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The Movement
Ⅱ. Philip Larkin
1. 생애
2. 성향
Ⅲ. Philip Larkin의 시
1. 「교회 방문」
2. 「앰뷸런스」
3. 「높다란 창들」
4. 「폭발」
<참고문헌>
Ⅱ. Philip Larkin
1. 생애
2. 성향
Ⅲ. Philip Larkin의 시
1. 「교회 방문」
2. 「앰뷸런스」
3. 「높다란 창들」
4. 「폭발」
<참고문헌>
본문내용
로 세속적인 삶으로부터의 일시적인 도피는 우주에 대한 경이감을 주기도 하지만, 푸른 하늘 뒤에 있는 것은, 어느 곳에도 도달할 수 없는 끝없는 무(Nothingness)이므로 인생의 공허와 인간의 한계를 드러낸다. 그리하여 '높다란 창들’(high windows)의 깊고 푸른 하늘은 그에게 현실세계의 한계를 상기시켜 줄뿐이다. 결국 이 작품은 세속적인 삶으로부터 우주의 무한한 신비를 향해 비상하는 것을 그린다. 그리고 우주의 무한한 신비의 경험은 잠정적으로 공허에 대한 이미지를 포함함으로써 현실의 한계에 부딪치고 다시 현실로 돌아오게 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시는 그의 사실주의적인 시관을 잘 드러내는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겠다.
4. 「폭발」(“The Explosion")
이 시는 Larkin의 네 번째 시집이라고 할 수 있는『높다란 창들』(High Windows, 1974)에 실린 시이다. 이 시는 광산에서의 폭파 사고의 모습을 통해서 일상적인 삶과 죽음의 문제에 대한 고찰을 보여주고 있다.
1연부터 3연은 폭발이 있기 전의 분위기와 광부들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폭발사고가 일어나기 전의 날의 분위기는 그림자가 갱구 입구에 드리워져 있고 광산에서의 찌꺼기들의 어두운 분위기가 제시되어 불길한 느낌을 야기한다. 하지만 이런 분위기에서도 광부들은 일상의 모습처럼 욕지거리를 하고 토끼를 쫓고 종달새의 알을 찾아오기도 한다.
4연은 그들이 광산 안으로 들어갈 때의 모습을 보여준다. 그들은 수염을 기르고, 광부의 옷을 입은 채로, 아버지로서, 오빠로서, 별명을 가지고 웃음을 주는 그런 사람으로서 일상 삶에서 사람과의 관계 속에서 의미지워진 이름과 위치가 있다.
5연에서는 정오에 폭발로 인한 떨림이 있었다. 폭발이 일어나서 소들도 잠시동안 풀을 씹던 것을 멈추고 하늘도 열기의 아지랑이와 그을음으로 뒤덮이게 된다.
6연부터 마지막 연에서는 장례식의 장면에서 기도문이 읊어지는 동안, 죽은 이들의 부인들은 자신의 남편들이 동전처럼 반짝거리고 또한 하늘로부터 그들에게로 걸어오는 존재가 되어, 그들이 생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더 커다란 존재가 되었음을 보게 된다.
이 시에서의 폭발 (the explosion)이라는 것이 단순히 생명 상실의 부정적인 이미지가 아니라 긍정적인 의미의 rebirth로서 그려지고 있다. 이는 마지막 연에 그들이 광산에 들어가기 전에 가져왔던 종달새의 알이 깨어지지 않고 남아 있다는 이야기를 통해 더욱 더 확실하게 의미지워진다. 천한 직업인 광부에게서 생명을 소중히 하는 측면이 있음을 부각하게 된다. 지상이 한 사람이 삶이 아닌 죽음을 통해서 그를 뛰어넘어 한 단계 더 나아간 존재가 됨을 형상화하고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20세기 영문학의 이해, 김희진, 신아사. 2006
영문학사, 김정규, 경남대학교 출판부. 2005
The Norton Anthology of English Literature. Vol. 2.,Abrams, M. H., 2000
Larkin의 詩에 있어서의 寫實主義, 김기영, 高麗大學校. 1992
4. 「폭발」(“The Explosion")
이 시는 Larkin의 네 번째 시집이라고 할 수 있는『높다란 창들』(High Windows, 1974)에 실린 시이다. 이 시는 광산에서의 폭파 사고의 모습을 통해서 일상적인 삶과 죽음의 문제에 대한 고찰을 보여주고 있다.
