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리말
2. 전국시대의 사회상
3. 오다 노부나가의 일대기
4. 전국 통일의 꿈을 이루기 위해서
5. 오다 노부나가의 의의
6. 맺는말
7. 참고문헌
2. 전국시대의 사회상
3. 오다 노부나가의 일대기
4. 전국 통일의 꿈을 이루기 위해서
5. 오다 노부나가의 의의
6. 맺는말
7. 참고문헌
본문내용
. 그리고 오다 노부나가의 사후 쟁탈전이 아케치 미쓰히데와 도요토미 히데요시란 점에서 보이듯
오다 노부나가의 세력기반이 그만큼 강했기 때문에 다른 세력이 쉽게 먼저 일어나지 못했던 것이다. 또,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전국 통일후 정책도 사실상 오다 노부나가 시기의 그것과 거의 일치한다는 점을 미루어 봤을 때, 만약 오다 노부나가가 혼노사의 변을 당하지 않았다면 최초의 전국통일은 오다 노부나가에 의해 이루어 졌을 것이다. 덧붙여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어떻게 될까를 생각해보면, 울지 않는 새는 울 때 까지 기다리겠다던 그의 말로 미루어 보아 오다 노부나가의 세력이 약해지길 기다리나 약해지지 않자 오다 노부나가의 신하세력으로 편입해 들어갔을 거라고 생각된다.
그러면 두 번째 문제로 넘어가서, 통일 후 세력을 한 곳으로 집결시키기 위해서 오다 노부나가 역시 임진왜란을 일으켰을까? 이 질문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로 생각해 봤지만 첫 번째 질문에 비해 선뜻 쉽게 답이 떠오르지 않았다.
당대의 신하들도 속을 모르겠다고 말했던 만큼 주변에 상의하지 않고 혼자 처리하던 독단가 스타일이 아니던가? 그래서 고심끝에 3가지 가정을 생각해 냈다. 첫 번째, 이전의 예처럼, 오다 노부나가 역시 천황에 의해 정이대장군직을 수여 받는다는 가정이다. 그러나 이 생각은 내가 곧 신이다. 라고 주장하던 오다 노부나가의 스타일과 맞지 않는데다가 그럴 거면 이미 요시아키가 관령이나 부장군직을 줄 때 받아도 상관없는 거였다.
두 번째 가정은, 영국처럼 산업 혁명을 일으켜서 근대로 바로 넘어가 버린다는 가정이다. 이 것은 오다 노부나가가 비교적 서양 지식에 대해서 이해력이 빨랐다는 점에 착안한 가정이다. 「오다노부나가의 카리스마 경영」p.69 경영정신, 도몬 후유지
그러나 산업혁명이 일어나려면 오다 노부나가 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적으로 과학에 대한 인식이 발생해야하는데, 대부분 동양 국가에서 그러하듯이 일본 역시 과학의 발달이 미미 하였다.
세 번째 가정은, 진시황적 중앙 집권적 정치이다. 그 근거로는 서양사적 관점에서 해석을 했는데, 서양에서 장원이 무너지고 상인계층이 출현하고, 영주가 몰락하는 과정에서 왕은 권력을 절대화 하기 위해 절대주의를 표방하고, 상업의 발달에 따라 상공시민계층과 왕이 결탁했던 것처럼 이시기 일본에서도 라쿠이치를 통해 성장한 신흥 상인계층이 이전에 천황가와 결탁해 장사를 독점하던 혼조세력과 대립하여 신흥 상인계층이 오다 노부나가와 결탁하여 서양의 절대 왕권 같은 절대 권력을 낳고 중상주의 정책이 시행되고, 따라서 시장이 필요해진 일본은 가까운 한반도 침공 계획을 세울 수도 있지 않을까? 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두 번째 질문의 답은 세 번째 가정을 따라서 동아시아 역사, 즉 한, 일간 전쟁이 일어날 것인가? 에 대한 답은 일어날 것이다. 라는 것이다. 전쟁의 기간이나 승리여부를 떠나서 일단 한, 일간의 대립은 일본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피할 수 없는 것이었고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안했으면 오다 노부나가나 도쿠가와 이에야스에의해 일어났을 것이라는 것이다.
오다 노부나가가 살았다면 어찌되었던 간에, 결국 오다 노부나가는 죽었다. 이후의 일본 사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도쿠가와 이에야스에 의해 쓰여졌다. 각자 나름의 업적이 있었고, 시대 속에서 나름의 역할이 있었다.
그러나 반드시 기억해야 할 것은 오다 노부나가를 통해서 전국 통일의 방향이 제시되었기 때문에 이후에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모모야마, 에도시대가 전개 될 수 있었다는 점이다.
