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공실험]PFR 파이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이론
◈ 관형반응기 (PFR)
◈ 관형 반응기의 양론식과 반응 속도식

3. 실험 방법

4. 결과 및 고찰

5. 결 론

6. 참고문헌

본문내용

전해질 용액의 투입량을 순간적으로 증가시켜 (계단함수 변화를 주어)공급한다. 이때 출구에서 전도도를 측정하면 관류흐름 반응기에서의 플러그 흐름 양상을 분석할 수 있다.
3. 실험 방법
1. 장치의 좌측 전기조작 패널위의 모든 가 상태에 있나 확인한다. 장치의 전원을 공급하여 주기 위해 용량의 전선으로 배선된 콘센트의 장치에 달린 플러그를 연결한다. 온도조절기 밑의 를 눌러보면 수치가 나타난다. 이는 현재 항온수조 내의 온도이다. 온도지시계 밑의 누름 를 눌러보아 지시계의 수치가 현재의 온도를 가리키는지 확인한다.
2. 반응기내의 온도 유량 등의 조건 설정을 한다.
3. 예열장치의 온도설정을 전압조절기로 한다.
4. 반응기로 공급되는 반응물질의 공급조건
조작 패널위의 FEED PUMP S/W (A)를 올려준다. 유량계를 통하여 공급되는 것을 확인한 후, 공급이 안정되면 유량계의 손잡이로 조절한다. (B)의 S/W를 누르고 마찬가지로 유량을 조절한다.
5. 시간에 따른 의 농도변화를 측정한다.
6. 속도상수를 계산한다.
7. 한쪽 반응물의 온도를 다르게 변화시킨다.
8. 시간이 다른 의 농도변화를 측정한다.
9. 시간에 따른 농도변화를 그래프로 그린다.
장치의 구조 및 명칭
4. 결과 및 고찰
결과그래프를 보면 온도가 25℃일때 유속을 100에서 200으로 증가시켰을 때, 더 높은 전도도 값이 나왔다. 35℃일때도 유속을 100에서 200으로 증가시키면 마찬가지로 더 높은 전도도 값을 얻었다. 유속은 같고 온도가 25℃와 35℃일 때를 비교하면 온도가 더 높을 때 전도도 값이 일정해지는 시간이 감소하였다.
5. 결 론
이번 실험은 온도와 유속변화에 따라 전도도가 어떻게 변하는지 알아보는 실험이다.
용액을 제조하고 실험을 하는데 용액이 부족해서 다시 만들어서 넣어주기 때문에 전도도가 일정해질 때까지 기다리는 시간이 좀 길었다. 실험을 시작하고 유속을 변경할 때도 눈금에 정확히 맞추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약간의 오차가 있을 것이다.
그래프를 보면 유속은 같고 온도가 더 높을 때 전도도가 일정해지는 시간이 빨리 도달하였다. 온도는 같고 유속변화에 따라서는 유속이 더 빠를 때 더 높은 전도도 값을 얻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6. 참고문헌
전남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부 , “화 공 실 험 1”
화학반응공학 포글러 4판
http://en.wikipedia.org/wiki/Plug_flow_reactor_model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10.03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02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