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 절 구비문학의 개념
제 2 절 설화
(1) 설화의 정의 및 전반적인 특징
(2) 설화의 분류와 상호 연관성
(3) 신화
(4) 전설
(5) 민담
제 3 절 민요
(1) 민요의 전반적인 특징
제 4 절 무가(巫歌)
(1) 무가의 정의 및 전반적 특징
제 2 절 설화
(1) 설화의 정의 및 전반적인 특징
(2) 설화의 분류와 상호 연관성
(3) 신화
(4) 전설
(5) 민담
제 3 절 민요
(1) 민요의 전반적인 특징
제 4 절 무가(巫歌)
(1) 무가의 정의 및 전반적 특징
본문내용
모심기 노래', '상여 노래' 등이 이에 해당한다.
② 부요 : 여성들이 주로 부르는 노래. '베틀요', '시집살이요', '길쌈요', '강강술래' 같은 것 들이 이에 속한다.
③ 동요 : 어린이들이 부르는 노래. '기러기 노래', '잠자리 노래', '나물 노래'와 같은 것들 이 이에 속한다.
제 4 절 무가(巫歌)
(1) 무가의 정의 및 전반적 특징
1) 정의 : 무가는 무(巫)에 의하여 무속적 의례에서 가영(歌詠)되는 구비문학이다.
2) 특징
① 주술성
: 무가는 무(巫)의 기능인 점복(占卜), 치병(治病),예언(豫言) 및 사제(司祭)자로서 신이성(新異性)을 나타내는데 있어서 효과가 실증적으로 입증된다.
② 신성성
: 신을 청하고 신에게 소원을 빌고 하는 것은 인간이 신에게 하는 말이며 공수를 주고 앞일을 예언하는 것 등은 신의 의사가 인간에게 전달되는 것이다. 이처럼 무가는 신을 대상으로 인간이 가영하는 문학이며 신성성의 문학인 것이다.
③ 전승이 제한되어 있다.
-무가는 巫라는 특정부류에 의하여 전승되고 있으며 巫의 사제관계나 무의(巫儀)를 공동으로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진다.
-양이 많고 내용도 난삽한 것이어서 전승이 어렵다
-인간이 외경하는 신과의 대화라는 점에서 친근감이 적다.
④ 오락성
무의 자체가 민중의 큰 구경거리 구실을 해왔으며 재수굿이라든가 연중 정기의례와 같은 무의는 이를 통한 심적 위안이 주가 되기 때문에 오락성이 강하게 드러난다.
⑤ 율문(律文) 전승
무가의 악곡은 대개 그 지방의 민요곡을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서사무가와 같은 장편무가는 4음보격으로 듣기 좋게 구송(口誦)되고 있다
② 부요 : 여성들이 주로 부르는 노래. '베틀요', '시집살이요', '길쌈요', '강강술래' 같은 것 들이 이에 속한다.
③ 동요 : 어린이들이 부르는 노래. '기러기 노래', '잠자리 노래', '나물 노래'와 같은 것들 이 이에 속한다.
제 4 절 무가(巫歌)
(1) 무가의 정의 및 전반적 특징
1) 정의 : 무가는 무(巫)에 의하여 무속적 의례에서 가영(歌詠)되는 구비문학이다.
2) 특징
① 주술성
: 무가는 무(巫)의 기능인 점복(占卜), 치병(治病),예언(豫言) 및 사제(司祭)자로서 신이성(新異性)을 나타내는데 있어서 효과가 실증적으로 입증된다.
② 신성성
: 신을 청하고 신에게 소원을 빌고 하는 것은 인간이 신에게 하는 말이며 공수를 주고 앞일을 예언하는 것 등은 신의 의사가 인간에게 전달되는 것이다. 이처럼 무가는 신을 대상으로 인간이 가영하는 문학이며 신성성의 문학인 것이다.
③ 전승이 제한되어 있다.
-무가는 巫라는 특정부류에 의하여 전승되고 있으며 巫의 사제관계나 무의(巫儀)를 공동으로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진다.
-양이 많고 내용도 난삽한 것이어서 전승이 어렵다
-인간이 외경하는 신과의 대화라는 점에서 친근감이 적다.
④ 오락성
무의 자체가 민중의 큰 구경거리 구실을 해왔으며 재수굿이라든가 연중 정기의례와 같은 무의는 이를 통한 심적 위안이 주가 되기 때문에 오락성이 강하게 드러난다.
⑤ 율문(律文) 전승
무가의 악곡은 대개 그 지방의 민요곡을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서사무가와 같은 장편무가는 4음보격으로 듣기 좋게 구송(口誦)되고 있다
추천자료
춘향전이 최고의 고전문학인 이유
[한국고전문학] 가사문학에 나타난 여성의 연정표출
[고전문학] 우화소설과 조선후기의 향촌사회 변동
[고전문학] 설공찬전 연구
[고전문학] 우리문학사에 우화가 미치는 영향 - 우화소설을 중심으로
[고전문학] 영웅좌절담류 비극소설의 특징과 계보파악을 위한 시론
고전문학감상문- 구운몽,홍길동전,심훈의상록수,손창섭의비오는날 감상문
고전문학 각색 - 선녀와 나무꾼-
고전문학의 이해 - 민담 발표
고전문학의 흐름 - 시가 문학을 중심으로
고전문학 - 방한림전 ; 작품론 중심으로 논하기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국어과 교육과정의 개정중점, 국어과 교육과정의 성격과 고등학교...
고전문학강독-세상속의 삶의 방향
[국문학A+] 고전문학에 나타난 이물교혼 - 고전문학에 나타난 이물교혼 분석 및 한·중 이물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