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9.44
42.49
13.05
37.81
8.37
4.68
55.65
3
21
31.25
45.85
14.60
40.62
9.37
5.23
55.82
캔무게(g)
캔+모레(g)
모레(g)
건조후
캔+모레(g)
건조후
모레(g)
함수량(g)
함수비(%)
소성
30.61
32.15
1.54
31.69
1.08
0.46
42.59
5. 토 의
먼저 이번 실험을 통해서 액성.소성 한계의 실험법에 대해서 알수 있었다.
먼저 실험자체는 크게 어려운게 없었는데. 실험 중 특히 액성한계 실험을 할 때 시행오차가 많았다. 액성시험 결과 값이 3가지이지만 처음에 실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많은 실험을 행하면서 위의 3가지 값을 얻어냈다.
실험 시 가장 어려웠던 점은 물의 양에 따라 급격한 차이가 난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1.5cm 가 붙을 때 그때의 값을 구해야 하는데 사람의 눈이 라는게 정확할 수 없어. 이 부분에서 오차가 났을 것으로 생각을 한다. 그리고 일정한 타격을 주는 거 또한 힘들었고. 실험 중 조교의 설명을 들으면서 했는데 액성실험을 할 경우 매 실험을 처음과 같은 양의 흙을 사용하고 같은 두께와 실험기의 닫는 면적을 같이해야 오차를 최대한 줄일 수 있다는 말을 들었는데. 익숙지 않아 이점에서 또한 오차가 발생 했을 것 이라고 생각한다. 실험값으로 함수비를 구했는데. 함수비의 변화가 거의 없어. 25회 타격시의 함수비 측정에 어려움이 있었다. 소성실험 같은 경우 조교의 설명을 듣고 하긴했지만 그 3mm에서의 갈라짐을 찾는게 쉬운일은 아니었다. 이점에서 오차가 있었을 것이라 생각이 든다.
이번실험을 하면서. 조금은 우스꽝스러운 실험이라 생각했는데 많은 생각과 중요한점 하나하나를 따져서 하지 않으면 많은 오차가 생기는 실험이 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번실험을 통해 알게 된것중 하나가 처음에 교수님이 설명하신 토질 이라는 과목이 ‘정확히 이거다‘ 라는게 없다라는 점을 이 실험을 통해 알수 있었다. 개인적인 오차가 많이 들어가는 실험임을 알수 있었고. 이론시간에 배운 내용을 실험을 통해 알수 있는 시간이 되었다.
다만 아쉬운거는 한조당 4개의 캔이 지급이 되었는데. 더 많은 실험을 해서 좀더 정확한 같을 얻었음 하는 점이다. 특히 소성 실험 같은 경우 한가지 케이스 밖에 실험이 되지 않아. 옳고 그름을 판단하기가 어려운거 같다. 시간에 여유가 있으니 더 많은 실험 결과를 낼수 있는 환경이 되었음 좋겠다.
42.49
13.05
37.81
8.37
4.68
55.65
3
21
31.25
45.85
14.60
40.62
9.37
5.23
55.82
캔무게(g)
캔+모레(g)
모레(g)
건조후
캔+모레(g)
건조후
모레(g)
함수량(g)
함수비(%)
소성
30.61
32.15
1.54
31.69
1.08
0.46
42.59
5. 토 의
먼저 이번 실험을 통해서 액성.소성 한계의 실험법에 대해서 알수 있었다.
먼저 실험자체는 크게 어려운게 없었는데. 실험 중 특히 액성한계 실험을 할 때 시행오차가 많았다. 액성시험 결과 값이 3가지이지만 처음에 실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많은 실험을 행하면서 위의 3가지 값을 얻어냈다.
실험 시 가장 어려웠던 점은 물의 양에 따라 급격한 차이가 난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1.5cm 가 붙을 때 그때의 값을 구해야 하는데 사람의 눈이 라는게 정확할 수 없어. 이 부분에서 오차가 났을 것으로 생각을 한다. 그리고 일정한 타격을 주는 거 또한 힘들었고. 실험 중 조교의 설명을 들으면서 했는데 액성실험을 할 경우 매 실험을 처음과 같은 양의 흙을 사용하고 같은 두께와 실험기의 닫는 면적을 같이해야 오차를 최대한 줄일 수 있다는 말을 들었는데. 익숙지 않아 이점에서 또한 오차가 발생 했을 것 이라고 생각한다. 실험값으로 함수비를 구했는데. 함수비의 변화가 거의 없어. 25회 타격시의 함수비 측정에 어려움이 있었다. 소성실험 같은 경우 조교의 설명을 듣고 하긴했지만 그 3mm에서의 갈라짐을 찾는게 쉬운일은 아니었다. 이점에서 오차가 있었을 것이라 생각이 든다.
이번실험을 하면서. 조금은 우스꽝스러운 실험이라 생각했는데 많은 생각과 중요한점 하나하나를 따져서 하지 않으면 많은 오차가 생기는 실험이 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번실험을 통해 알게 된것중 하나가 처음에 교수님이 설명하신 토질 이라는 과목이 ‘정확히 이거다‘ 라는게 없다라는 점을 이 실험을 통해 알수 있었다. 개인적인 오차가 많이 들어가는 실험임을 알수 있었고. 이론시간에 배운 내용을 실험을 통해 알수 있는 시간이 되었다.
다만 아쉬운거는 한조당 4개의 캔이 지급이 되었는데. 더 많은 실험을 해서 좀더 정확한 같을 얻었음 하는 점이다. 특히 소성 실험 같은 경우 한가지 케이스 밖에 실험이 되지 않아. 옳고 그름을 판단하기가 어려운거 같다. 시간에 여유가 있으니 더 많은 실험 결과를 낼수 있는 환경이 되었음 좋겠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