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쇄골의 특징
2. 손상기전
3. 증상
4. 응급처치
5. 진단
6. 분류
7. 치료
8. 합병증
2. 손상기전
3. 증상
4. 응급처치
5. 진단
6. 분류
7. 치료
8. 합병증
본문내용
및 혈관 손상이 동반된 경우
쇄골의 외측부골절과 오구쇄골의 인대의 파열동반
연부조직삽입으로 계속적인 골절편의 분리가 있는 경우
②수술방법
금속판 고정술
K- wire 내고정술
Steinmann pin 고정술
골이식술 : 골절유합이 일반적인 치료법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금속판 or 금속정 또는 골수강 내고정을하여 든든하게 고정하고 필요시)
8. 합병증
*혈관 및 신경손상 : 쇄골하 혈관(subclavian vessles)과 상완신경총 손상.
(골절부의 골진이 지나치게 나와서 쇄골하 혈관이나 상완신경총이 눌려 신경마비나 혈액순환 장애가 발생)
*불유합 : 부적절한 고정
심한 전위
손상의 정도
*외상성 관절염 (쇄골양 쪽에 관절염이 올수 있는데 심할 경우 그부위를 절제하는 경우도 있다)
9. 재활치료
: 골절유합이 어느정도 이루어지면 근육과 관절의 운동이 실시하게 된다. 그러나 완전히 치료된 상태가 아니므로 무리한 운동은 재골절을 유발하므로 주의한다.
*reference*
대한정형외과학회 : 정형외과학(5판), p597-598, 1999
임상정형외과학 개론 : 박성태 외 1명, 현문사, p112-114, 2002
질환별물리치료(I) : 민경옥 외 2명, 대학서림, p61-72, 99-100, 2001
my.dreamwiz.com/drslee/ency/chpo1/chpo1-0029.htm
kaot.or.kr/eduhtm/e2/sjkum.htm
sigmax.co.kr/common/common_07.htm
members.tripod.lycos.co.kr/byunjum/egc/index2/135/146.htm
쇄골의 외측부골절과 오구쇄골의 인대의 파열동반
연부조직삽입으로 계속적인 골절편의 분리가 있는 경우
②수술방법
금속판 고정술
K- wire 내고정술
Steinmann pin 고정술
골이식술 : 골절유합이 일반적인 치료법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금속판 or 금속정 또는 골수강 내고정을하여 든든하게 고정하고 필요시)
8. 합병증
*혈관 및 신경손상 : 쇄골하 혈관(subclavian vessles)과 상완신경총 손상.
(골절부의 골진이 지나치게 나와서 쇄골하 혈관이나 상완신경총이 눌려 신경마비나 혈액순환 장애가 발생)
*불유합 : 부적절한 고정
심한 전위
손상의 정도
*외상성 관절염 (쇄골양 쪽에 관절염이 올수 있는데 심할 경우 그부위를 절제하는 경우도 있다)
9. 재활치료
: 골절유합이 어느정도 이루어지면 근육과 관절의 운동이 실시하게 된다. 그러나 완전히 치료된 상태가 아니므로 무리한 운동은 재골절을 유발하므로 주의한다.
*reference*
대한정형외과학회 : 정형외과학(5판), p597-598, 1999
임상정형외과학 개론 : 박성태 외 1명, 현문사, p112-114, 2002
질환별물리치료(I) : 민경옥 외 2명, 대학서림, p61-72, 99-100, 2001
my.dreamwiz.com/drslee/ency/chpo1/chpo1-0029.htm
kaot.or.kr/eduhtm/e2/sjkum.htm
sigmax.co.kr/common/common_07.htm
members.tripod.lycos.co.kr/byunjum/egc/index2/135/146.htm
추천자료
(간호학) 골절의 내부고정 외부고정
쇄골골절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적용사례 보고서(사례: 대퇴경부 골절)
골절 환자의 간호, 골절의 종류, 골절의 합병증, 수술적 관리 등
정형케이스
질환레포트(요골과_척골_골절)
성인간호학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 경추골절
원위 요골 골절 케이스
[신경질환]신경외과질환(신경질환)과 치매, 신경외과질환(신경질환)과 뇌졸중, 신경외과질환(...
[성인간호학][Fracture][골절]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고관절 골절 PBL , 골절과 관련된 통증 간호중재
대퇴골두골절 Femoral head fx 케이스 스터디 A+
늑골골절, 혈흉 문헌고찰 케이스스터디(case study) 간호과정
외과계에서의 의료사회복지실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