번 생각해 볼 수 있는 공연이었다. 또한 이 연극은 서양 극에서 무시되었던 희극이라는 점을 놓고 생각해보았을 때 기존에 가지고 있었던 희극에 대해서 다시한번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하였다.
원작자의 의도가 잘 전달되었지만, 웃음이라는 요소에는 다소 약했던 '서쪽나라에서 온 플레이보이'는 우리 사회와 사람들의 모습에 대해서 다시한번 생각해 볼 수 있는 공연이었다. 또한 이 연극은 서양 극에서 무시되었던 희극이라는 점을 놓고 생각해보았을 때 기존에 가지고 있었던 희극에 대해서 다시한번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