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서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연구기간 및 방법
2.문헌고찰
-Labor란?
-자연분만(NSVD)이란?
-정상분만요소
-분만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만이 임박해 질 때 나타나는 증상
-분만이 시작 될 때 나타나는 증상
-분만의 기전
-분만 진행 4단계
-회음 절개술
-산후주의사항
3.간호과정
-간호사정
-간호진단, 계획, 수행, 평가 (우선적인 문제)
1.서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연구기간 및 방법
2.문헌고찰
-Labor란?
-자연분만(NSVD)이란?
-정상분만요소
-분만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만이 임박해 질 때 나타나는 증상
-분만이 시작 될 때 나타나는 증상
-분만의 기전
-분만 진행 4단계
-회음 절개술
-산후주의사항
3.간호과정
-간호사정
-간호진단, 계획, 수행, 평가 (우선적인 문제)
본문내용
* 1 일
IV
마약성 진통제
중증도 및 심한 동통, 마취보조제로서 수술전후 및 분만시 동통
중증도 및 심한 동통, 마취보조제로서 수술전후 및 분만시 동통
Eruvin 0.2mg/ml (methylergonovine)
1 A * 1 회 * 1 일
IV
자궁수축제, 자궁수축 지혈제
분만 후 출혈량을 감소시키고, 자궁의 원상회복을 빠르게
호산구증가, 간장애, 발열, 용혈성빈혈, 백혈구 혈소판 감소증, 두통, 탈력감, Parkinsonism, 위장장애, 발진, 체중증가, 여성형 유방
2. 간호진단, 계획, 수행, 평가 (우선적인 문제)
★ 간호진단 : 회음 절개 술과 관련된 통증
3월 12일 진단
객관적 자료 : - 분만 시 회음 절개술(median) 시행
- 걸을 때 마다 얼굴을 찡그림
- 걸음걸이가 불편해 보임
주관적 자료 : “다른 데는 괜찮은데 아래가 좀 아파요.”
“절개한 곳 때문에 잘 못 걷겠어요.”
간호목표
목표 : 퇴원 전까지 통증을 감소시킨다.
간호계획 & 수행
이론적 근거
시간
BP
T
P
R
12일
10Am
110/79
36.6
87
20
14Pm
102/65
36.0
63
20
13일
10Am
112/71
36.4
71
20
14Pm
114/80
36.5
74
20
v/s 측정하고 통증정도를 사정
· 12일am10 : VAS척도사용 (6cm)
· 13일am10 : VAS척도사용 (4cm)
· 14일am10 : VAS척도사용 (3cm)
빠른 징후확인을 위해 통증정도 확인이 중요하며, 통증 증가 시 P, BP가 상승한다.
평가(매일) : v/s 등이 정상 상태를 유지했고 통증 정도가 낮아 졌다.
좌욕을 하도록 교육
· 12일 : 좌욕의 장점에 대해서 교육하고 하루에
3번씩 좌욕실에서 좌욕을 하도록 교육함
좌욕은 회음 절개 부위의 통증을 경감시켜준다.
평가(매일) : 12일은 4번, 13일은 3번, 14일은 3번 좌욕을 실시하였고 통증이 많이 줄어들었다.
좌욕의 방법에 대해서 교육
· 12일 : 좌욕실에 있는 좌욕기의 설명서를 이용하여 올바른 좌욕방법을 교육함
· 14 일 : 집에서 할 수 있는 좌욕방법에 대하여 교육함 (내용은 교육자료 참조)
좌욕은 회음 절개 부위의 통증을 경감시켜준다.
평가(3/14) : 집에서도 좌욕을 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함
heat lamp사용을 격려
· heat lamp를 병실 안에 두고 자주
사용할 수 있도록 교육함.
heat lamp를 사용하면 회음절개부위의 상처회복과 통증경감에 효과가 있다.
평가(매일) : 12일 2번, 13일 1번 heat lamp를 사용함.
