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일시
2. 실험제목
3. 조, 조원
4. 실험목표
5. 실험원리
6. 실험기구 및 장치
7. 실험방법
8. 실험결과
9. 토의
10. 참고자료
2. 실험제목
3. 조, 조원
4. 실험목표
5. 실험원리
6. 실험기구 및 장치
7. 실험방법
8. 실험결과
9. 토의
10. 참고자료
본문내용
속도 이다.
8. 실험 결과
입사구
질량
14g
반경
7.5mm
표적구
질량
14g
반경
7.5mm
수직낙하거리
84.5cm
반 겹치는 정도의 충돌
측정횟수
실험항목
1
2
3
4
5
평균
충돌 전 입사구 수평거리 (cm)
44.5
44.0
43.8
43.5
44.0
43.96
충돌 후 입사구 수평거리 (cm)
26.8
25.2
27.0
26.9
26.8
26.54
충돌 후 입사구 각 ()
58.0
54.0
60.0
58.0
57.0
57.40
충돌 후 표적구 수평거리 (cm)
34.6
33.3
34.9
35.2
34.2
34.44
충돌 후 표적구 각 ()
28.0
30.0
29.0
27.0
29.0
28.60
입사구의 속력()
= 105.86cm/sec
충돌 후 입사구의 속력()
= 63.91cm/sec
충돌 후 표적구의 속력()
= 82.94cm/sec
스치는 정도의 충돌
측정횟수
실험항목
1
2
3
4
5
평균
충돌 전 입사구 수평거리 (cm)
44.5
44.0
43.8
43.5
44.0
43.96
충돌 후 입사구 수평거리 (cm)
34.9
35.7
34.2
35.6
34.8
35.04
충돌 후 입사구 각 ()
26.0
26.0
28.0
26.0
27.0
26.60
충돌 후 표적구 수평거리 (cm)
21.8
22.5
22.0
22.0
22.5
22.16
충돌 후 표적구 각 ()
52.0
52.0
53.0
53.0
52.0
52.40
입사구의 속력()
= 105.86cm/sec
충돌 후 입사구의 속력()
= 84.38cm/sec
충돌 후 표적구의 속력()
= 53.36cm/sec
9. 토의
(1) 식 (1)에서 이면 이다. 측정한 세 벡터 는 닫힌 삼각형을 만들어야 한다. 측정값이 이 조건을 만족시키는가를 검토하라.
를 이용
- 반 겹치는 정도의 충돌
계산값 108.18(cm/sec)
- 스치는 정도의 충돌
계산값 108.10(cm/sec)
- 실제 측정값과 약간의 오차가 있다.
(2) 측정값 가 식 (6)을 만족시키면 탄성충돌이다. 본 실험이 탄성충돌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라. 탄성충돌이 아니면 에너지 손실은 얼마나 되는가 계산하라.
반 겹치는 정도의 충돌에서 계산값
=
스치는 정도의 충돌에서 계산값
=
- 탄성충돌이 아니라고 볼 수 있다.
에너지 손실 = 감소한 운동에너지
손실이라면 운동에너지가 감소했어야 하지만 오히려 증가하였다.
그러므로 오차 에너지 크기는
운동에너지 이므로
- 반 겹치는 정도의 충돌
108.18 - 105.86 = 2.32
- 스치는 정도의 충돌
108.10 - 105.86 = 2.24
- 오차의 원인
이번 실험에서 이론값과 실측값이 차이가 나게 된 이유는 쇠공과 장치 사이의 마찰 즉, 관성모멘트와 열에너지로 손실된 에너지 등이 가장 주된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진공상태에서 조금 더 정확하게 측정했다면 보다 정확한 중력 가속도 값을 구할 수 있었으리라고 추측된다.
