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움의 시인|최치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그리움의 시인 최치원

Ⅲ. 최치원의 작품 속으로(한시)
1. 제가야산독서당(題伽倻山讀書堂)
2. 추야우중(秋夜雨中)

Ⅳ. 시속에 담긴 소외의식

Ⅴ. 나오며

본문내용

지 못한 좌절감을 드러내기도 하며, 현실에 대한
비판과 현실을 개혁하고자 하는 열망을 분출하기도 하였으나, 결국 이러한 것들을 거두고 귀향하고자 했다.
셋째로 소외의식으로 인한 그의 내면적 방황은 결국 현실로부터 초탈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그는 현실의 한계를 절감하고 타고난 본성을 지켜 영원한 고향인 자연에 돌아가 거기에 동화된 삶을 살고자 했다.
이와 같이 최치원의 시에는 신분적 한계에서 비롯된 깊은 소외의식과 현실적 소외로부터 벗어나 자연에 동화하고자 하는 지향성이 나타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소외의식을 드러낸 시들로 그는 한국 한시사의 첫 장을 열었던 것이다. 정종대,《한국 한시 속의 삶과 의식》(서울 : 새문사 2005), P.45참고
Ⅴ. 나오며
지금까지 그리움의 시인 최치원과 더불어 그의 작품에 대해 살펴보았다.
고운 최치원. 어쩌면 그는 약자였을지도 모른다. 중국에 있을 때는 중국인에 비해 입지가 약했고, 신라로 귀국했을 때에도 그는 진골들에 비해 기반이 약했다. 그의 이러한 입장이 그의 내면에 담긴 소외의식을 표출할 수 있는 많은 작품들을 짓는 계기가 되었고, 어쩌면 이러한 고운의 불우했던 삶은 서민들의 정서와 부합되어 마음을 전하는 시를 창작하게 되었을 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중 고등학교 국어시간에 이미 배웠던 부분이지만 이제는 국역으로 시를 감상하는 것이 아닌 직접 한시 자체를 읽고 감상한다는 것이 또 하나의 새로운 느낌으로 와 닿았다. 이렇듯 스스로 해석해볼 수 있다는 것이 또 하나의 한문학과만의 특색이 아닌가 싶다. 나름대로 최치원이라는 시인을 통해 그 당시 배경과 신분에 따른 한계 등의 역사적인 사실과 더불어 문학적인 면들의 여러 가지를 아우러 볼 수 있는 시간이였고, 좀더 많은 시를 공부해 보고 싶다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이렇듯 한시는 우리 조상의 삶의 투영이고 생각의 자취이며 자기 확인의 흔적이라고 한다. 하지만 한시를 제대로 알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시간의 벽을 넘어 선인의 삶을 제대로 알기 어렵고 더불어 그들의 생각의 깊이를 짐작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하지만 계속해서 공부하고 그들의 생각에 스며있는 본뜻을 찾아 연구한다면, 변화하는 역사적 상황 속에 시대에 맞춰 새로운 활력소를 얻을 수 있지 않을까.
※참고문헌
1) 정종대, 《한국 한시 속의 삶과 의식》, 새문사, 2005
2) 정관호, ≪재미있는 한시 이야기≫, 삶과 꿈, 2003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7.31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34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