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과 피부관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1절 화장의 변천사
1. 원시시대
2. 어원
3. 발상지
4. 창시자
5. 그리스
6. 16세기
7. 18세기
8. 1890∼1919
9. 1920년대
10. 1930년대
11. 1940년대
12. 1950년대
13. 1960년대
14. 1970년대
15. 1980년대
16. 1990년대
17. 2000년대

제2절 화장품 원료
1. 화장품 구성에 따른 원료의 분류
2. 원료의 기준과 명명·표기

제3절 기초화장품
1. 기초화장품의 이해
2. 종류와 사용법

제4절 기능성화장품
1. 기능성 화장품
2. 메이크업 화장품
3. 바이오화장품

본문내용

표면에 습윤기가 생겨 피부에 충분한 영양을 취한 것처럼 보이게 할 뿐이다.
무유성(無油性) 크림에 속하는 배니싱크림은 친수성(親水性)으로 대표적인 크림인데, o/w(oil in water)형으로 표시하며, 물 속에 유류가 미립자로 분산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이 크림을 피부에 바르면 흰색크림이 사라져 피부 속으로 완전히 스며든다고 해서 배니싱으로 명명되었다. 피부에 영양을 보충하는 밑화장용 크림으로 사용된다. 화장하기 전에 사용하거나 화장수나 유액 등을 사용한 후에 바르며 메이크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
하이지닉크림은 중성크림이라고도 하는데, 이 크림의 중성이란 알칼리성과 산성의 중간이라는 의미가 아니고, 원료면과 사용면에서 유성 크림인 콜드크림과 무유성 크림인 배니싱크림의 중간에 있다는 뜻이다. 따라서 피부의 지방분이 적어짐에 따라 유분이 많은 크림을 사용하게 되므로, 일반적으로 젊을 때는 배니싱크림을, 중년기에는 하이지닉크림을, 그리고 점차 유성 크림을 사용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제4절 기능성화장품
1. 기능성 화장품
인간은 동물과 다르게 자기를 아름답게 가꾸고 남에게 잘 보이고자 하는 욕구를 갖고 있다. 이러한 인간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인간 특유의 화장이나 표현 양식을 사용하였고 이에 따라 화장품이란 것이 발달하였다. 화장품의 역할과 그 기능의 다양성이 인간의 욕구에 부합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발전해 오면서 오늘에 이르렀다.
기초화장품과 색조 화장품이 주종을 이루던 시대에서 각자의 피부 유형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맞춤형의 기능성 화장품 시대로 시장의 변화가 오늘에 이른 것이다. 이와 같은 변화에 따라 화장품 제조회사들은 기능성 화장품을 생산하기 위해 개발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기능성 화장품의 신제품을 개발한다는 것이 쉬운 문제가 아니다. 관련부문 세계적인 석학들의 끊임없는 연구와 노력으로 얻어낸 신 물질도 엄정한 임상 실험을 통해 확신을 가질 수 있어야만 비로소 제품으로 태어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피부관련 KNOW-HOW와 오랜 기간을 거친 연구 실적을 많이 축척하고 있어야 하는 것이다.
2. 메이크업 화장품
피부에 사용하는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품과 눈·눈썹·입술 등에 쓰는 포인트메이크업 화장품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전자는 분(粉)과 파운데이션·볼터치 등으로 얼굴 전체를 자연스러운 살빛으로 꾸미고 입체감·투명감 등을 연출하며, 후자는 아이섀도·마스카라·인조속눈썹·눈썹먹·아이라인·립스틱 등으로 인상을 돋보이게 강조한다. 매니큐어 화장품도 이 중에 포함시킬 수 있다. 컬러 텔레비전이 보급됨에 따라 메이크업 화장품의 색도 다양하게 확대되었으며, 색상환(色相環)의 거의 전체가 사용된다.
3. 바이오화장품
바이오화장품은 생물이 자연적으로 만들어내는 성분을 바이오테크놀러지(biotechnology)를 이용하여 생산하고, 그 성분을 함유시킨 화장품으로 바이오테크놀러지는 유전자의 바꿔치기나 세포 융합, 대량 복제 기술인 클론(clone) 등에 의해서 새로운 생명체를 만들어, 식료품이나 의약품 생산 등에서 유용하게 쓰려는 새로운 기술을 말한다. 이러한 바이오테크놀러지를 응용하여 바이오테크놀러지의 기본 기술인 조직배양으로 이전에는 적은 양만 뽑아낼 수 있었던 동식물의 유효성분을 대량 생산할 수 있게 되었고, 그 성분을 피부에 적절하도록 배합한 화장품 개발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지치의 뿌리(자근)에서 유출되는 색소인 시코닌을 배합한 입술연지는, 종래 극소량밖에 입수할 수 없었던 시코닌을 식물배양을 이용하여 대량 생산하여 상품화에 성공한 예이다. 또한 피부의 진피층을 구성하여 피부의 보습 기능을 높이는 성분인 히알루론산이나 γ리놀렌산을 배합한 바이오 미용액도 있다. 이들의 성분도 고생산성의 돌연변이를 이용함으로써 상품화되었다.
바이오 화장품은 인공적으로 합성한 이전 화장품과는 달리, 생물이 자연적으로 만들어내는 물질을 응용한 것이기 때문에 인체에 해가 없고 안전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자연스러운 화장품이라 수요자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는다. 또한 피부에 좋은 영향을 주는 성분들을 생명공학 기술인 복제, 즉 클론을 이용하여 배양한 다음 화장품에 넣을 수 있으므로, 색조화장을 위한 피부관리가 주목적인 소극적 개념의 일반 화장품과는 달리, 기능성 화장품으로서 피부 밸런스의 유지를 통해 피부관리는 물론 각질·확대된 모공, 잔주름, 기미, 잡티, 검버섯 등 다양한 피부의 문제를 개선시킬 수 있는 적극적 개념의 화장품으로서의 장점도 가지고 있다.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08.12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46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