전체 평가 (3월 14일)
· 여러 가지 중재를 사용하여 대상자의 통증을 경감시키고자 하였는데 대상자의 회복에 대한 의욕과 중재에 대한 잘 따름이 통증을 경감시키는데 도움을 주었다.
· 12일am10 : VAS척도사용 (6cm)
· 13일am10 : VAS척도사용 (4cm)
· 14일am10 : VAS척도사용 (3cm)
★ 간호진단 : 처음 역할 하는 것과 관련된 육아와 산후에 대한 지식부족
3월 12일 진단
객관적 자료 : - 초산모 G1 P0 L0 A0
주관적 자료 : “처음 겪는 거라서 뭐가 뭔지 잘 모르겠어요.”
“산후관리 잘 몰라서 그냥 편하게 조리원 갈려구요.”
“수유할 때 아기 만지기가 무서워요.”
“유방마사지는 별로 안 아파서 안하고 있어요.”
간호목표
목표 : 퇴원하기 전까지 육아와 산후에 대한 지식을 습득한다.
간호계획 & 수행
이론적 근거
유방마사지를 해야 하는 이유와 방법을 교육
· 13일 : 유방맛사지에 대한 교육자료 제공하고
이해가지 않는 부분에 대한 추가 설명함
혈액순환을 좋게 하고 유두를 외부 저항에 익숙해지도록 하고 유방울혈을 방지하기 위해 유방마사지를 시행한다.
평가(14일) :유방마사지 시행여부를 물었으나 별로 안 아파 안하고 있다고 함.
수유하는 방법과 자세를 그림 자료로 교육
· 13일 : 수유에 대한 교육 자료를 제공하고 자세에
대한 내용은 그림을 보며 설명함.
올바른 수유방법과 자세는 수유를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한다.
평가(14일) : 옆에서 도와줄 때에는 잘 되는데 혼자하려니깐 수유하기가 힘든 것
같다고 노력하면 될 것 같다고 말함
산후체조에 대한 내용을 교육
· 13일 : 산후체조에 대한 교육 자료를 제공하고 자세에
대한 내용은 그림을 보며 설명하고 난 후에 스스로
평가해볼 수 있도록 평가지를 제공
산후체조는 산모의 체중이 임신이전 상태로의 회복과 이완된 복벽이나 회음부 근육의 탄력을 회복하는데 도움을 준다.
평가(14일) : 산후 1일째 체조를 했다고 평가지에 표시해 놓았다.
퇴원 후 산후 몸조리에 관한 내용 교육
· 14일 산욕기에 주의해야 할 것과
산후 일상생활 어드바이스 교육
(내용은 교육 자료 참조)
임신 이전의 몸으로 신체를 추스르기 위해서는 올바르게 산후 조리를 해야 한다.
평가(14일) : 교육 내용에 대해 이해하고 만족해 함
모유 수유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 설명
· 14일 모유수유에 대한 대용을 교육 자료를
읽어가면서 설명함
· 모유 수유에 대한 내용을 교육함으로써 완전 모유수유가 이루어질
가능성을 높힐 수 있다.
평가(14일) : 궁금했던 것에 대해 해결이 되었다고 하면서 만족해 함
유용한 사이트를 정리하여 제공
· 14일 교육자료 속에 유용한 사이트를 정리하여 제공함
· 인터넷에서 얻을 수 있는 유용한
지식들은 산후조리와 육아를 성공적으로 하는 데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평가(14일) : 꼭 들어가 보겠다고 말함
전체 평가(14일)
· 유방마사지에 대한 교육은 받았고 이해는 하고 있으나 실천을 하지 않고 있으므로 퇴원
시 유방마사지에 대한 재교육을 하고 꼭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산후체조도 스스로 평가할 수 있는 평가표를 완성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를 해준다.
