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베이즈주의
베이즈 정리
객관적 베이즈주의
주관주의적 베이즈주의
주관주의적 베이즈주의의 장점
주관주의적 베이즈주의에 대한 비판
베이즈 정리
객관적 베이즈주의
주관주의적 베이즈주의
주관주의적 베이즈주의의 장점
주관주의적 베이즈주의에 대한 비판
본문내용
비판하면 주관적인 믿음이 너무 강할 경우 적절한 반증에 대해서도 자신의 믿음을 계속 고수 할 수 있다. 프라우트의 예는 그와 그의 추종자들이 취한 태도가 과학사에 비추어 합당했다는 것이지 그들의 주장이 옳았다는 것이 아니다. 만약 확실한 반증에 대해 프라우트가 지속적으로 같은 태도를 취할 수도 있는데 이것도 역시 잘못된 것이다. 그런데 베이즈주의자들은 그러한 태도가 잘못된 과학적 태도라는 것을 보여주기 힘들다. 왜냐하면 입증을 위한 증거와 실험에 대해서도 과학자는 사적인 믿음의 태도를 가질 것이기 때문이다.
위와 같은 문제는 지금까지 지속적으로 언급된 ‘증거’의 본성에서도 발생한다. 현재까지 논의에서 증거는 말그대로 주어지는 것이었다. 가설과 증거가 모두 있는 상태에서 가설의 확률이 그 증거를 통해 어떻게 변화하는가가 관심사였다. 그리고 그 증거는 어디까지나 그 과학이론과의 관계가 보장된 것이었다. 그러나 과학의 작업은 단지 증거를 통한 가설의 입증만이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증거를 어떻게 도출했고 그 이론이 어떻게 가설과 상호관계를 맺으며 오류는 무엇이었나 등의 여러 가지 부분을 해결해야 한다. 이러한 면에서 실험과학자에게는 많은 객관성이 요구된다.
위와 같은 문제는 지금까지 지속적으로 언급된 ‘증거’의 본성에서도 발생한다. 현재까지 논의에서 증거는 말그대로 주어지는 것이었다. 가설과 증거가 모두 있는 상태에서 가설의 확률이 그 증거를 통해 어떻게 변화하는가가 관심사였다. 그리고 그 증거는 어디까지나 그 과학이론과의 관계가 보장된 것이었다. 그러나 과학의 작업은 단지 증거를 통한 가설의 입증만이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증거를 어떻게 도출했고 그 이론이 어떻게 가설과 상호관계를 맺으며 오류는 무엇이었나 등의 여러 가지 부분을 해결해야 한다. 이러한 면에서 실험과학자에게는 많은 객관성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