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나이스비트의 마인드 세트를 읽고나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존 나이스비트의 마인드 세트를 읽고나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장기적 시스템
우선 조직 문화 자체를 미래지향적으로 운영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선진 기업들은 오래 전부터 경영진에 대해 재무적 단기 성과와 함께 이미 수립된 비전과 중장기 경영전략에 대한 전략 지표 평가를 병행하고 있다. 물론 우리 기업들도 전략 지표 평가를 많이 도입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실적 평가에 비해 중요도가 많이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세계적인 대기업들은 상설 조직을 두고 미래에 대비하고 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세계 유수 기업 중 상설 미래예측 부서가 없는 경우는 거의 없다. Shell의 미래연구 부서는 특히 구소련 붕괴를 예측한 것으로 유명하다. Shell은 이 시나리오를 근거로 구소련의 석유 이권을 선점해 막대한 이익을 보았다. 놀라운 것은 그때가 냉전이 한창이었던 1980년대 중반이었다는 점이다. 독일의 미래 전략 컨설팅사 Z-Punkt가 조사한 결과는 이러한 사실을 뒷받침해 준다. 조사에 의하면 독일 주요 기업 60개사 중 적극적으로 미래를 예측하고 있는 기업이 절반에 가까운 26개사였으며, 전체 기업의 30%는 별도의 상설 조직을 운영하고 있었다. 이들 30%는 모두 독일이 자랑하는 글로벌 기업들이었다.
문제가 되는 것은 우리 기업들이 미래 선점에 나서지 않을 경우 어떤 일이 일어날 것인가 하는 점이다. 가장 확실한 것은 영원히 후발 주자로 남을 가능성이 커진다는 사실이다. 이 경우 선진 기업들이 만들어 놓은 시장 규칙 아래에서 낮은 수익성을 감내할 수밖에 없다. 그렇게 되면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하는 것은 희망 사항에 그치게 될지도 모른다. 또 한가지 중요한 점은 미래를 선점하지 못할 경우 중국 기업들에게 추월 당할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기술과 경영 측면 모두에서 격차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기업들은 먼저 기술 측면에서 한국 기업과의 격차를 계속 좁히고 있다. 올해 초 산업자원부는 디스플레이를 제외한 통신장비, 2차전지, 가전 등 분야에서 중국과의 기술 격차가 1~3년에 불과하다고 발표했다. 가격, 품질을 함께 고려하는 산업경쟁력의 경우 중국 기업이 한국을 추월하는 시기는 더욱 빠를 것으로 전망된다. 경영 측면에서는 중국 기업들이 한국 기업과는 다른 성장 전략을 펴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위험하다.
우리 기업은 선진국 기업을 모방해 제품을 만들고, 기술을 계속적으로 업그레이드하는 전략을 써 왔다. 중국 기업들은 사업을 초기부터 키워나가는 대신 선진국 기업을 인수합병해 기술과 브랜드를 얻는 방법을 쓰고 있다. 다시 말해 중간 단계를 뛰어넘어 국내 기업과 대등한 위상을 가진 중국 기업이 조만간 다수 등장할 것이다.
지금까지 존 나이스비트 박사의 마인드세트를 읽고 그 느낀점과 감상을 정리해 여러각도로 생각의 가지를 넓혀보았다. 미래란 언제나 어렵고 두려우면서도 가슴셀레이게 만드는 불가사의한 존재이다. 이러한 미래를 예견하고 전망하여 대비하는 것은 우리네 인생에서 정말 중요한 일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다. 경영학을 공부하지 않는 사람이라도 자신의 인생을 위해 이책을 읽기를 권하는 바이다.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07.19
  • 저작시기2007.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15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