* 참고문헌
· 대한산부인과학회 : “산과학”, 도서출판 칼빈서적, 2000.10
· 서울대학교 편 :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3
· 오송자, 민순 편저 : “의학약어와 해설”, 현문사, 2002.11
· 최연순 외 8명 공저 : “여성건강간호학Ⅰ”, 수문사, 1999.2
IV
마약성 진통제
중증도 및 심한 동통, 마취보조제로서 수술전후 및 분만시 동통
중증도 및 심한 동통, 마취보조제로서 수술전후 및 분만시 동통
Eruvin 0.2mg/ml (methylergonovine)
1 A * 1 회 * 1 일
IV
자궁수축제, 자궁수축 지혈제
분만 후 출혈량을 감소시키고, 자궁의 원상회복을 빠르게
호산구증가, 간장애, 발열, 용혈성빈혈, 백혈구 혈소판 감소증, 두통, 탈력감, Parkinsonism, 위장장애, 발진, 체중증가, 여성형 유방
2. 간호진단, 계획, 수행, 평가 (우선적인 문제)
★ 간호진단 : 회음 절개 술과 관련된 통증
3월 12일 진단
객관적 자료 : - 분만 시 회음 절개술(median) 시행
- 걸을 때 마다 얼굴을 찡그림
- 걸음걸이가 불편해 보임
주관적 자료 : “다른 데는 괜찮은데 아래가 좀 아파요.”
“절개한 곳 때문에 잘 못 걷겠어요.”
간호목표
목표 : 퇴원 전까지 통증을 감소시킨다.
간호계획 & 수행
이론적 근거
시간
BP
T
P
R
12일
10Am
110/79
36.6
87
20
14Pm
102/65
36.0
63
20
13일
10Am
112/71
36.4
71
20
14Pm
114/80
36.5
74
20
v/s 측정하고 통증정도를 사정
· 12일am10 : VAS척도사용 (6cm)
· 13일am10 : VAS척도사용 (4cm)
· 14일am10 : VAS척도사용 (3cm)
빠른 징후확인을 위해 통증정도 확인이 중요하며, 통증 증가 시 P, BP가 상승한다.
평가(매일) : v/s 등이 정상 상태를 유지했고 통증 정도가 낮아 졌다.
좌욕을 하도록 교육
· 12일 : 좌욕의 장점에 대해서 교육하고 하루에
3번씩 좌욕실에서 좌욕을 하도록 교육함
좌욕은 회음 절개 부위의 통증을 경감시켜준다.
평가(매일) : 12일은 4번, 13일은 3번, 14일은 3번 좌욕을 실시하였고 통증이 많이 줄어들었다.
좌욕의 방법에 대해서 교육
· 12일 : 좌욕실에 있는 좌욕기의 설명서를 이용하여 올바른 좌욕방법을 교육함
· 14 일 : 집에서 할 수 있는 좌욕방법에 대하여 교육함 (내용은 교육자료 참조)
좌욕은 회음 절개 부위의 통증을 경감시켜준다.
평가(3/14) : 집에서도 좌욕을 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함
heat lamp사용을 격려
· heat lamp를 병실 안에 두고 자주
사용할 수 있도록 교육함.
heat lamp를 사용하면 회음절개부위의 상처회복과 통증경감에 효과가 있다.
평가(매일) : 12일 2번, 13일 1번 heat lamp를 사용함.
전체 평가 (3월 14일)
· 여러 가지 중재를 사용하여 대상자의 통증을 경감시키고자 하였는데 대상자의 회복에 대한 의욕과 중재에 대한 잘 따름이 통증을 경감시키는데 도움을 주었다.
· 12일am10 : VAS척도사용 (6cm)
· 13일am10 : VAS척도사용 (4cm)
· 14일am10 : VAS척도사용 (3cm)
★ 간호진단 : 처음 역할 하는 것과 관련된 육아와 산후에 대한 지식부족
3월 12일 진단
객관적 자료 : - 초산모 G1 P0 L0 A0
주관적 자료 : “처음 겪는 거라서 뭐가 뭔지 잘 모르겠어요.”
“산후관리 잘 몰라서 그냥 편하게 조리원 갈려구요.”
“수유할 때 아기 만지기가 무서워요.”
“유방마사지는 별로 안 아파서 안하고 있어요.”
