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flute 의 역사
2. flute 의 구조
(Piccolo)
(Alto Flute)
(Bass Flute)
- 참고문헌 및 자료 -
2. flute 의 구조
(Piccolo)
(Alto Flute)
(Bass Flute)
- 참고문헌 및 자료 -
본문내용
의 음색은 저음역은 약하고 공허한 느낌을 주기 때문에 칸타빌레(cantabile)의 느린 멜로디와 낮은 음역에서는 별로 사용하지 않으나, 현대 음악 에서는 새로운 음향 효과를 주기 위하여 가끔 쓰이기도 합니다.
피콜로의 고음역은 찌르는 듯이 날카로운 음색이어서 오케스트라, 관악 합주 등에서 다른 악기에 비해서 눈에 띠게 두드러진 소리를 냅니다
주로 관현악곡에서 플루트나 클라리넷 과 함께 유니즌(Unison: 같은 멜로디의 곡을 함께 연주하는 합주하는 것)으로 연주하면 멜로디가 더욱 명쾌해집니다.
피콜로의 악보는 보통의 높은음자리표를 사용하지만 실제의 소리는 한 옥타브 위의 음이 납니다.
피콜로는 그 연주가 민첩하고 빠른 음형이나 도약 진행, 아르페지오 등 어떤 경우에도 자유롭게 연주할 수 있는 악기입니다.
(Alto Flute)
피콜로와는 반대로 플루트의 저음 확장을 위해 개발된 악기입니다
1854년 뵘(Theobald Bohm1794-1881)에 의해 개량·완성되었습니다.
알토 플루트는 길이는 90cm 정도이며 일반적으로 잘 사용되고 있지 않은 악기로서 정규 오케스트라 편성에서도 상설되지 않고 있습니다.
소리 구멍도 그 간격이 넓혀지는데, 정교한 키 장치에 의해 손가락이 닿도록 되어 있습니다.
연주 기술은 플루트와 마찬가지이며 더블텅잉과 트리플텅잉도 용이하지만 전체적으로 플루트보다 더 많은 호흡량을 필요로 합니다. 음질은 굵고 부드러우며 약간 어두운 울림을 갖는데 ,고음역은 화려함이 적고 저음역은 풍부한 음량을 냅니다.
악기로서 기보법은 높은음자리표를 사용하며, 그 실음은 기보보다 4도 낮아, 이조악기로 취급됩니다.
연주기술은 플루트와 같으며, 음역은 G에서 위는 C'''까지입니다.
알토 플루트는 1854년경 뵘에 의해 개량되어 현재와 같은 형태를 갖추게 되었고, 림스키 코르사코프, 홀스트, 스트라빈스키, 브리튼 등 현대 작곡가 들이 즐겨 사용했습니다.
(Bass Flute)
이 악기는 비교적 일찍부터 제작되었는데, 1910년 밀라노 스칼라 좌의 수석 플루트주자 Abelardo Albisi 가 제작한 Albisiphone 라 불리는 동계 악기가 나오기 까지는 일정한 것이 없었습니다.
알토 플루트보다 더욱 확대된 형태로서, 보통 플루트보다 한 옥타브 밑으로 조율됩니다.
악기의 크기로 인해서 중량이 증가되므로 은이나 은도금판으로 만들어졌습니다.
1910년 밀라노의 아베라르도 알비시폰(Abelardo Albisiphone)이라 불리는 악기가 나오기까지는 일정한 것이 없었으며 그 후 1930~40년 사이에 영국의 루달 카르테 상회에 의하여 개량되어 현재의 베이스 플루트와 같은 조작이 수월하고 보다 진보된 악기가 완성되었습니다. 음색은 굵으면서도 부드럽고 정숙하며 미묘한 감정과 신비함까지 표현해주는 악기입니다
베이스 플룻은 F조, E 조, C조, G조 등이 있습니다. 이 중 C조 베이스 플룻는 가장 큰 대형으로 길이는 127cm, 관장 32mm나 됩니다. 악기의 구조는 C조의 경우 전체의 길이가 127cm에 이르기 때문에 윗관과 이어지는 부분의 가운데 관이 한 바퀴 돌려진 형태로 되어 있습니다.
악기가 대형이므로 연주자는 많은 호흡량을 필요로 하며 저음 내기가 그리 쉽지는 않습니다.
