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연구의 목적 및 방법
▶ 서 론
- 디자인
- 디자인 사고의 변화
▶ 본 론
-디자인에 대한 개념의 변화
1. 기능주의에 따른 조형요소의 변화
2. 디자인 사고의 변화와 상징성(Symbolism) 경향
-현대의 건축디자인
1. 디지털 및 정보화 사회
2. 조형적 특성과 사고의 변화
3. CAD (Computer-Aided Design)의 이용
4. 표현방법의 변화
▶ 서 론
- 디자인
- 디자인 사고의 변화
▶ 본 론
-디자인에 대한 개념의 변화
1. 기능주의에 따른 조형요소의 변화
2. 디자인 사고의 변화와 상징성(Symbolism) 경향
-현대의 건축디자인
1. 디지털 및 정보화 사회
2. 조형적 특성과 사고의 변화
3. CAD (Computer-Aided Design)의 이용
4. 표현방법의 변화
본문내용
combine / distore / divide]
Finish the doctrin of realism (The mirror of reality) -> Represent & Reproduce by \"Concept\"
=> Invention of Photography ended the authority of Reproduce reality
=> Mass production replaced hand-crafted and crafted originality
으로 그 방향을 달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시각적 표현의 변화 요인을 크게 두 가지로 들어보면, 디자이너의 사고방식의 변화에 더해진 기능주의로 인한 디자인 단순화와 함께 이후 다원주의 사회에서의 상징성이 그 원인이라 할 수 있다.
인체와 건축
자연과 건축
유기체와 건축
↓
AEG터빈공장
(1904)
&
로 고
↓
1. 기능주의에 따른 조형요소의 변화
1930년대 소위 ‘기능주의자’의 이념을 잘못 사용한 결과로 그릇된 상황이 만들어지기까지 할 만큼 기능주의와 합리주의는 1900년대 초, 중반을 지나면서 건축 디자인 과정뿐만 아니라 결과물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로 등장하기 시작한다. 1940년대 중반 모더니즘이 완성이 되면서 건축과 미학적 개념은 사회에 나타난 여러 가지 문제와 시대적 요구에 충분히 호응하지 못한 채 혼란을 겪은 반면 다양한 근대 건축의 기능론자들이 주장하는 법칙과 기능주의적 이론에 의해 유럽의 근대사회가 재건되고 건축의 범위가 크게 확대되면서 젊은 건축가들은 확실한 혁신적 건축가의 방법으로 설계 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자기 자신의 독창성 확립을 위해 노력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디자인은 점차 그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한 최소한의 표현으로 점차 복잡해지는 디자이너의 사고에 따른 최대의 의미와 상징을 내포할 수 있도록 변화되어 갔으며, 1960년대 이후에는 이상적인 모델 (ideal model)에 눈뜨기 시작하면서 이론가에 의한 이론 축적과 실무에 종사하는 건축가에 의한 실험의 시대로써 형식과 비형식의 현대적 대립을 통한 기학적 조형요소에 기능주의적인 요소가 더해진 근대 건축물들이 등장하게 된다.
2. 디자인 사고의 변화와 상징성(Symbolism) 경향
먼저 인간의 사고체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디자인 프로세스와 따른 행위를 간단히 요약한다면 디자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절한 디자인 개념(Concept)을 설정하고 이렇게 설정된 개념에 가장 부합하는 시각적인 표현(visual representation)을 만들어내는 행위(behavior)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디자인이란 인공물(artifacts)에 관련된 지적 활동으로서, 건축에서는 문제 공간을 탐색하는 과정으로도 이해할 수 있으며, 디자인에서의 해결안은 얼마나 만족스러운가에 대한 판단으로써, 그에 따른 디자인은 가장 좋은 해답(the best)보다는 만족스러운(satisficing) Simon(1982)은 디자인 결과는 최적안이나 최선안이 아니라 디자이너가 만족하는 수준의 해결안이라는 의미를 나타내기 위해 ‘satisfice\'이라는 새로운 단어를 사용하고 있다.
