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노인 재활치료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치매노인 재활치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목 차례>
1. 들어가는 글

2. 근육 운동

3. 근력 강화 운동
가. 등척성, 등장성, 등속성 운동
1) 등척성 운동(isometic cxercise)
2) 등장성 운동(isotonic exercise)
3) 등속성 운동(isokinetic exercise)
나. 수축방향 운동과 이완방향 운동(concentric, eccentric exercise)
1) 수축방향 운동(concentric exercise)
2) 이완방향 운동(eccentric exercise)
다. 폐쇄, 개방 고리형 운동(closed, open kinetic chain exercise)
1) 폐쇄고리형 운동(closed kinetic chain exercise)
2) 개방고리형 운동(open kinetic chain exercise)
가) 어깨 운동
(1) 견갑골 안정화(Scapular stabilizer)
(2) 관절가동범위 운동(ROM exercise)
(3) 유연성 운동(Stretching)
(4) 신경 스트레칭(Neural stretching)
(5) 4점 운동(4 point kneeling)
(6) 회전근육 강화 운동(Rotator cuffs strengthening
(7) 어깨 주위 큰 근육 강화 운동(Shoulder girdle large muscles strengthening)
나) 무릎 운동
(1) 유연성 운동(Stretching)
(2) 근력강화 운동
(3) 균형감각 운동(proprioception)
다) 허리 운동
(1) 요통은 예방하기 위한 일상 생활
(2) 허리를 위한 스트레칭
(3) 허리 근력 운동(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for LBP)
(4) 메켄지 운동(Meckenzie exercise)
라) 말기 치매 환자 운동

본문내용

요를 고인다. 옆으로 누울 때는 무릎 사이에 고인다.
라. 바닥에 있는 물건을 집을 때에는 무릎을 굽힌다.
허리를 위한 스트레칭
-허리뿐만 아니라 다리 근육의 스트레칭도 중요하다. 다리 근육이 유연해야 움직일 때 골반과 허리를 움직이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다리 근육의 스트레칭은 무릎에서의 스트레칭과 동일하다.
가. 허리 근육 스트레칭 : 똑바로 누운 채 한쪽 발을 다른 쪽 발 바깥으로 놓는다. 이때 양 어깨는 바닥에서 들지 않아야 하며, 허리 부근에 당기는 느낌이 들어야 한다.
나. 장요근(psoas) : 단거리 달리기 출발 자세를 취한다. 뒤쪽 다리의 무릎은 바닥에 댄다. 허리를 편채 앞 방향으로 가져간다. 뒤다리의 대퇴부(thigh) 앞쪽에 당기는 느낌이 들어야 한다.
다. 대퇴부 외측(iliotibial band) : 선 상태에서 다리를 꼬아 선다. 뒤쪽에 위치한 다리 방향으로 상체를 옆으로 구부린다. 즉 오른 다리를 뒤로 위치했을 때 왼쪽 방향으로 구부린다.
라. 고관절 외회전근(hip external rotators) : 눕거나 앉은 자세에서 한쪽 다리를 내전, 내회전(adduction, internal rotation) 시킨다.
허리 근력 운동(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for LBP)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동작을 5-10초씩 유지, 10회 반복, 하루 2-3번 시행한다. 근육 강화에 따라 점차 지속시간과 빈도를 늘린다.
가. 누운 상태에서 자연히 생기는 허리 밑 공간을 없앤다는 기분으로 허리에 힘을 줘서 밑으로 내린다. 이때 골반은 자연스럽게 다리 쪽이 들린다.
나. 복근 운동 : 누운 상태에서 상태를 약 30도 일으켜서 멈춘다. 옆 방향으로 일어나면 복부사근(oblique abdominalis muscler)이 강화된다.
다. 누운 상태에서 무릎을 가슴에 댄다.
라. 엎드린 자세에서 한쪽 또는 양쪽 다리를 천장 방향으로 올린다. 이때 골반은 바닥에서 떼지 않는다.
마. 말 태우기 자세에서 엉덩이를 발목에 붙이듯이 내리고 상체를 쭉 뻗는다.
바. 말 태우기 자세에서 허리와 배에 힘을 주어서 허리가 밑으로 쳐지는 아치 모양을 만든다
메켄지 운동(Meckenzie exercise)
-엎드린 자세에서 골반을 들지 말고, 팔에만 힘을 주고 팔을 뻗어 상체를 일으킨다. 통증이 없는 범위에서 멈추고 5-30초 동안 유지한다.
말기 치매 환자 운동
말기 치매 환자는 신체적 장애가 생겨서 걷지 못하고 의자나 침대에서만 지내게 되고, 전신의 근육이 경직된다. 일부에서는 경련성 발작이나 간대성 근 경련이 나타나기도 한다. 더 심해지면 말 없이 눈을 감고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 이른다.
치매가 심하여 근육이 경직되었을 때에는 우선 얼음으로 근육을 마사지하고, 망티로 근육이나 건을 두드려 주고, 부드러운 솔로 피부를 문지르거나 근육을 쓰다듬어 주는 것이 좋다.
스트레칭을 능동적으로 시행하지 못할 때에는 돌보미가 환자의 표정을 살피면서 천천히 스트레칭을 시켜주어야 한다. 같은 시기에 등척성 운동 즉 관절을 움직이지 않은 상태에서 힘을 주었다 빼는 운동을 실시한다. 누운 상태에서 팔다리를 구부렸다 펴고, 옆으로 움직이는 운동을 능동적 수동적으로 시행한다.
환자의 근력이 어느 정도 증가되어 균형을 잡고 앉아 있을 수 있다면, 서기 연습을 시작한다. 그 후 지지대(bar)나 돌보미의 손을 잡고 서서 몸을 양쪽으로 흔드는 연습을 하고 한쪽 다리를 번갈아 앞으로 내밀었다가 들어오는 행동을 시도한다. 어느 정도 훈련이 되면 걷기를 서서히 시행한다. 수중 운동은 체중 부담이 없이 시행할 수 있는 운동이므로 권장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7.08.06
  • 저작시기2006.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42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