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고로법
Ⅱ. COREX (Coal Ore Reduction) 공법
Ⅱ. COREX (Coal Ore Reduction) 공법
본문내용
뿐만 아니라, COREX법은 세계 여러 나라에서 가장 선호하고 있는 용융환원 제철법으로 현재 10여개의 설비 도입 계획이 추진되고 있으며, 그 규모도 연산 100만톤 이상까지 확대하고 있어 향후 고로의 대체 설비로 대두될 가능성을 갖고 있다. 현재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한 규모의 확대와 분광 사용 비율을 증가시키는 것이 이미 상용화된 COREX법의 향후 주요 발전 과제이다.
3. COREX공법의 특징
COREX는 기존 고로법의 소결공정(粉철광석의 塊狀化)과 코크스공정(유연탄의 乾溜)을 생략한 용융환원제철법의 한 종류로서 철광석과 석탄을 爐에 직접 투입하는 최신 공법이다.
(1) 장점
① 제조원가 및 투자비 절감 (12만원/ton, 고로는 8만원/ton)
② 기존 고로법에 비해 소결, 코크스 설비가 없다.
③ SO₂등 공해물질 발생량이 적어 대기 오염이 적다..
④고로대비 생산량 조절이 용이하므로 수요변화에 신축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2)단점
① 대량생산체제 구축 미흡하다.
② 사용원료의 제약이 있다. 코렉스 설비의 원료로 괴상의 철광석 또는 분광을 가공한 팰릿을 사용해야 하는데, 괴광은 분광에 비해 가격이 훨씬 비싸고 생산량이 제한되어 있어 장기적으로 구입자체가 용이하지 않을 전망이고, 팰릿은 분광을 팰릿으로 제조하는 공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원료비용이 크게 상승하는 문제가 있어 사용원료의 제약이 수반된다.
③ 향후 전망
COREX는 포항제철이 설비규모를 2배로 키운 사실상의 신기술로서 설비 및 가동에 따른 문제점 개선에 1년이 소요되었으나 현재 정상가동 중이며, 현재 남아공에 1기(Iscor사 30만 톤), 포항제철에 1기(60만 톤)를 가동 중이며, 세계적으로 10여 개의 설비 도입계획이 추진되는 등 가장 각광받고 있는 용융 환원 제철기술로 향후 용광로의 대체설비로 대두될 가능성이 많은 철강기술로 세계철강업계가 주시하고 있다. 다만 문제는 철광석의 60%를 차지하고 있는 분광을 사용할 수 없는 것인데, 이 같은 단점을 보완하여 분광을 사용토록 하는 것이 FINEX공법으로 우리 나라에서도 '90년 이후 공업기반 기술 개발사업에서 예산으로 지원되고 있다.
(4) 용융 환원 제철법의 세계 동향
일본의 경우 통산성과 철강연맹이 주도하고 신 일본제철을 비롯한 8개 회사와 석탄기술연구소가 참여하여 '88년부터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도 에너지성과 철강협회가 주관하고 철강업계와 학계가 공동연구를 진행시키고 있다. 일본의 투자비는 900억원(2/3 정부지원)정도이고, 미국의 투자비는 400억원 정도이다.
COREX 공법과 같은 혁신철강기술은 경쟁국들도 전략적으로 개발하고 있는 기술이므로 성공적인 기술개발과 상용화는 철강산업의 경쟁력 유지를 위해 극히 필요하다.
참고 문헌
교육인적자원부(1998). 기계재료, 대한교과서,pp.52~53.
(주) POSCO : http://www.posco.co.kr
(주) 조선내화 : http://www.chosunref.co.kr
대한금속협회 : http://www.kim.or.kr
3. COREX공법의 특징
COREX는 기존 고로법의 소결공정(粉철광석의 塊狀化)과 코크스공정(유연탄의 乾溜)을 생략한 용융환원제철법의 한 종류로서 철광석과 석탄을 爐에 직접 투입하는 최신 공법이다.
(1) 장점
① 제조원가 및 투자비 절감 (12만원/ton, 고로는 8만원/ton)
② 기존 고로법에 비해 소결, 코크스 설비가 없다.
③ SO₂등 공해물질 발생량이 적어 대기 오염이 적다..
④고로대비 생산량 조절이 용이하므로 수요변화에 신축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2)단점
① 대량생산체제 구축 미흡하다.
② 사용원료의 제약이 있다. 코렉스 설비의 원료로 괴상의 철광석 또는 분광을 가공한 팰릿을 사용해야 하는데, 괴광은 분광에 비해 가격이 훨씬 비싸고 생산량이 제한되어 있어 장기적으로 구입자체가 용이하지 않을 전망이고, 팰릿은 분광을 팰릿으로 제조하는 공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원료비용이 크게 상승하는 문제가 있어 사용원료의 제약이 수반된다.
③ 향후 전망
COREX는 포항제철이 설비규모를 2배로 키운 사실상의 신기술로서 설비 및 가동에 따른 문제점 개선에 1년이 소요되었으나 현재 정상가동 중이며, 현재 남아공에 1기(Iscor사 30만 톤), 포항제철에 1기(60만 톤)를 가동 중이며, 세계적으로 10여 개의 설비 도입계획이 추진되는 등 가장 각광받고 있는 용융 환원 제철기술로 향후 용광로의 대체설비로 대두될 가능성이 많은 철강기술로 세계철강업계가 주시하고 있다. 다만 문제는 철광석의 60%를 차지하고 있는 분광을 사용할 수 없는 것인데, 이 같은 단점을 보완하여 분광을 사용토록 하는 것이 FINEX공법으로 우리 나라에서도 '90년 이후 공업기반 기술 개발사업에서 예산으로 지원되고 있다.
(4) 용융 환원 제철법의 세계 동향
일본의 경우 통산성과 철강연맹이 주도하고 신 일본제철을 비롯한 8개 회사와 석탄기술연구소가 참여하여 '88년부터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도 에너지성과 철강협회가 주관하고 철강업계와 학계가 공동연구를 진행시키고 있다. 일본의 투자비는 900억원(2/3 정부지원)정도이고, 미국의 투자비는 400억원 정도이다.
COREX 공법과 같은 혁신철강기술은 경쟁국들도 전략적으로 개발하고 있는 기술이므로 성공적인 기술개발과 상용화는 철강산업의 경쟁력 유지를 위해 극히 필요하다.
참고 문헌
교육인적자원부(1998). 기계재료, 대한교과서,pp.52~53.
(주) POSCO : http://www.posco.co.kr
(주) 조선내화 : http://www.chosunref.co.kr
대한금속협회 : http://www.kim.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