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임금의 결정원리와 지불원칙
1) 임금의 결정원리
2) 임금의 지불원칙
2. 임금결정이론
1) 임금생존비설
2) 임금기금설
3) 노동가치설
4) 한계생산력설
5) 임금계약설
6) 임금세력설
7) 행동과학적 임금설
1) 임금의 결정원리
2) 임금의 지불원칙
2. 임금결정이론
1) 임금생존비설
2) 임금기금설
3) 노동가치설
4) 한계생산력설
5) 임금계약설
6) 임금세력설
7) 행동과학적 임금설
본문내용
노동조합의 발전 및 단체교섭의 보급에 따라 던롭은 경제적 사회적제도로서 노동조합의 존재를 인정함과 동시에 노사간의 단체교섭에 의해 임금이 결정된다는 경제학적 임금이론을 전개하였다. 특히 그는 종래의 추상적인 임금이론에 대한 비판과 함께 노사간의 임금교섭의 실태조사결과를 토대로 하여 노사간의 교섭력에 의한 임금의 결정이론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주장에 대해 로스나 칼더는 던롭의 학설이 경제적 요인을 중시한 교섭력이란 점을 비판하고 그들은 경제적· 정치적· 사회적 요인을 고려한 임금이 교섭이론을 강조하였다.
6) 임금세력설
임금세력설은 임금은 노동자 및 노동조합의 사회적 세력에 의해 결정된다는 학설로서 특히 노동조합의 단결력이나 파업 등의 투쟁 강도가 임금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견해이다. 이 학설은 오펜하이머에 의해 주장되었으나, 종래의 경제적 요인을 중시한 임금이론을 비판하고 노사간의 사회적인 세력관계의 영향력에 의해 임금이 결정된다는 이론이다.
7) 행동과학적 임금설
행동과학적 임금설은 종래의 임금생산력설(한계생산력설)이나 임금계약설 등이 경제적 요인에 편중되거나 거시적 분석에 입각한 임금결정이론이라고 비판하고 사회학이나 심리학의 관점에서 임금의 결정원리를 설명한 임금이론이다. 롤러는 심리학적 입장에서 임금을 체계적으로 분석했으며, 임금을 노동자에 대한 투자라고 생각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임금이론은 임금수준의 높고 낮음, 기업 내 임금구조의 안정성의 정도, 임금의 동기부여정도 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특히 행동과학의 발전을 배경으로 형성된 이론이라 할 수 있다.
6) 임금세력설
임금세력설은 임금은 노동자 및 노동조합의 사회적 세력에 의해 결정된다는 학설로서 특히 노동조합의 단결력이나 파업 등의 투쟁 강도가 임금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견해이다. 이 학설은 오펜하이머에 의해 주장되었으나, 종래의 경제적 요인을 중시한 임금이론을 비판하고 노사간의 사회적인 세력관계의 영향력에 의해 임금이 결정된다는 이론이다.
7) 행동과학적 임금설
행동과학적 임금설은 종래의 임금생산력설(한계생산력설)이나 임금계약설 등이 경제적 요인에 편중되거나 거시적 분석에 입각한 임금결정이론이라고 비판하고 사회학이나 심리학의 관점에서 임금의 결정원리를 설명한 임금이론이다. 롤러는 심리학적 입장에서 임금을 체계적으로 분석했으며, 임금을 노동자에 대한 투자라고 생각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임금이론은 임금수준의 높고 낮음, 기업 내 임금구조의 안정성의 정도, 임금의 동기부여정도 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특히 행동과학의 발전을 배경으로 형성된 이론이라 할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