- 참고문헌 및 자료 -
http://www.gflutes.co.kr
http://www.flute-korea.com
http://flute.new21.net/
논문명/저자명 플루트의 구조적 변천 과정에 관한 고찰 /박혜상
발행사항 서울 : 동덕여대 대학원, 200408
Flute의 역사와 구조적 발달과정에 대한 연구/남궁선
발행사항 성남: 경원대 대학원, 200302
피콜로의 고음역은 찌르는 듯이 날카로운 음색이어서 오케스트라, 관악 합주 등에서 다른 악기에 비해서 눈에 띠게 두드러진 소리를 냅니다
주로 관현악곡에서 플루트나 클라리넷 과 함께 유니즌(Unison: 같은 멜로디의 곡을 함께 연주하는 합주하는 것)으로 연주하면 멜로디가 더욱 명쾌해집니다.
피콜로의 악보는 보통의 높은음자리표를 사용하지만 실제의 소리는 한 옥타브 위의 음이 납니다.
피콜로는 그 연주가 민첩하고 빠른 음형이나 도약 진행, 아르페지오 등 어떤 경우에도 자유롭게 연주할 수 있는 악기입니다.
(Alto Flute)
피콜로와는 반대로 플루트의 저음 확장을 위해 개발된 악기입니다
1854년 뵘(Theobald Bohm1794-1881)에 의해 개량·완성되었습니다.
알토 플루트는 길이는 90cm 정도이며 일반적으로 잘 사용되고 있지 않은 악기로서 정규 오케스트라 편성에서도 상설되지 않고 있습니다.
소리 구멍도 그 간격이 넓혀지는데, 정교한 키 장치에 의해 손가락이 닿도록 되어 있습니다.
연주 기술은 플루트와 마찬가지이며 더블텅잉과 트리플텅잉도 용이하지만 전체적으로 플루트보다 더 많은 호흡량을 필요로 합니다. 음질은 굵고 부드러우며 약간 어두운 울림을 갖는데 ,고음역은 화려함이 적고 저음역은 풍부한 음량을 냅니다.
악기로서 기보법은 높은음자리표를 사용하며, 그 실음은 기보보다 4도 낮아, 이조악기로 취급됩니다.
연주기술은 플루트와 같으며, 음역은 G에서 위는 C'''까지입니다.
알토 플루트는 1854년경 뵘에 의해 개량되어 현재와 같은 형태를 갖추게 되었고, 림스키 코르사코프, 홀스트, 스트라빈스키, 브리튼 등 현대 작곡가 들이 즐겨 사용했습니다.
(Bass Flute)
이 악기는 비교적 일찍부터 제작되었는데, 1910년 밀라노 스칼라 좌의 수석 플루트주자 Abelardo Albisi 가 제작한 Albisiphone 라 불리는 동계 악기가 나오기 까지는 일정한 것이 없었습니다.
알토 플루트보다 더욱 확대된 형태로서, 보통 플루트보다 한 옥타브 밑으로 조율됩니다.
악기의 크기로 인해서 중량이 증가되므로 은이나 은도금판으로 만들어졌습니다.
1910년 밀라노의 아베라르도 알비시폰(Abelardo Albisiphone)이라 불리는 악기가 나오기까지는 일정한 것이 없었으며 그 후 1930~40년 사이에 영국의 루달 카르테 상회에 의하여 개량되어 현재의 베이스 플루트와 같은 조작이 수월하고 보다 진보된 악기가 완성되었습니다. 음색은 굵으면서도 부드럽고 정숙하며 미묘한 감정과 신비함까지 표현해주는 악기입니다
베이스 플룻은 F조, E 조, C조, G조 등이 있습니다. 이 중 C조 베이스 플룻는 가장 큰 대형으로 길이는 127cm, 관장 32mm나 됩니다. 악기의 구조는 C조의 경우 전체의 길이가 127cm에 이르기 때문에 윗관과 이어지는 부분의 가운데 관이 한 바퀴 돌려진 형태로 되어 있습니다.
악기가 대형이므로 연주자는 많은 호흡량을 필요로 하며 저음 내기가 그리 쉽지는 않습니다.
- 참고문헌 및 자료 -
http://www.gflutes.co.kr
http://www.flute-korea.com
http://flute.new21.net/
논문명/저자명 플루트의 구조적 변천 과정에 관한 고찰 /박혜상
발행사항 서울 : 동덕여대 대학원, 200408
Flute의 역사와 구조적 발달과정에 대한 연구/남궁선
발행사항 성남: 경원대 대학원, 20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