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액의 전기 전도도 측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실험 제목

2. 실험 목적

3. 실험 이론

4. 실험기구 및 시약

5. 실험 방법

6. 실험 결과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01
18.7
102.0
9.80
0.02
18.9
206.0
4.86
CH3COOH 농도(M)
온도(℃)
전도도(mS/m)
저항(Ωㆍm)
0.0015625
18.8
5.620
178.1
0.003125
18.8
7.960
126.5
0.00625
18.9
11.68
85.6
0.0125
18.8
16.74
59.7
0.025
18.8
24.80
40.3
0.05
19.0
35.00
28.5
(2) 비전도도 및 당량 전도도 계산
① 용기 상수 계산
② 비전도도와 당량 전도도 계산
NaCl 농도(M)
비전도도(mS/m2)
당량 전도도(103 S/m2M)
0.00125
1318
1054.4
0.0025
2650
1060
0.005
5270
1054
0.01
10200
1020
0.02
20600
1030
CH3COOH 농도(M)
비전도도(mS/m2)
당량 전도도(103 S/m2M)
0.0015625
562.0
359.68
0.003125
796.0
254.72
0.00625
1168
186.88
0.0125
1674
133.92
0.025
2480
99.20
0.05
3500
70.00
7. 논의 및 고찰
(1) NaCl의 비전도도는 농도의 변화에 따라 비교적 비례적으로 증가하여 당량 전도도가 일정한 편이지만 CH3COOH의 경우 비전도도가 농도의 변화에 따라 약간씩 감소하는 경향이 보였고, 따라서 당량 전도도 또한 약간씩 감소하였다.
(2) 실험 오차를 줄일 수 있는 방법
① 시료 용액을 만들 때 용액을 만드는 사람은 한사람이 도맡아 해야 된다는 생각이 들었다. 개인에 따라서 피펫을 읽는 차이나 무게를 다는 차이가 조금은 있는 것 같고, 이런 사소한 것들이 실험 데이터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② NaOH는 조해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같은 양이라 하더라도 순수함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NaOH와 같은 물질을 다룰 때는 실험과정을 최대한 계획적 진행시키며 시약을 다루는 시간을 최소한으로 하고 시료나 용액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밀봉하는 습관을 들여놓아야 한다.
③ 실험을 하는 동안 다루게 될 기기가 많으므로 각 기기들의 특성, 사용법을 미리 숙지하고 실험에 임해야 기기를 올바르게 사용하고 고장이나 실험의 부정확성을 피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8. 참고 문헌
물리화학실험최재시 외 2명형설출판사1983
물리화학실험이익춘 외 2명탐구당1992
물리화학실험김성규 외 22명대한화학회1999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10.07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06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