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문헌고찰
-정의
-병태생리
-증상
-진단
-치료
-간호
2.간호사정
3.간호과정
-정의
-병태생리
-증상
-진단
-치료
-간호
2.간호사정
3.간호과정
본문내용
35-45
pO2
131
124
30.2
88.0
80-100
HCO3
12.9
22.0
26.6
29.5
22-26
2) 일반 화학 검사
검사명
3/15
04:29
3/15
13:54
3/15
18:33
3/16
06:46
3/17
06:55
정상치
임상적 의의
WBC
11.12
5.94
6.34
6.26
7.05
5.2-12.4
RBC
4.26
3.11
3.14
3.10
3.16
4.2-6.1
출혈
Hb
13.00
9.50
9.90
9.60
9.90
12-18
출혈
Hct
36.90
26.70
26.70
26.50
26.90
37-52
급성 대량 혈액손실
MCV
86.6
85.70
84.90
85.70
85.00
80-99
MCH
30.40
30.60
31.40
30.90
31.40
27-31
MCHC
35.20
35.70
37.00
36.00
36.90
33-37
PLT
97.00
46.00
39.00
36.00
57.00
130-400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용혈성질환
NEUT
64.20
80.00
80.40
82.60
86.90
40-74
염증질환이나 염증반응
조직괴사
LYMP
24.10
9.20
9.40
8.20
4.80
19-48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면역억제제
MONO
3.70
5.50
3.10
4.10
4.30
3.4-9
EOS
5.50
3.40
5.50
3.50
2.00
0-7
BASO
0.70
0.80
0.50
0.60
0.70
0-4
LUC
1.70
1.10
1.00
1.00
1.20
0-4
MPV
8.10
8.20
8.50
9.20
8.30
7.2-10.8
Na
145
147
143
146
141
135-153
K
4.1
4.3
4.0
3.5
3.5
3.5-5.3
Cl
111
118
113
114
105
95-105
호흡성 알칼리증
염화나트륨 함유체액의
과량주입
12. 약물
약명(상품명)
작용
용법
용량
예상 부작용
금기
Mannitol
뇌압, 안압 강하 이뇨제
IV
Q4
흉부압박감,두통,구토,오한
현기증,경련, 전해질실조
급성두개내압,
심한울혈성심부전, 심한탈수상태
Furosemide
(Laxix)
이뇨 및 고혈압 치료제
IV
20mg
Q8
무과립구증, 혈소판 및 백혈구감소증,발진,담마진, 저K/Na혈증, 식욕부진, 구토, 설사, 두통, 현기
무뇨증, 간.신독성,
심한전해질감소,
임부, 수유부
TRANSAMIN-S
지혈제
혈액응고제
IV
500mg
Q2
과민증, 소양증,
발진, 졸음,
심계항진, 혈압저하
혈전이있는환자, 소모성응고장애환자에게는 주의하여 투여
Dilantin
항경련제
IV
250mg
Q12
불수의운동(이상운동증, 무도병, 고정자세불능증 등), 신경병증,어지러움, 운동실조증, 정신착란, 신경과민. 주의력.집중력,
반사운동능력의 저하,
과민증,
골수장애환자,
심근경색환자
Vit K
비타민 E 및 K제
IV
10mg
Q8
안면홍조, 미각변화,
현기, 빈맥, 발한, 저혈압,
기관지경련
이 약에 대하여 과민증이 있는 환자, 담즙분비 정지환자
Botropase
지혈제
IV
2ml
Q12
과민증상,
쇽 유사증상
혈전증,색전증환자 및 혈전증을
일으킬 우려가 있는 환자는 주의하여 투여
mucosten
진해거담제
IV
2ml
Q12
구역,구토, 가슴쓰림, 설사, 빈맥, 고혈압, 두드러기, 가려움, 발진
위 십이지장궤양 환자는 주의하여 투여
Garosan
골격근 이완제
IV
10mg
Q12
고혈압, 심박동 증가,
호흡곤란, 지속성 호흡억제, 빈맥
중증의 근무력증 환자, 쇽환자, 신장애 환자,
,심부전 환자, 고혈압 환자
13. 간호과정
1) 문제 목록
월/일
간호 문제
근거자료 (주관적, 객관적 자료)
3/16
#1. 피부손상 위험성
O:
①사지억제된 상태
②기저귀 착용
③땀에 젖어 있고 구겨져있는 침상
3/16
#2. 자가 간호 결핍
O:
① 스스로 자가 간호를 시행 할 수 없음.
(stupor, drowsy 상태)
②구강으로 호흡시 냄새가 나고 입가에 침이 흘러 있음.
③몸에 땀 분비물 배여있고,
두피쪽에 각질일어남.
