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목차
기후와 기상의 정의
기후 요소와 기후 요인
기후 요소와 기후 요인과의 관계
우리나라의 기온/강수/바람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바람
우리나라의 계절별 기후 특색
등/..
기후 요소와 기후 요인
기후 요소와 기후 요인과의 관계
우리나라의 기온/강수/바람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바람
우리나라의 계절별 기후 특색
등/..
본문내용
1) 기후 (Climate)의 정의
① 1년을 주기로 되풀이 되는 대기의 평균적
인 상태
(2) 기상(Weather)
① 대기 중에 일어나는 짧은 기간의 대기현
상(1주일 혹은 하루)
기후와 기상의 정의
기후 요소와 기후 요인
(1) 기후 요소
① 기후를 구성하고 있는 대기 현상
② 기온, 바람, 강수, 일조 시수, 증발량 등
(2) 기후 요인
① 기후에 지역적 차이를 일으키는 요인
② 위도, 수륙 분포, 지형, 해류, 해발고도
기단, 전선 등
기온
강수량
바람
15˚c
200mm
편서풍
기온
강수량
바람
25˚c
400mm
계절풍
위도, 수륙분포, 지형, 해발고도 등의
기후 요인 이 기후 요소 에 영향을 미쳐
지역차를 유발
지역 A
지역 B
기후 요소와 기후 요인과의 관계
① 위도 : 고위도에서 저위도로 갈수록
기온 상승
② 수륙 분포 : 대륙에서 해양으로 갈수록
연교차가 작음
③ 지형
㉠ 바람받이 지역 : 상승기류발생 - 다우지
㉡ 바람의지(그늘) 지역 : 상승기류발생 어
려움 - 소우지
④ 해발 고도 : 고도가 높아질수록 기온이
낮아짐
⑤ 해류 : 한류 지역은 기온 하강 및 건조,
난류 지역은 기온이 온화하여 해양성 기
후가 나타남
우리나라의 기온
① 1월 평균 -3℃선(차령산맥)에 의해 온
대와 냉대 기후로 구분
② 연교차가 큰 대륙성 기후
③ 기온분포의 지역차
㉠ 기온의 지역차는 겨울에 뚜렷함
㉡ 남·북차 > 동·서차(겨울철, 같은 위도에서 동해안은 서해안보다 기온이 높음)
- 태백산맥의 북서풍 차단(푄 현상)
- 수심이 깊은 동해는 수온저하가 느림
- 난류(동한해류)가 흐름 : 따뜻한 해풍
④ 기온과 주민생활
- ‘의(衣)’ 생활
㉠ 겨울-솜옷, 두루마기
㉡ 여름모시, 삼베
- ‘식(食)’ 생활
① 1년을 주기로 되풀이 되는 대기의 평균적
인 상태
(2) 기상(Weather)
① 대기 중에 일어나는 짧은 기간의 대기현
상(1주일 혹은 하루)
기후와 기상의 정의
기후 요소와 기후 요인
(1) 기후 요소
① 기후를 구성하고 있는 대기 현상
② 기온, 바람, 강수, 일조 시수, 증발량 등
(2) 기후 요인
① 기후에 지역적 차이를 일으키는 요인
② 위도, 수륙 분포, 지형, 해류, 해발고도
기단, 전선 등
기온
강수량
바람
15˚c
200mm
편서풍
기온
강수량
바람
25˚c
400mm
계절풍
위도, 수륙분포, 지형, 해발고도 등의
기후 요인 이 기후 요소 에 영향을 미쳐
지역차를 유발
지역 A
지역 B
기후 요소와 기후 요인과의 관계
① 위도 : 고위도에서 저위도로 갈수록
기온 상승
② 수륙 분포 : 대륙에서 해양으로 갈수록
연교차가 작음
③ 지형
㉠ 바람받이 지역 : 상승기류발생 - 다우지
㉡ 바람의지(그늘) 지역 : 상승기류발생 어
려움 - 소우지
④ 해발 고도 : 고도가 높아질수록 기온이
낮아짐
⑤ 해류 : 한류 지역은 기온 하강 및 건조,
난류 지역은 기온이 온화하여 해양성 기
후가 나타남
우리나라의 기온
① 1월 평균 -3℃선(차령산맥)에 의해 온
대와 냉대 기후로 구분
② 연교차가 큰 대륙성 기후
③ 기온분포의 지역차
㉠ 기온의 지역차는 겨울에 뚜렷함
㉡ 남·북차 > 동·서차(겨울철, 같은 위도에서 동해안은 서해안보다 기온이 높음)
- 태백산맥의 북서풍 차단(푄 현상)
- 수심이 깊은 동해는 수온저하가 느림
- 난류(동한해류)가 흐름 : 따뜻한 해풍
④ 기온과 주민생활
- ‘의(衣)’ 생활
㉠ 겨울-솜옷, 두루마기
㉡ 여름모시, 삼베
- ‘식(食)’ 생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