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적가족치료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진단과 치료과정에 대한 것만이 분석되어 있다. 따라서 사후지도 및 관리에 대한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치료가 끝난 후의 가족들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아 치료와 전문가의 이론적 개입에 대한 효과성을 입증할 수 없다.
치료가 끝난 후의 가족들에 대한 평가 및 사후지도는 가족들의 완벽한 문제 해결의 목적도 있지만 개입된 전문가와 응용되어진 이론에 대한 효과성을 입증하기 위한 목적도 갖는다. 따라서 치료와 전문가의 이론적 개입에 대한 효과성 입증과 보완점 제시를 위해서는 치료가 끝난 후, 가족들에 대한 평가 및 사후지도에 대한 분석 또한 이루어져야 한다.
≪ 목 차 ≫
I . 이론적 배경
1. 가족치료의 역사적 배경 및 개념
2. Minuchin의 구조적 가족치료 이론 (Structual Family Therapy)
Ⅱ. 사례 및 연구방법 선정
1. 사례선정
2. 면담기간
3. 면담시간
4. 면담장소
5. 면담과정
6. 분석도구
Ⅲ. 사례적용
1. 사례연구
Ⅳ. 결론
Ⅴ. 보완점
Ⅵ. 참고문헌
Ⅵ. 참고문헌
1) 이광규 “한국 가족의 구조분석” (서울, 일지사 1975) p. 15
2) 이중록 “가정환경의 지위변인에 따른 구조변인과 가정변인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1985) p.5
3) Curtis Janzen & Oliver Harris, Family Treatment in Social Work Praetice. (Illionis : F.E.Peacock Publisher, Ins, 1980) p.4
4) 가족치료 이론의 분류에는 1. GAP보고서 분류 2. Beel과 Ferber의 분류 3. Guerin의 분류가 있다. 이명홍 (1979)의 “세계 아동의 해 기념 아동복지 세미나”에서 이를 종합적으로 분류 보고한 것을 인용
5) Ann Hartman & Joan Laird, Family - Centered Social Work Practice, (N.Y : The Free Press 1983) p.215-284 참조
6) James O.Hansen and L.Labate, Approaches millan Publishing Co Inc. 1982. p.2
7) Philip J. Guerin, Jr.M.D.(1976) Family Therapy (New York : Garder Press, Inc) p.2
8) M.Bowen M.D Theory In the Practice of Psychotherapy. Philip. J. Guerin, Jr, M.D. (New York : Garder, Inc) 1976. p 55
9) 강은옥 “가족치료에 있어서 Bowen의 이론과 그 적용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983) p 1.
10) 이명홍 “가족치료 이론 개요와 Minuchin의 구조적 가족치료” (사회복지, 학회지, 제 2호. 1980)
11) 한국 사회산업 대학 협의회 주최 “사회사업 교육자세미나” 개최 1973. 8.16 - 8.19
12) Nathan W.Ackerman. "Family Psychotherapy Today". Family Process. col 123. No 9. 1970. p 123.
13) 이명홍 “가족치료 이론개요와 Minuchin의 구조적 가족치료” (사회복지 학회지, 제 2호. 1980)
14) 송성자 “한국 부부간의 의사소통 유형과 가족문제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숭전대학교, 대학원. 1985) p 11.
15) 배은영 “가족치료의 체계론적 접근에 관한 비교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6) p 31.
16) Salvador Minuchin. Families & Family Therapy. (Cambridge. Massachusetts : Harvard University Press. 1979) pp 2-4
17) 한인영, “가족치료에 있어서 Bowen 이론과 Minuchin이론의 비교연구” (미간행,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사업과 1979) pp 38-48
18) Marshell Jung. "Directions for Building Family Development Theory" Social case work. 1983. p 366.
19) 한인영, opcit. pp 35
20) 이효재, “가족과 사회” (서울 경문당. 1993). p 238.
21) Minuchin. op. cit. p 57.
22) 김종욱, “가족치료의 이론과 실제” (아동문제에 관한 연구 보고서 제 11집. 서울특별시 시립아동상담소. 1984) p 15.
23) 배광웅, “장애가족의 재활을 위한 구조적 가족치료의 접근연구” (사회복지 학회지 제 8호 1986). p 44.
24) 이효재, op. cit p 280.
25) Salvador. Minuchin, op. cit pp 57-59
26) 김종욱, “사회사업 실천에 있어서의 가족치료” (연세논단, 제 21권 별책.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5) pp 368-374.
27) Minuchin, op, cit p 54.
28) Ibid. p 54.
29) 김효남, “한국가족치료에 있어서 Minuchin의 구조적 가족치료 이론의 적용가능성” (숭전대학교 대학원. 사회사업과 1984) p 32.
30) Salvador, Minuchin. op. cit. p 55.
31) Ibid. p 53.
32) S. Minuchin and C. H Fishman, Family Therapy, Techniques, Cambridge. : Ha
33) S. Minuchin. op. cit pp 123-128.
34) Ibid. pp 140-147.
35) Ibid. pp 143-147
36) A. Hartman and J. Laird, Family Centered Social Work Practice, (New York : The Free Press) 1983. p 313.
37) 김효남. op. Cit. p 37.
38) S. Minuchin, op, cit pp 155-157.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7.10.02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91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