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대남정책 결정요인과 과정
시대별 대남정책
북한의 통일 정책
동북아 정세 속 대남 정책
결론
대남정책 결정요인과 과정
시대별 대남정책
북한의 통일 정책
동북아 정세 속 대남 정책
결론
본문내용
1989~1992 대외환경 변화에 따른 현실주의적 적응과 남한과의 제한적 대화 모색
1993~1999 체제 생존차원의 대일/대미 관계 개선과 대남 ‘관민분리정책’ 추진
2000 공존과 체제생존을 위한 선택 – 남북정상회담
2001~2004 공존과 체제생존의 정당화 – 민족공조론
․ 한반도 혁명전략과 밀접한 관련을 지닌 북한의 통일정책은 시기에 따라 혁명노선을 달리 규정해왔다.
․ 북한의 혁명노선은 민주기지론(=혁명기지론)과 지역혁명론에 뿌리를 두고 변화해왔다.
민주기지론(1945년 해방 뒤부터 60년대 중반까지) - 북한의 정치, 경제, 군사역량을 강화하여 아직 해방되지 못한 남한 해방 시킴.
지역혁명론(60년대 중반 이후) - 남북한 사이의 혁명의 성격이 다르다고 생각하고 남한혁명의 독자성 고려.
․ 북한은 이러한 혁명론을 바탕으로 통일에 접근해 가는 방식을 펑화적 전도와 비평화적 전도 두 가지로 설정함.
평화적전도
- 첫째, 북한이 제시하는 평화적 통일방안을 남한에서 받아들이는 경우다.
- 둘째, 남한의 진보세력이 반제자주정권을 세운 뒤 그 정권과 통일할 가능성이다.
셋째, 남한 민중이 혁명을 성공시켜 들어설 정권이 북한과 평화협상을 통하여 통일될 가능성이다.
비평화적전도
전쟁을 통한 길로서 북한에서도 공식적으로 다루지 않지만 현실적으로도 불가능한 방안
1993~1999 체제 생존차원의 대일/대미 관계 개선과 대남 ‘관민분리정책’ 추진
2000 공존과 체제생존을 위한 선택 – 남북정상회담
2001~2004 공존과 체제생존의 정당화 – 민족공조론
․ 한반도 혁명전략과 밀접한 관련을 지닌 북한의 통일정책은 시기에 따라 혁명노선을 달리 규정해왔다.
․ 북한의 혁명노선은 민주기지론(=혁명기지론)과 지역혁명론에 뿌리를 두고 변화해왔다.
민주기지론(1945년 해방 뒤부터 60년대 중반까지) - 북한의 정치, 경제, 군사역량을 강화하여 아직 해방되지 못한 남한 해방 시킴.
지역혁명론(60년대 중반 이후) - 남북한 사이의 혁명의 성격이 다르다고 생각하고 남한혁명의 독자성 고려.
․ 북한은 이러한 혁명론을 바탕으로 통일에 접근해 가는 방식을 펑화적 전도와 비평화적 전도 두 가지로 설정함.
평화적전도
- 첫째, 북한이 제시하는 평화적 통일방안을 남한에서 받아들이는 경우다.
- 둘째, 남한의 진보세력이 반제자주정권을 세운 뒤 그 정권과 통일할 가능성이다.
셋째, 남한 민중이 혁명을 성공시켜 들어설 정권이 북한과 평화협상을 통하여 통일될 가능성이다.
비평화적전도
전쟁을 통한 길로서 북한에서도 공식적으로 다루지 않지만 현실적으로도 불가능한 방안
추천자료
한국과 북한에 대한 중국 외교정책의 비교
[북한][군사정책][핵무기개발][주한미군][대북정책]북한의 군사정책과 핵무기개발 현황 및 주...
북한의 선군정치와 대남전략
중국, 베트남, 북한의 개혁 개방 정책 비교
세계안보정세의 흐름과 북한의 대남혁명전술
[남북통일][통일교육][남북관계][북한][대북정책]남북통일의 원칙, 남북통일의 과정, 남북통...
북한의 대남·통일
국가별 북한 관광 현황과 대북 정책에 관한 연구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과 북한 문화예술 관계, 정책, 문예이론, 창작제도, 분야별 실태, 예...
북일국교정상화협상(북한일본국교정상화)의 추진배경, 교섭과정, 협상현황, 재개, 북일국교정...
[군사학] 북한의 대남전략이 무엇이며 이를 구현하기 위한 사례
[군사학]북한의 대남전략이 무엇이며 이를 구현하기 위한 사례
한국의 대테러정책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 북한의 테러와 현재 군부대의 출동에 대한 준비 부족
[다문화사회복지] 다문화가족정책의 발전방향 - 대상별(결혼이민자, 외국인근로자, 북한이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