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daoAndo(안도타다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TadaoAndo(안도타다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PROLOGUE-- ]
2. [--PROFILE--]
3. [--PROJECT--]
<물 위의 교회>
<빛의 교회>
[주거공간]
<록코 집합주거>
<Guest House>
<K House>
<Koshino House>
<스미요시나가야(아즈마) 주택>
<기타건축물>
[--EPILOGUE--]

본문내용

증축에 의하여 더욱 완성된건축이 되고, 보다 깊이 있는 풍경을 만들어냈다고 생각한다.
<평면도> <거실>
<스미요시나가야(아즈마) 주택>
오사카,스미요시 1976/77
오사카시의 중심부에는 전쟁의 피해로 부터 면한 목조건물이 몇 군데 남아 있다. 이 주택의 원래 건물은 이러한 성격을 지닌 것의 하나로서 연속되어 있는 3채 중에서 한 가운데에 위치한 것이었다. 이것을 잘라내어 콘크리트의 상자를 집어넣은 '스미요시나가야 주택'은 도시 생활의 거점으로서의 주거이다. 벽으로 둘러싸인 공간은 3등분으로 나뉘어져 중앙에 중정이 설치되어 있다. 1층은 거실과 부엌,식당,욕실이 중정을 둘러싸며 대치하고 2층에는 주침실과 어린이 방이 똑같이 놓여 있다.
중정은 광정으로서 주거에서 전개되는 생활의 거점임과 동시에 이 협소한 부지에서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확보할 수 있다.
콘크리트와 유리,현창석으로 둘러 싸인 외부 공간은 여기에 주입되는 빛을 받아들여 반사하면서 복잡한 음영을 만든다.
<기타건축물>
물의 절, 타임즈, 구마모토 장식 고분관, 나오시마 현대 미술관, 치카츠아스카 역사 박물관, 나무의 전당, 명화의 정원 등...
[--EPILOGUE--]
안도 다다오의 건축은 기능적으로는 영역의 전환을 인지케하고, 공간과 공간의 연결샹에서 관조하는 또 하나의 공간을 만들어 부수적 기능으로도 나타나며, 이에 따라 이동 상에 풍부한 체험을 유발시켜 그의 건축을 두루 회유하게 자극함이 발견된다.
표현적으로는 그림자의 현상, 장면의단속과 변화, 소리의 현상, 자연의 요소적 개입으로 표현되고, 노출 콘크리트으 일관된 사용 자체도 주변의 이질적 재료와의 표현상의 전이를 일으키며 또한 장소성을 담는 형태의 표현으로도 나타나며, 공간구성 기법상의 ‘채워짐’과 ‘비워짐’의 형식 가운데서 표현됨을 알 수 있었다.
지각적으로는 자연의 요소적 개입에 따른 자연과 건축과의 풍부한 관게함이 인식되고, 빛과 그림자의 현상에 의한 명암의 대비, 빛의 시간성에 따른 변화 속에서 공간의 다양한 인식이 이루어지며 빛의 깊숙한 유입으로 공간적 전이가 지각되고, 시각적 틀을 이용한 장면의 단속이나 공간의 한정을 통하여 공간의 연속성 및 상호관입을 지각하고, 다양한 스케일의 변화는 공간의 개,폐쇄감과 이동의 연속 상에 압축과 팽창의 공간감을 불러 일으키는 가운데서 주로 나타남을 알게 되었다.
<참고문헌>
'안도 다다오의 건축.대표적 작품과 그 특성‘
안도 다다오 건축에 나타나는 전이현상의 구조적 체계에 관한 연구 / 이 석훈 著(국민대학교 대학원, 1997)
‘세계의 현대건축’ 중 일본편
‘http://www.a21.co.kr’
‘웹진 아키누드’
Tadao Ando
<목차>
1. [--PROLOGUE-- ]
2.[--PROFILE--]
3. [--PROJECT--]
<물 위의 교회>
<빛의 교회>
[주거공간]
<록코 집합주거>



<스미요시나가야(아즈마) 주택>
<기타건축물>
[--EPILOGUE--]
<참고문헌>
  • 가격1,6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09.01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70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