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웬의 가족치료와 사례개입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서론
1)보웬의주요개념
2)주요기법

2.본론
k와j부부의 사례
1)문제증상
2)가족배경
3)가계도
4)가설및 진단요약
5)상담목표
6)상담과정계획

3.결론및소감

본문내용

냉담, 분노, 원 한, 갈망, 절망, 불안, 공허, 우울, 고독과 당황스러움, 어리둥절함, 정체감 상실, 두통과 불면으로 시달리는 신체적 증상을 호소하였다. 그리하여 구체적인 방법 으로 비슷한 상실을 당한 이웃을 찾아 서로 돕는 미망인들의 지원 그룹의 모임 이 있음을 소개하였다. 다행히 J어머니의 참석의지에 따라 8주간의 토요 모임에 참석하기로 약속을 받았다.
다섯 번째 과정(12∼22 회기)
<12회기>
상담목표 : J와의 상담을 통해 J의 애도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현실을 점검한다.
치료기법 : 과정 질문
상담내용 : 아버지의 죽음이 현실로 인정되지 않아 어려움을 겪었으며 체중감량과 위장장애 의 신체적 증상이 있었다. 지난번 양가 가족 모임으로 상실의 슬픔을 가진 이들 이 체험할 가능성에 대해 알게 되어 자신과 어머니 모두 큰 도움이 되었으며 남 편이 상담 후 J와 어머니를 돌보아주어 감사하다고 하였다.
<13~15회기, 16~18회기>
상담목표 : K부부를 따로 3회씩 상담하여 각자가 속해 있던 원가족과의 미분화된 관계성에 초점을 맞추고 상담한다. 
치료기법 : ①치료적 삼각관계
②관계성 실험
상담내용 : K부부는 각자, 원가족과의 관계에서 어머니와 지나치게 의존되어 현재 자신들이 여전히 삼각관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을 인식하였다.
<19회기>
상담목표 : J어머니와 K부부를 만나 현재의 상황을 점검하고 자율성을 회복한다.
치료기법 : 관계경험(관계성 실험)
상담내용 : J어머니는 8주의 미망인 지원 그룹을 통해 많은 위로와 격려를 받고 홀로서기의 개념이 무엇인지 깨닫게 되었다고 한다.
K부부는 상담이 큰 힘이 되었으며 떠남과 연합과 하나됨의 신학적 의미를 깨닫 게 되었다고 한다.
<20회기>
상담목표 : K의 부모를 만나 가족성원들의 체계과정을 알도록 하며, 체계과정에서 자신의 역할은 무엇인지 인식하도록 한다.
치료기법 : 과정질문
상담내용 : K아버지 - 상담자의 분석에 만족하며 자신의 개방성과 보수성 사이에서 K가 그 토록 어려워하는 줄 몰랐으며 양 가족이 K부부의 온전한 떠남을 위 해 걸림돌이 되어서는 안 된다고 하였다.
K어머니 -남편 의견에 동의하나 K와 의존적 관계를 가지려는 무의식을 고백 하고 자신의 행동이 어리석었음을 깨닫게 되었다.
<21회기>
상담목표 : J어머니와 K어머니를 대상으로 '떠남과 연합'의 질문에 대한 대화로 좀 더 객관 적으로 사고하고 행동할 수 있도록 돕는다.
치료기법 : I-Position
상담내용 : J어머니는 홀로서기의 진정한 의미를 알 것 같다면서 처음 아이들의 분가를 제 안한 사위의 아버지에게 죄송함과 감사의 마음을 느끼게 되었다.
<22회기>
상담목표 : 마지막 회기로 양가부모와 K부부가 한 자리에 모여, 새로운 계획을 실천하고 모 든 가족원들이 각자 변화의 주체가 되어 자신들의 행동을 통제하고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각자의 목표 설정과 이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치료기법 : 다중가족치료기법
상담내용 : K어머니는 아이들의 행복을 위해서 부모들이 미련없이 자녀들을 떠나보내야 한 다며, 아이들이 가정을 꾸려 자신들의 삶을 살게 해주는 것이 부모의 도리라 생 각한다고 하였다. J어머니 역시 남편을 잃고 다시 같이 살던 딸과 헤어져야한다 는 것이 처음에는 용납되지 않았으나 그 동안의 훈련과 상담자의 권면으로 자신 의 생각이 어리석었다고 말했다.
J는 그 동안의 상담을 통해 자신의 생각이 의존적인 관계에서 출발하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하며 어머니와의 의존 관계와 남편과의 의존 관계에서 자유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다짐했다. K는 원 가족에서 아버지와 종종 떠남의 문제로 부 딪혔던 아픔을 늘 가지고 있었는데 이제 분가하기로 해 마음이 홀가분하며 온전 한 떠남을 위해 부부사랑 학교에 나가 많은 도움을 받고 있다고 했다.
결국, 그 해 K부부는 분가하고 J의 어머니는 이사하여 두 가족이 홀로서기를 연습하고 있다.
Ⅲ.결론 및 소감
보웬의 다세대중심 가족치료는 개인의 문제를 그 개인에게만 국한시키지 않고 그 가족내의 복합적인 문제로 보아 가족치료의 중요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이론인 것 같다. 특히 자아분화를 가장 중요시하여 낮은 자아분화수준을 높여서 독립적이고, 개성있는 한 인격으로 독립시키는 것을 가장 큰 목표로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특히 이 이론은 한국인에게 잘 맞는 것 같다. 우리나라에서 일어나는 대부분의 부부 문제는 성인이 되어서도 부모의 그늘을 벗어나지 못하고, 남편은 아내와 어머니 사이에서 여전히 갈등하고 그것이 부부의 문제로 고부간의 갈등으로 이어지는 사례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런 경향은 윗세대들의 영향을 많이 받기에 다음세대에 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어서 모든 가정들이 빨리 해결해야 할 문제인 것 같다. 그리고 보웬의 자아분화 이론이나 삼각관계 등 주요이론이 실제로 매우 타당성 있는 것 같고 무엇보다 자녀가 자아분화를 잘 이룰 수 있도록 도와주는 부모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 것을 알았다.
그러나 이론서와 치료기법의 설명만 보고서는 실제 상담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 정확히 알기가 너무 어려웠다. 사례에서조차 그 기법들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사용되었는지는 알 수 없었고 충분히 다루어 놓은 문헌도 잘 찾을 수 없어서 발표에 있어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고 앞으로 이 부분에 대한 연구도 많이 이루어져야 할 것 같다고 조원들이 의견을 모았다.
참고문헌
1. 송정아,최규련 공저 (1997). 「가족치료 이론과 기법」. 夏雨
2. MICHAEL P.NICHOLS, RICHARD C.SCHWARTZ 지음. 김영애,김정택,심혜숙,정석환,제 석봉 옮김 (2004). 「핵심개념과 실제적용 가족치료」. 시그마 프레스
3. 김선남 (1999). 「가족상담의 이론과 실제」. 경상대학교 출판부
4. 최외선,백양희,김갑숙 (1999). 「체계론적 가족치료」. 형설출판사
5. 중독자 가정의 가족치료 (Family therapy for addictive families) / 고병인
6. 敎授論叢 : 한세대학교 16호 수록(페이지 98-125)
"보웬의 가족치료이론으로 본 S부부의 사례연구" / 고병인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0.03.04
  • 저작시기2005.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81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