7. 참고문헌
오다 노부나가의 카리스마 경영, 도몬 후유지. 인간경영, 2000
이야기 일본사, 김희영, 청아 출판사, 2004
오다 노부나가의 세력기반이 그만큼 강했기 때문에 다른 세력이 쉽게 먼저 일어나지 못했던 것이다. 또,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전국 통일후 정책도 사실상 오다 노부나가 시기의 그것과 거의 일치한다는 점을 미루어 봤을 때, 만약 오다 노부나가가 혼노사의 변을 당하지 않았다면 최초의 전국통일은 오다 노부나가에 의해 이루어 졌을 것이다. 덧붙여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어떻게 될까를 생각해보면, 울지 않는 새는 울 때 까지 기다리겠다던 그의 말로 미루어 보아 오다 노부나가의 세력이 약해지길 기다리나 약해지지 않자 오다 노부나가의 신하세력으로 편입해 들어갔을 거라고 생각된다.
그러면 두 번째 문제로 넘어가서, 통일 후 세력을 한 곳으로 집결시키기 위해서 오다 노부나가 역시 임진왜란을 일으켰을까? 이 질문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로 생각해 봤지만 첫 번째 질문에 비해 선뜻 쉽게 답이 떠오르지 않았다.
당대의 신하들도 속을 모르겠다고 말했던 만큼 주변에 상의하지 않고 혼자 처리하던 독단가 스타일이 아니던가? 그래서 고심끝에 3가지 가정을 생각해 냈다. 첫 번째, 이전의 예처럼, 오다 노부나가 역시 천황에 의해 정이대장군직을 수여 받는다는 가정이다. 그러나 이 생각은 내가 곧 신이다. 라고 주장하던 오다 노부나가의 스타일과 맞지 않는데다가 그럴 거면 이미 요시아키가 관령이나 부장군직을 줄 때 받아도 상관없는 거였다.
두 번째 가정은, 영국처럼 산업 혁명을 일으켜서 근대로 바로 넘어가 버린다는 가정이다. 이 것은 오다 노부나가가 비교적 서양 지식에 대해서 이해력이 빨랐다는 점에 착안한 가정이다. 「오다노부나가의 카리스마 경영」p.69 경영정신, 도몬 후유지
그러나 산업혁명이 일어나려면 오다 노부나가 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적으로 과학에 대한 인식이 발생해야하는데, 대부분 동양 국가에서 그러하듯이 일본 역시 과학의 발달이 미미 하였다.
세 번째 가정은, 진시황적 중앙 집권적 정치이다. 그 근거로는 서양사적 관점에서 해석을 했는데, 서양에서 장원이 무너지고 상인계층이 출현하고, 영주가 몰락하는 과정에서 왕은 권력을 절대화 하기 위해 절대주의를 표방하고, 상업의 발달에 따라 상공시민계층과 왕이 결탁했던 것처럼 이시기 일본에서도 라쿠이치를 통해 성장한 신흥 상인계층이 이전에 천황가와 결탁해 장사를 독점하던 혼조세력과 대립하여 신흥 상인계층이 오다 노부나가와 결탁하여 서양의 절대 왕권 같은 절대 권력을 낳고 중상주의 정책이 시행되고, 따라서 시장이 필요해진 일본은 가까운 한반도 침공 계획을 세울 수도 있지 않을까? 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두 번째 질문의 답은 세 번째 가정을 따라서 동아시아 역사, 즉 한, 일간 전쟁이 일어날 것인가? 에 대한 답은 일어날 것이다. 라는 것이다. 전쟁의 기간이나 승리여부를 떠나서 일단 한, 일간의 대립은 일본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피할 수 없는 것이었고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안했으면 오다 노부나가나 도쿠가와 이에야스에의해 일어났을 것이라는 것이다.
오다 노부나가가 살았다면 어찌되었던 간에, 결국 오다 노부나가는 죽었다. 이후의 일본 사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도쿠가와 이에야스에 의해 쓰여졌다. 각자 나름의 업적이 있었고, 시대 속에서 나름의 역할이 있었다.
그러나 반드시 기억해야 할 것은 오다 노부나가를 통해서 전국 통일의 방향이 제시되었기 때문에 이후에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모모야마, 에도시대가 전개 될 수 있었다는 점이다.
7. 참고문헌
오다 노부나가의 카리스마 경영, 도몬 후유지. 인간경영, 2000
이야기 일본사, 김희영, 청아 출판사, 2004
키워드
추천자료
2009년 동계계절시험 일본학개론 시험범위 핵심체크
2010년 1학기 일본학개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1년 동계계절시험 일본학개론 시험범위 핵심체크
2013년 동계계절시험 일본학개론 시험범위 핵심체크
2014년 1학기 일본학개론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2015년 2학기 일본학원서강독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6년 2학기 일본학원서강독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6년 동계계절시험 일본학개론 시험범위 핵심체크
2016년 2학기 일본학원서강독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7년 1학기 일본학개론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2017년 1학기 일본학개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