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1. 2. 2 서술어
<서술어의 성립>
이라
ㅣ라
Ф라
자음 뒤에
i, j를 제외한 모음
i, j 모음 뒤에
◎서술어는 모든 활용형에 의해 두루 표시된다.
1. 활용어의 종결형
◎서술격조사 종결형이 체언에 붙어 서술어가 되게 한다.
⇒文은 글와리라(훈민정음언해, 1장)→ 文(문)은 글월이다
◎명사구에도 붙는다.
- 명사 ‘글’에 관형절이 붙음.
⇒御製는 님금 지샨 그리라(훈민정음언해, 1장)→ 御製(어제)는 임금 지으신 글이다
‘짓다’의 활용
짓고, 짓게, 짓
지어, 지으니
지며, 지, 지, 지
- 보편성 의존명사 ‘’의 이형태 ‘ㅅ’에 동사의 관형사형이 붙음.
⇒言은 니를 씨라(훈민정음언해, 2장)→ 言은 말하는 것이다
‘’
주격 ‘시’
목적격 ‘’
서술격 시(씨)라
- 서술성의존명사 ‘’에 관형사형이 붙음.
⇒날로 메 便安
<서술어의 성립>
이라
ㅣ라
Ф라
자음 뒤에
i, j를 제외한 모음
i, j 모음 뒤에
◎서술어는 모든 활용형에 의해 두루 표시된다.
1. 활용어의 종결형
◎서술격조사 종결형이 체언에 붙어 서술어가 되게 한다.
⇒文은 글와리라(훈민정음언해, 1장)→ 文(문)은 글월이다
◎명사구에도 붙는다.
- 명사 ‘글’에 관형절이 붙음.
⇒御製는 님금 지샨 그리라(훈민정음언해, 1장)→ 御製(어제)는 임금 지으신 글이다
‘짓다’의 활용
짓고, 짓게, 짓
지어, 지으니
지며, 지, 지, 지
- 보편성 의존명사 ‘’의 이형태 ‘ㅅ’에 동사의 관형사형이 붙음.
⇒言은 니를 씨라(훈민정음언해, 2장)→ 言은 말하는 것이다
‘’
주격 ‘시’
목적격 ‘’
서술격 시(씨)라
- 서술성의존명사 ‘’에 관형사형이 붙음.
⇒날로 메 便安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