2) 간호 과정
월/일
간호진단
간호계획
간호수행
합리적 근거
평가
3/16
사지억제와, 침상안정으로 인한
피부손상
위험성
①매일 피부를 매일 사정한다.
②매 시간 I/O를 체크 한다.
③매일 적절한 피부 순환을 위해 하지에 마사지를 하여준다.
④배변 시 기저귀를 즉시 갈아 주고 깨끗이 닦아 준다.
⑤깨끗하고 건조하며 주름이 없는 침상을 제공한다.
⑥손상된 부위(입술)에는 바세린 연고를 발라준다.
⑦두시간 마다 체위변경을 한다.
①-⑦
수행함.
피부변화의 조기 발견은 피부손상을 최소화 한다.
체위 변경은 한 조직에 압력이 계속 가해지는 것을 감소시키며 피부 순환을 증진 시킨다.따라서 피부손상을 피할 수 있다.
-대상자는 피부손상이 일어나지 않음.
-대상자의 점막은 원래의 상태를 유지 하고 있음.
-대상자의 침상은 깨끗하고 주름이 없으며 건조한 상태.
3/16
인지장애와 관련한
자가 간호
결핍
(식사,
옷입기,
개인위생, 목욕)
①대상자의 LOC를 매일 사정한다.
②환의의 상태를 매일 사정하여 문제점을 발견 시 이를 해결하도록 돕는다.
③대상자의 얼굴, 두발, 구강, 피부를 매일 사정하고 필요시 간호를 돕는다.
(3일에 한번 두발간호를 시행, 1일에 세 번 구강간호 시행, 1일에 한 번 부분 목욕을 시행, 얼굴 매일 아침 세면 시행
④배변을 관찰하고 기록하며 돕는다.
⑤처방에 의해 배변을 돕는 약물을 투여한다.
⑥의사의 처방에 따라 경관영양을 제공한다.
①-⑥
수행함
대상자의 LOC를 사정함으로써 대상자 스스로 할 수 있는 일을 파악하고 대상자가 필요한 간호를 결정 한다.
피부손상을 예방 할 수 있다
Intake와 output의 기록은 잠재적인 불균형을 예방한다.
-대상자의 LOC를 매일 사정함.(stupor에서 drowsy로
의식수준변화)
-대상자의 얼굴, 두발, 구강, 피부상태 양호함
-배변을 관찰하고 기록한 결과 변비가 발견되어. 처방에 의해 3/17일 둘코락스 투여하여 3/17일 적은 양의 변을 봄.
-경관영양을 제공하였음
-대상자가 아직 독립적으로 자가 간호를 시행 할 수 없는 상태임.
pO2
131
124
30.2
88.0
80-100
HCO3
12.9
22.0
26.6
29.5
22-26
2) 일반 화학 검사
검사명
3/15
04:29
3/15
13:54
3/15
18:33
3/16
06:46
3/17
06:55
정상치
임상적 의의
WBC
11.12
5.94
6.34
6.26
7.05
5.2-12.4
RBC
4.26
3.11
3.14
3.10
3.16
4.2-6.1
출혈
Hb
13.00
9.50
9.90
9.60
9.90
12-18
출혈
Hct
36.90
26.70
26.70
26.50
26.90
37-52
급성 대량 혈액손실
MCV
86.6
85.70
84.90
85.70
85.00
80-99
MCH
30.40
30.60
31.40
30.90
31.40
27-31
MCHC
35.20
35.70
37.00
36.00
36.90
33-37
PLT
97.00
46.00
39.00
36.00
57.00
130-400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용혈성질환
NEUT
64.20
80.00
80.40
82.60
86.90
40-74
염증질환이나 염증반응
조직괴사
LYMP
24.10
9.20
9.40
8.20
4.80
19-48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면역억제제
MONO
3.70
5.50
3.10
4.10
4.30
3.4-9
EOS
5.50
3.40
5.50
3.50
2.00
0-7
BASO
0.70
0.80
0.50
0.60
0.70
0-4
LUC
1.70
1.10
1.00
1.00
1.20
0-4
MPV
8.10
8.20
8.50
9.20
8.30
7.2-10.8
Na
145
147
143
146
141
135-153
K
4.1
4.3
4.0
3.5
3.5
3.5-5.3
Cl
111
118
113
114
105
95-105
호흡성 알칼리증
염화나트륨 함유체액의
과량주입
12. 약물
약명(상품명)
작용
용법
용량
예상 부작용
금기
Mannitol
뇌압, 안압 강하 이뇨제
IV
Q4
