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의 이해와 콘텐츠> 방초정(芳草亭)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문화재의 이해와 콘텐츠> 방초정(芳草亭)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문화 콘텐츠의 필요성

2. 방초정

3. 방초정 둘러보기
1) 방초정 전경
2) 방초정 온돌방 내부
3) 시 작품
4) 연못
5) 화순최씨 정려각

4. 방초정 주변 문화재
1) 가례증해(家禮增解) 판목(版木)
2) 소학집주증해(小學集註增解)
3) 이숭원초상화(李崇元肖像畵)

5. 방초정 콘텐츠화의 가치

본문내용

21세기는 문화의 세기이다. 따라서 우리는 문화가 세계적으로 경쟁력을 가질 수 있고 또 가져야 하는 시대에 살아가고 있으며, “머지않아 문화 전쟁시대가 도래한다.”고 말한다. 바야흐로 “문화가 재산이자 권력이고 자본”이라는 사실을 극명하게 알려주는 대상이 바로 문화재이다. 오늘날 <디지털 문화콘텐츠>가 인문학자들이나 문화정책 분야에서 화두가 된 것도 이와 관련되는 현상이다. 배영동, ≪문화재의 이해와 콘텐츠≫, p.1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우리 문화재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에서부터 심층적인 이해를 필요로 한다. 게다가 우리문화재를 오늘날에 맞추어 계승하고 보존하는 작업이 필요로 한 것이다. 이에 조사자는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 46호로 지정된 방초정(芳草亭)에 대해 조사해보고 직접 콘텐츠화 작업을 시도해보려고 한다.
-파워포인트이기 때문에 실제로 정리되어 있음..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7.07.31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4234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