1연부터 3연은 폭발이 있기 전의 분위기와 광부들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폭발사고가 일어나기 전의 날의 분위기는 그림자가 갱구 입구에 드리워져 있고 광산에서의 찌꺼기들의 어두운 분위기가 제시되어 불길한 느낌을 야기한다. 하지만 이런 분위기에서도 광부들은 일상의 모습처럼 욕지거리를 하고 토끼를 쫓고 종달새의 알을 찾아오기도 한다.
4연은 그들이 광산 안으로 들어갈 때의 모습을 보여준다. 그들은 수염을 기르고, 광부의 옷을 입은 채로, 아버지로서, 오빠로서, 별명을 가지고 웃음을 주는 그런 사람으로서 일상 삶에서 사람과의 관계 속에서 의미지워진 이름과 위치가 있다.
5연에서는 정오에 폭발로 인한 떨림이 있었다. 폭발이 일어나서 소들도 잠시동안 풀을 씹던 것을 멈추고 하늘도 열기의 아지랑이와 그을음으로 뒤덮이게 된다.
6연부터 마지막 연에서는 장례식의 장면에서 기도문이 읊어지는 동안, 죽은 이들의 부인들은 자신의 남편들이 동전처럼 반짝거리고 또한 하늘로부터 그들에게로 걸어오는 존재가 되어, 그들이 생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더 커다란 존재가 되었음을 보게 된다.
이 시에서의 폭발 (the explosion)이라는 것이 단순히 생명 상실의 부정적인 이미지가 아니라 긍정적인 의미의 rebirth로서 그려지고 있다. 이는 마지막 연에 그들이 광산에 들어가기 전에 가져왔던 종달새의 알이 깨어지지 않고 남아 있다는 이야기를 통해 더욱 더 확실하게 의미지워진다. 천한 직업인 광부에게서 생명을 소중히 하는 측면이 있음을 부각하게 된다. 지상이 한 사람이 삶이 아닌 죽음을 통해서 그를 뛰어넘어 한 단계 더 나아간 존재가 됨을 형상화하고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20세기 영문학의 이해, 김희진, 신아사. 2006
영문학사, 김정규, 경남대학교 출판부. 2005
The Norton Anthology of English Literature. Vol. 2.,Abrams, M. H., 2000
Larkin의 詩에 있어서의 寫實主義, 김기영, 高麗大學校. 1992
추천자료
[우주의 이해] 빅뱅이론
[한국 예산제도][예산제도][예산]한국 예산제도의 이론적 고찰(예산제도의 의의와 발달과정, ...
[마케팅] 유명 대기업의 마케팅 성공사례와 발전과정 분석(삼성,나이키,스타벅스,아마존,소니...
YMCA 야구단 감상문
푸줏간 소년을 통해 본 정신장애 분석
자성재료
열역학의 제 1,2,3법칙
빛의 유입에 의한 공간 디자인에 관한 고찰:루이스 칸을 중심으로
[경영윤리] 다국적기업의 윤리경영 (Management Ethics)
마케팅 관리론 - 관계 마케팅에 관해 조사 (관계마케팅의 성립배경과 의의, 관계마케팅의 개...
Just Do It! NIKE(나이키) 나이키 세계화 전략 (스포츠브랜드, 나이키 역사, 나이키 실적, 나...
[디스PLUS Renaming Project]브랜드화전략사례,네이밍마케팅성공사례,브랜드네임이미지,브랜...
버치힐 콘도미니엄 소개 [Birch Hill Condominium]
케인즈주의와 페이비언 사회주의의 개념 및 공통점과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