해답을 구하는 것으로 규정되기도 하는데(Simon 1970, 1982), 특히 건축에 있어서는 인간의 거주(dwelling) 및 정착(settlement)의 개념을 실현하고 여기에 형태를 부여하기 위한 기본적인 탐구 활동이 가장 주요한 목적이라 할 수 있다.
사상 / 현상
개체화 (specialization)
개 념
추상화 (abstraction) Metaphor(은유)의 어원은 그리스어의 메타페레인에서 유래되었다. 메타는 ‘너머로’ 또는 ‘위로’의 뜻이 있고, 페레인은 ‘
Finish the doctrin of realism (The mirror of reality) -> Represent & Reproduce by \"Concept\"
=> Invention of Photography ended the authority of Reproduce reality
=> Mass production replaced hand-crafted and crafted originality
으로 그 방향을 달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시각적 표현의 변화 요인을 크게 두 가지로 들어보면, 디자이너의 사고방식의 변화에 더해진 기능주의로 인한 디자인 단순화와 함께 이후 다원주의 사회에서의 상징성이 그 원인이라 할 수 있다.
인체와 건축
자연과 건축
유기체와 건축
↓
AEG터빈공장
(1904)
&
로 고
↓
1. 기능주의에 따른 조형요소의 변화
1930년대 소위 ‘기능주의자’의 이념을 잘못 사용한 결과로 그릇된 상황이 만들어지기까지 할 만큼 기능주의와 합리주의는 1900년대 초, 중반을 지나면서 건축 디자인 과정뿐만 아니라 결과물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로 등장하기 시작한다. 1940년대 중반 모더니즘이 완성이 되면서 건축과 미학적 개념은 사회에 나타난 여러 가지 문제와 시대적 요구에 충분히 호응하지 못한 채 혼란을 겪은 반면 다양한 근대 건축의 기능론자들이 주장하는 법칙과 기능주의적 이론에 의해 유럽의 근대사회가 재건되고 건축의 범위가 크게 확대되면서 젊은 건축가들은 확실한 혁신적 건축가의 방법으로 설계 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자기 자신의 독창성 확립을 위해 노력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디자인은 점차 그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한 최소한의 표현으로 점차 복잡해지는 디자이너의 사고에 따른 최대의 의미와 상징을 내포할 수 있도록 변화되어 갔으며, 1960년대 이후에는 이상적인 모델 (ideal model)에 눈뜨기 시작하면서 이론가에 의한 이론 축적과 실무에 종사하는 건축가에 의한 실험의 시대로써 형식과 비형식의 현대적 대립을 통한 기학적 조형요소에 기능주의적인 요소가 더해진 근대 건축물들이 등장하게 된다.
2. 디자인 사고의 변화와 상징성(Symbolism) 경향
먼저 인간의 사고체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디자인 프로세스와 따른 행위를 간단히 요약한다면 디자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절한 디자인 개념(Concept)을 설정하고 이렇게 설정된 개념에 가장 부합하는 시각적인 표현(visual representation)을 만들어내는 행위(behavior)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디자인이란 인공물(artifacts)에 관련된 지적 활동으로서, 건축에서는 문제 공간을 탐색하는 과정으로도 이해할 수 있으며, 디자인에서의 해결안은 얼마나 만족스러운가에 대한 판단으로써, 그에 따른 디자인은 가장 좋은 해답(the best)보다는 만족스러운(satisficing) Simon(1982)은 디자인 결과는 최적안이나 최선안이 아니라 디자이너가 만족하는 수준의 해결안이라는 의미를 나타내기 위해 ‘satisfice\'이라는 새로운 단어를 사용하고 있다.
해답을 구하는 것으로 규정되기도 하는데(Simon 1970, 1982), 특히 건축에 있어서는 인간의 거주(dwelling) 및 정착(settlement)의 개념을 실현하고 여기에 형태를 부여하기 위한 기본적인 탐구 활동이 가장 주요한 목적이라 할 수 있다.
사상 / 현상
개체화 (specialization)
개 념
추상화 (abstraction) Metaphor(은유)의 어원은 그리스어의 메타페레인에서 유래되었다. 메타는 ‘너머로’ 또는 ‘위로’의 뜻이 있고, 페레인은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