10. 참고자료
참고문헌
- 대학일반물리학/일반물리학교제편찬위원회/북스힐
- 일반물리학실험/건국대학교물리학과,광전자물리학과/북스힐
8. 실험 결과
입사구
질량
14g
반경
7.5mm
표적구
질량
14g
반경
7.5mm
수직낙하거리
84.5cm
반 겹치는 정도의 충돌
측정횟수
실험항목
1
2
3
4
5
평균
충돌 전 입사구 수평거리 (cm)
44.5
44.0
43.8
43.5
44.0
43.96
충돌 후 입사구 수평거리 (cm)
26.8
25.2
27.0
26.9
26.8
26.54
충돌 후 입사구 각 ()
58.0
54.0
60.0
58.0
57.0
57.40
충돌 후 표적구 수평거리 (cm)
34.6
33.3
34.9
35.2
34.2
34.44
충돌 후 표적구 각 ()
28.0
30.0
29.0
27.0
29.0
28.60
입사구의 속력()
= 105.86cm/sec
충돌 후 입사구의 속력()
= 63.91cm/sec
충돌 후 표적구의 속력()
= 82.94cm/sec
스치는 정도의 충돌
측정횟수
실험항목
1
2
3
4
5
평균
충돌 전 입사구 수평거리 (cm)
44.5
44.0
43.8
43.5
44.0
43.96
충돌 후 입사구 수평거리 (cm)
34.9
35.7
34.2
35.6
34.8
35.04
충돌 후 입사구 각 ()
26.0
26.0
28.0
26.0
27.0
26.60
충돌 후 표적구 수평거리 (cm)
21.8
22.5
22.0
22.0
22.5
22.16
충돌 후 표적구 각 ()
52.0
52.0
53.0
53.0
52.0
52.40
입사구의 속력()
= 105.86cm/sec
충돌 후 입사구의 속력()
= 84.38cm/sec
충돌 후 표적구의 속력()
= 53.36cm/sec
9. 토의
(1) 식 (1)에서 이면 이다. 측정한 세 벡터 는 닫힌 삼각형을 만들어야 한다. 측정값이 이 조건을 만족시키는가를 검토하라.
를 이용
- 반 겹치는 정도의 충돌
계산값 108.18(cm/sec)
- 스치는 정도의 충돌
계산값 108.10(cm/sec)
- 실제 측정값과 약간의 오차가 있다.
(2) 측정값 가 식 (6)을 만족시키면 탄성충돌이다. 본 실험이 탄성충돌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라. 탄성충돌이 아니면 에너지 손실은 얼마나 되는가 계산하라.
반 겹치는 정도의 충돌에서 계산값
=
스치는 정도의 충돌에서 계산값
=
- 탄성충돌이 아니라고 볼 수 있다.
에너지 손실 = 감소한 운동에너지
손실이라면 운동에너지가 감소했어야 하지만 오히려 증가하였다.
그러므로 오차 에너지 크기는
운동에너지 이므로
- 반 겹치는 정도의 충돌
108.18 - 105.86 = 2.32
- 스치는 정도의 충돌
108.10 - 105.86 = 2.24
- 오차의 원인
이번 실험에서 이론값과 실측값이 차이가 나게 된 이유는 쇠공과 장치 사이의 마찰 즉, 관성모멘트와 열에너지로 손실된 에너지 등이 가장 주된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진공상태에서 조금 더 정확하게 측정했다면 보다 정확한 중력 가속도 값을 구할 수 있었으리라고 추측된다.
10. 참고자료
참고문헌
- 대학일반물리학/일반물리학교제편찬위원회/북스힐
- 일반물리학실험/건국대학교물리학과,광전자물리학과/북스힐
추천자료
[일반물리학실험] 빛의 반사와 굴절 실험 예비보고서
[일반물리학실험]평행한 콘덴서 판을 이용한 쿨롱의 법칙 실험
[일반물리학실험]관성모멘트 측정 실험 예비 결과 레포트
[일반물리학실험]광섬유를 이용한 빛의 속도 측정 실험 예비 결과 레포트
[일반물리학실험]프랑크-헤르츠 실험 예비 결과 레포트
[일반물리학실험]자기유도실험 예비레포트
[물리학실험][실험레포트] 중력가속도 측정
[물리학실험][실험레포트] 포물체의 운동
[물리학실험][실험레포트] 단진자 운동
[물리학실험][실험레포트] F=ma와 마찰력
[물리학실험][실험레포트] 충돌 및 운동량 보존
[물리학실험] 기초역학실험
[물리학실험] 파동실험 Resonance Tube
[일반물리학실험] 빛의 굴절 및 편광실험 예비 및 결과 보고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