흉부압박감,두통,구토,오한
현기증,경련, 전해질실조
급성두개내압,
심한울혈성심부전, 심한탈수상태
Furosemide
(Laxix)
이뇨 및 고혈압 치료제
IV
20mg
Q8
무과립구증, 혈소판 및 백혈구감소증,발진,담마진, 저K/Na혈증, 식욕부진, 구토, 설사, 두통, 현기
무뇨증, 간.신독성,
심한전해질감소,
임부, 수유부
TRANSAMIN-S
지혈제
혈액응고제
IV
500mg
Q2
과민증, 소양증,
발진, 졸음,
심계항진, 혈압저하
혈전이있는환자, 소모성응고장애환자에게는 주의하여 투여
Dilantin
항경련제
IV
250mg
Q12
불수의운동(이상운동증, 무도병, 고정자세불능증 등), 신경병증,어지러움, 운동실조증, 정신착란, 신경과민. 주의력.집중력,
반사운동능력의 저하,
과민증,
골수장애환자,
심근경색환자
Vit K
비타민 E 및 K제
IV
10mg
Q8
안면홍조, 미각변화,
현기, 빈맥, 발한, 저혈압,
기관지경련
이 약에 대하여 과민증이 있는 환자, 담즙분비 정지환자
Botropase
지혈제
IV
2ml
Q12
과민증상,
쇽 유사증상
혈전증,색전증환자 및 혈전증을
일으킬 우려가 있는 환자는 주의하여 투여
mucosten
진해거담제
IV
2ml
Q12
구역,구토, 가슴쓰림, 설사, 빈맥, 고혈압, 두드러기, 가려움, 발진
위 십이지장궤양 환자는 주의하여 투여
Garosan
골격근 이완제
IV
10mg
Q12
고혈압, 심박동 증가,
호흡곤란, 지속성 호흡억제, 빈맥
중증의 근무력증 환자, 쇽환자, 신장애 환자,
,심부전 환자, 고혈압 환자
13. 간호과정
1) 문제 목록
월/일
간호 문제
근거자료 (주관적, 객관적 자료)
3/16
#1. 피부손상 위험성
O:
①사지억제된 상태
②기저귀 착용
③땀에 젖어 있고 구겨져있는 침상
3/16
#2. 자가 간호 결핍
O:
① 스스로 자가 간호를 시행 할 수 없음.
(stupor, drowsy 상태)
②구강으로 호흡시 냄새가 나고 입가에 침이 흘러 있음.
③몸에 땀 분비물 배여있고,
두피쪽에 각질일어남.
2) 간호 과정
월/일
간호진단
간호계획
간호수행
합리적 근거
평가
3/16
사지억제와, 침상안정으로 인한
피부손상
위험성
①매일 피부를 매일 사정한다.
②매 시간 I/O를 체크 한다.
③매일 적절한 피부 순환을 위해 하지에 마사지를 하여준다.
④배변 시 기저귀를 즉시 갈아 주고 깨끗이 닦아 준다.
⑤깨끗하고 건조하며 주름이 없는 침상을 제공한다.
⑥손상된 부위(입술)에는 바세린 연고를 발라준다.
⑦두시간 마다 체위변경을 한다.
①-⑦
수행함.
피부변화의 조기 발견은 피부손상을 최소화 한다.
체위 변경은 한 조직에 압력이 계속 가해지는 것을 감소시키며 피부 순환을 증진 시킨다.따라서 피부손상을 피할 수 있다.
-대상자는 피부손상이 일어나지 않음.
-대상자의 점막은 원래의 상태를 유지 하고 있음.
-대상자의 침상은 깨끗하고 주름이 없으며 건조한 상태.
3/16
인지장애와 관련한
자가 간호
결핍
(식사,
옷입기,
개인위생, 목욕)
①대상자의 LOC를 매일 사정한다.
②환의의 상태를 매일 사정하여 문제점을 발견 시 이를 해결하도록 돕는다.
③대상자의 얼굴, 두발, 구강, 피부를 매일 사정하고 필요시 간호를 돕는다.
(3일에 한번 두발간호를 시행, 1일에 세 번 구강간호 시행, 1일에 한 번 부분 목욕을 시행, 얼굴 매일 아침 세면 시행
④배변을 관찰하고 기록하며 돕는다.
⑤처방에 의해 배변을 돕는 약물을 투여한다.
⑥의사의 처방에 따라 경관영양을 제공한다.
①-⑥
수행함
대상자의 LOC를 사정함으로써 대상자 스스로 할 수 있는 일을 파악하고 대상자가 필요한 간호를 결정 한다.
피부손상을 예방 할 수 있다
Intake와 output의 기록은 잠재적인 불균형을 예방한다.
-대상자의 LOC를 매일 사정함.(stupor에서 drowsy로
의식수준변화)
-대상자의 얼굴, 두발, 구강, 피부상태 양호함
-배변을 관찰하고 기록한 결과 변비가 발견되어. 처방에 의해 3/17일 둘코락스 투여하여 3/17일 적은 양의 변을 봄.
-경관영양을 제공하였음
-대상자가 아직 독립적으로 자가 간호를 시행 할 수 없는 상태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