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인터넷 액세스망
2. HomePNA (Home Phoneline Network Alliance)
3. PLC (Power Line Communication)
4. IEEE1394
5. Ethernet LAN
6. HomeRF (Home Radio Frequency)
7. IEEE 802.11b
8. 블루투스 (Bluetooth)
9. 홈게이트웨이
2. HomePNA (Home Phoneline Network Alliance)
3. PLC (Power Line Communication)
4. IEEE1394
5. Ethernet LAN
6. HomeRF (Home Radio Frequency)
7. IEEE 802.11b
8. 블루투스 (Bluetooth)
9. 홈게이트웨이
본문내용
내부 제어만 가능하다. 그러나 앞으로는 네트워크를 통한 외부 제어도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를 구현하는 여러 기술 중 가장 관심을 모으는 것이 바로 블루투스(Bluetooth). 무선 방식인 블루투스는 숨겨진 배선이 필요 없는 대신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블루투스 칩이 PC, 가전 제품, 전화기 등에 장착되어야 한다. 또 스크린 터치 없이 음성만으로도 가전 제품을 제어할 수 있다. 음성만으로 밥을 할 수도 있고, 커피 메이커를 작동시켜 커피를 내릴 수도 있다는 얘기다. 2002년까지는 보편화가 될 전망인 HDTV에 이 기술이 적용이 되면 음성으로 TV 작동이 가능해지며, 회사에 출근한 후에도 인터넷상에서 집 내부의 조명이나, 전자 제품을 제어할 수 있다.
블루투스 칩은 국내 삼성, 현대와 같은 반도체 업체에서 개발 중이다. 국외에서는 인텔, IBM, 도시바, 노키아, 루슨트, 영국 CSR와 같은 업체들이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국내 모바일 통신 업체는 핸드폰과 PDA 등에 블루투스 칩을 탑재한 모델을 개발 중에 있다. 일차적으로 셀룰러/PCS와 노트북 PC에 적용한 다음, 디지털 카메라, 프린터, 홈 오토메이션에 적용할 예정이다. 홈 오토메이션에 필요한 홈 서버나 가전 제품 등에 블루투스가 사용되면, 차세대에는 별도의 배선이 필요 없고 음성 작동 등이 가능한 무선 홈 오토메이션이 등장하게 될 것이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홈 오토메이션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들어 국내에서도 제품을 상용화하는 업체들이 생겨나고 있다. 한국웹TV는 플래넷사와 제휴해 전력선(PLC) 홈 오토메이션을 선보이고 있고, LG 텔레콤, 한국하니웰, 디지털앤보이스사는 PLC 기반의 모바일 홈 네트워킹을 적용하기로 했다. 모바일 홈네트워킹은 휴대폰, PDA를 통해 가정내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이다. 또한 커넥센트사는 전화 라인(PNA)을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을 추구하고 있고, 한국통신의 코콤은 랜을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을 2002년 완공될 사이버 아파트에 적용하기로 결정했다. ZIEMAX(구 동진시스템)의 경우 가정에 쓰이는 오디오, 비디오 등 가전기기를 인터넷상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장치와 홈 오토메이션 솔루션을 개발 중이다. 삼성전자나 LG전자와 같은 대기업도 전자레인지, 냉장고 등 홈 오토메이션 정보가전 제품을 속속 선보이고 있다.
하지만 '차세대 꿈의 기술'인 홈 오토메이션이 일반 가정에 보편화되는 데는 아직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LAN 방식을 예로 들자면, 네트워크 망을 아파트 곳곳에 배선설치하는 데 드는 비용이 부담스럽고, 홈 서버 구축 비용도 만만치 않다. 또 보안 문제와 세대가 많을수록 속도가 떨어진다는 단점 등 많은 문제가 산재해 있다.
그러나 업계측은 2002년쯤이면 본격적인 홈 오토메이션의 보급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가정을 살아 움직이는 유기체로 만드는 지능형 홈 오토메이션. 인터넷과 만난 홈 오토메이션이 앞으로 우리 생활을 어떻게 바꾸어놓을지 자못 기대가 크다.
<인터넷 정보>
블루투스 칩은 국내 삼성, 현대와 같은 반도체 업체에서 개발 중이다. 국외에서는 인텔, IBM, 도시바, 노키아, 루슨트, 영국 CSR와 같은 업체들이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국내 모바일 통신 업체는 핸드폰과 PDA 등에 블루투스 칩을 탑재한 모델을 개발 중에 있다. 일차적으로 셀룰러/PCS와 노트북 PC에 적용한 다음, 디지털 카메라, 프린터, 홈 오토메이션에 적용할 예정이다. 홈 오토메이션에 필요한 홈 서버나 가전 제품 등에 블루투스가 사용되면, 차세대에는 별도의 배선이 필요 없고 음성 작동 등이 가능한 무선 홈 오토메이션이 등장하게 될 것이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홈 오토메이션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들어 국내에서도 제품을 상용화하는 업체들이 생겨나고 있다. 한국웹TV는 플래넷사와 제휴해 전력선(PLC) 홈 오토메이션을 선보이고 있고, LG 텔레콤, 한국하니웰, 디지털앤보이스사는 PLC 기반의 모바일 홈 네트워킹을 적용하기로 했다. 모바일 홈네트워킹은 휴대폰, PDA를 통해 가정내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이다. 또한 커넥센트사는 전화 라인(PNA)을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을 추구하고 있고, 한국통신의 코콤은 랜을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을 2002년 완공될 사이버 아파트에 적용하기로 결정했다. ZIEMAX(구 동진시스템)의 경우 가정에 쓰이는 오디오, 비디오 등 가전기기를 인터넷상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장치와 홈 오토메이션 솔루션을 개발 중이다. 삼성전자나 LG전자와 같은 대기업도 전자레인지, 냉장고 등 홈 오토메이션 정보가전 제품을 속속 선보이고 있다.
하지만 '차세대 꿈의 기술'인 홈 오토메이션이 일반 가정에 보편화되는 데는 아직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LAN 방식을 예로 들자면, 네트워크 망을 아파트 곳곳에 배선설치하는 데 드는 비용이 부담스럽고, 홈 서버 구축 비용도 만만치 않다. 또 보안 문제와 세대가 많을수록 속도가 떨어진다는 단점 등 많은 문제가 산재해 있다.
그러나 업계측은 2002년쯤이면 본격적인 홈 오토메이션의 보급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가정을 살아 움직이는 유기체로 만드는 지능형 홈 오토메이션. 인터넷과 만난 홈 오토메이션이 앞으로 우리 생활을 어떻게 바꾸어놓을지 자못 기대가 크다.
<인터넷 정보>
추천자료
전자상거래에 대한 소비자 기대속성과 소비자 만족에 관한연구
사업 기획서의 실제-정보통신업체 테라의 사업 계획서를 살펴본 기획서의 실제
삼성전자에 대해서
엔씨소프트의 성공사례 및 온라인 게임의 발전 방향
[국제경영사례분석] 쓰리세븐 국제경영성공사례
[네트웍]Windows Server IIS와 네트웍 서비스
창업과 경영
[원격교육][대학교육][미국 원격교육 사례][원격교육 제고과제]원격교육의 개념, 원격교육의 ...
[국제마케팅론]한국 기업사례 조사 - 삼성 애니콜 중국시장 마케팅전략
[한국 기업사례 조사]삼성 애니콜 중국진출
유씨티 (U-City)
창업과경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