간호목표
목표 : 퇴원하기 전까지 육아와 산후에 대한 지식을 습득한다.
간호계획 & 수행
이론적 근거
유방마사지를 해야 하는 이유와 방법을 교육
· 13일 : 유방맛사지에 대한 교육자료 제공하고
이해가지 않는 부분에 대한 추가 설명함
혈액순환을 좋게 하고 유두를 외부 저항에 익숙해지도록 하고 유방울혈을 방지하기 위해 유방마사지를 시행한다.
평가(14일) :유방마사지 시행여부를 물었으나 별로 안 아파 안하고 있다고 함.
수유하는 방법과 자세를 그림 자료로 교육
· 13일 : 수유에 대한 교육 자료를 제공하고 자세에
대한 내용은 그림을 보며 설명함.
올바른 수유방법과 자세는 수유를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한다.
평가(14일) : 옆에서 도와줄 때에는 잘 되는데 혼자하려니깐 수유하기가 힘든 것
같다고 노력하면 될 것 같다고 말함
산후체조에 대한 내용을 교육
· 13일 : 산후체조에 대한 교육 자료를 제공하고 자세에
대한 내용은 그림을 보며 설명하고 난 후에 스스로
평가해볼 수 있도록 평가지를 제공
산후체조는 산모의 체중이 임신이전 상태로의 회복과 이완된 복벽이나 회음부 근육의 탄력을 회복하는데 도움을 준다.
평가(14일) : 산후 1일째 체조를 했다고 평가지에 표시해 놓았다.
퇴원 후 산후 몸조리에 관한 내용 교육
· 14일 산욕기에 주의해야 할 것과
산후 일상생활 어드바이스 교육
(내용은 교육 자료 참조)
임신 이전의 몸으로 신체를 추스르기 위해서는 올바르게 산후 조리를 해야 한다.
평가(14일) : 교육 내용에 대해 이해하고 만족해 함
모유 수유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 설명
· 14일 모유수유에 대한 대용을 교육 자료를
읽어가면서 설명함
· 모유 수유에 대한 내용을 교육함으로써 완전 모유수유가 이루어질
가능성을 높힐 수 있다.
평가(14일) : 궁금했던 것에 대해 해결이 되었다고 하면서 만족해 함
유용한 사이트를 정리하여 제공
· 14일 교육자료 속에 유용한 사이트를 정리하여 제공함
· 인터넷에서 얻을 수 있는 유용한
지식들은 산후조리와 육아를 성공적으로 하는 데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평가(14일) : 꼭 들어가 보겠다고 말함
전체 평가(14일)
· 유방마사지에 대한 교육은 받았고 이해는 하고 있으나 실천을 하지 않고 있으므로 퇴원
시 유방마사지에 대한 재교육을 하고 꼭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산후체조도 스스로 평가할 수 있는 평가표를 완성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를 해준다.
* 참고문헌
· 대한산부인과학회 : “산과학”, 도서출판 칼빈서적, 2000.10
· 서울대학교 편 :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3
· 오송자, 민순 편저 : “의학약어와 해설”, 현문사, 2002.11
· 최연순 외 8명 공저 : “여성건강간호학Ⅰ”, 수문사, 1999.2
추천자료
분만실 케이스
분만 과정
분만실 case study
분만에 대해
모성간호학실습 분만실 분만방법
분만실 정상분만 CASE 간호과정
(모성간호학)분만실-정상분만과정(1기,2기,3기)
제왕절개분만(c/sec)에 관한 case study report
모성간호학 분만실 정산분만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컨퍼런스. 실습지침서
제왕절개분만 (cesarean section)간호과정 제왕절개 케이스 case study
[여성 분만실] 제왕절개분만 c-sec (cesarean section) 케이스 스터디(CaseStudy)
분만실 케이스
정상분만 케이스 자료
분만 2기 간호 1. 분만 2기 간호 2. 간호사정 3. 간호진단 4. 기대하는 결과 5. 간호계획수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