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메이킹] 외모지상주의에 대하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외모지상주의란 무엇인가?

2.그렇다면 이런 외모지상주의가 나타나게 된 배경은 무엇일까?

3.외모지상주의(얼짱문화)가 사회의 문제로 부각된 원인은 무엇일까?

4.외모지상주의의 문제점에 대한 방안으로는 무엇이 있을까?

본문내용

할 정도로 평상시에 볼 수 있는 뚱뚱하거나 앞집 아저씨 같은 친근한 사람들이 광고에 출현한다. 미국 사람들이라고 외모에 신경을 쓰지 않으랴만, 날씬 한 사람보다는 뚱뚱한 사람이 자주 눈에 띈다. 잘생긴 사람들만 나와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깨고 독특하고 개성있게 생긴 모델을 출연시킴으로써 사람들에게 관심을 갖게 만들고 보다 친숙한 모습들을 광고에 넣음으로써 자연스럽게 광고를 볼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준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할 만하다. 그렇다고 미국광고가 다 좋다고 해서 꼭 우리도 그렇게 하라는 것이 아니다. 지금은 세계화 시대이고 실용주의 사회이다. 그러므로 어느 정도 유용하게 쓰일 것들에 대해서는 겸허하게 받아들이고 배격해야 할 것에 대해서는 강하게 부정해야 한다고 말하고자 하는 것이다.
외모지상주의(얼짱신드롬)에 대해 어떤 시각으로 봐야 하나?
이렇게 외모지상주의(얼짱)에 대해 알아보았다. 우리는 무조건 얼짱 문화자체를 비하하거나 폄하시키고 싶진 않다. 다만 네티즌들의 자생적 문화이자 다지털세대의 자기표현 욕구를 상업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현실에 대해, 그것을 전혀 부끄럽게 여기지 않는 대중매체와 기성세대를 지적하고 싶을 뿐이다. 얼짱ㆍ몸짱 타령은 부끄러운 기억으로 족하다. 굳이 짱문화를 만들고 싶다면 좀더 생산적이고 건전한 짱문화를 만들어 보면 어떨까? 예를 들면 자원봉사짱ㆍ기부짱ㆍ나눔짱ㆍ평등짱처럼 말이다. 올해에는 눈과 말초신경을 만족시키는 문화가 아니라, 우리의 마음과 머릿속을 꽉 채워줄 문화를 기대해본다. 아울러 사람들의 자기 표현 욕구와 생산욕구가 좀더 건전하고 발전적인 형태로 표출되길 바란다.
  • 가격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09.26
  • 저작시기2006.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90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