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의 목적과 배경
2. 실험의 배경이론
3. 실험 방법
4. 데이터
5.결과 분석 및 토의
6. 결론
7. 참고 문헌
2. 실험의 배경이론
3. 실험 방법
4. 데이터
5.결과 분석 및 토의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전도인데 측정 값은 0.62로 거의 40%의 큰 오차를 보였다. 그 원인을 살펴보자.
우선 위의 q측정 실험의 오차가 이 실험에 모두 그대로 반영되기 때문에 일단 기본적 오차의 요인을 포함한 채로 실험분석에 들어가므로 큰 오차는 예상이 가능하다. 더구나 가장 크게 작용했던 오차 요인은 열 손실률의 측정에 내포되어 있었다. 우리는 열손실률을 측정할 때 손실률은 언제나 일정하고 냉각속도에 비례한다고 가정했다. 하지만 냉각속도가언제나 시간에 따라 일정한 것은 아니다. 그것은 다음 관계식을 유도함으로 써 알 수 있다.
즉 냉각속도와 시간의 관계는 지수함수의 꼴이 되어 실제로는 우리의 가정과 다르게 된다. 이는 열손실률에 내재된 오차의 가능성을 뚜렷이 보여주는 결과이다.
-실험 과정중 물을 저어주는 이유와 그것이 실험에 미치는 영향-
가열선에서 나온 전기에너지가 물에 잘 퍼지게 하기 위해서이다. 물의 온도차로 인한 대류 로서는 가열선의 열을 고루 전달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하지만 물을 저어준다고 하더라도 물의 온도에 큰 영향을 주지는 않을 것이다. 물을 강제 대류 시키기 위해 해 주는 에너지가, 물 0.1g을 10cm들어올리는 정도라고 하면 그 에너지 e는
e = 0.0001 × 0.1 × 9.8 = 9.8 × 10-5
대략 수백번에서 수천번까지 저어 준다고 해도 3000-4000J 의 열량을 다루는 이번 실험에서는 1-2%이하의 영향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그 밖에 언급하고 싶은 부분-
우선 P'의 설정에 관한 것이다. physlab에 나온 대로 P'를 구하면 이는 음의 값이 나온다. 그런데 그 다음 식으로 넘어가면서 (P-P')라는 것이 나온다. 하지만 이는 엄연히 잘 못된 것으로 (P+P')으로 바꾸어야 할 것이다.
또한 우리가 고려하지 않은 것은 전열선에 온도가 높아질수록 그 저항이 달라져 발생하는 열량이 변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에 대해 실험당시에 자세히 고려하지 않아 아쉬 웠다.
6. 결론
열의 일 해당량이나 열량계의 열용량, 물체의 비열등을 어느정도 오차요인을 감수한다면 이해 할만 한 수준에서 얻어낼 수 있었다. 하지만 실험 전에 열 손실률 부분에 대한 준비가 더 있었더라면 각각의 질량에 대한 손실률 측정을 통해서 좀더 정확한 실험을 할 수 있었을거라는 생각이 든다.
7. 참고 문헌
http://physlab.snu.ac.kr)
Principles of Physics third edition
우선 위의 q측정 실험의 오차가 이 실험에 모두 그대로 반영되기 때문에 일단 기본적 오차의 요인을 포함한 채로 실험분석에 들어가므로 큰 오차는 예상이 가능하다. 더구나 가장 크게 작용했던 오차 요인은 열 손실률의 측정에 내포되어 있었다. 우리는 열손실률을 측정할 때 손실률은 언제나 일정하고 냉각속도에 비례한다고 가정했다. 하지만 냉각속도가언제나 시간에 따라 일정한 것은 아니다. 그것은 다음 관계식을 유도함으로 써 알 수 있다.
즉 냉각속도와 시간의 관계는 지수함수의 꼴이 되어 실제로는 우리의 가정과 다르게 된다. 이는 열손실률에 내재된 오차의 가능성을 뚜렷이 보여주는 결과이다.
-실험 과정중 물을 저어주는 이유와 그것이 실험에 미치는 영향-
가열선에서 나온 전기에너지가 물에 잘 퍼지게 하기 위해서이다. 물의 온도차로 인한 대류 로서는 가열선의 열을 고루 전달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하지만 물을 저어준다고 하더라도 물의 온도에 큰 영향을 주지는 않을 것이다. 물을 강제 대류 시키기 위해 해 주는 에너지가, 물 0.1g을 10cm들어올리는 정도라고 하면 그 에너지 e는
e = 0.0001 × 0.1 × 9.8 = 9.8 × 10-5
대략 수백번에서 수천번까지 저어 준다고 해도 3000-4000J 의 열량을 다루는 이번 실험에서는 1-2%이하의 영향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그 밖에 언급하고 싶은 부분-
우선 P'의 설정에 관한 것이다. physlab에 나온 대로 P'를 구하면 이는 음의 값이 나온다. 그런데 그 다음 식으로 넘어가면서 (P-P')라는 것이 나온다. 하지만 이는 엄연히 잘 못된 것으로 (P+P')으로 바꾸어야 할 것이다.
또한 우리가 고려하지 않은 것은 전열선에 온도가 높아질수록 그 저항이 달라져 발생하는 열량이 변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에 대해 실험당시에 자세히 고려하지 않아 아쉬 웠다.
6. 결론
열의 일 해당량이나 열량계의 열용량, 물체의 비열등을 어느정도 오차요인을 감수한다면 이해 할만 한 수준에서 얻어낼 수 있었다. 하지만 실험 전에 열 손실률 부분에 대한 준비가 더 있었더라면 각각의 질량에 대한 손실률 측정을 통해서 좀더 정확한 실험을 할 수 있었을거라는 생각이 든다.
7. 참고 문헌
http://physlab.snu.ac.kr)
Principles of Physics third edition
추천자료
유도기전력 (코일을 통과한 자석) 레포트 - 일반물리학실험
줄의 진동 레포트 - 일반물리학실험
RLC 회로 - 전압센서 레포트 - 일반물리학실험
액체의 밀도 측정 - Hare 장치 레포트 - 일반물리학실험
단순조화운동 레포트 - 일반물리학실험
경사면 위에서의 운동학 - Air Track 레포트 - 일반물리학실험
낙하운동과 중력 가속도측정 레포트 - 일반물리학실험
기계공학실험 마찰접합 전문 레포트 : 우수 레포트(마찰접합)
비틀림 실험 (결과레포트)
유리기구의 불확실성 결과레포트 : 실험에서 사용되는 유리 기구의 용도를 이해하고 사용법을...
일반화학실험 재결정 레포트
물리실험 결과 레포트 보고서 - 구심력과 원운동 A+ 연세대
1학년 물리 실험 결과 레포트 보고서 - 일과 에너지 (A+) 연세대
일반화학실험-기체의 몰질량 A+레포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