싸이코드라마(심리극)에 대하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심리극의 이론적 배경
1. 심리극의 기본개념
2. 심리극의 구성요소
3. 심리극의 진행과정

Ⅲ. 심리극과 아동
1. 심리극에 비추어 본 아동기의 특성
2. 아동교육현장에서의 심리극의 효용
3. 아동교육현장에서의 심리극 실제 사례

Ⅳ. 결 론
< 참 고 문 헌 >

본문내용

보다는 큰 소리로) “야! 너 바보 맞지? 이 철자하나 제대로 모르냐!”
T : (큰 소리로 다시 한 번 반복한다. 이때도 혜연이는 계속 소리를 내면서 울었다.)
(S1을 데리고 칠판으로 가서 두 손을 칠판에 얹게 한 후에)
혜연아, 많이 힘든 네 마음을 큰 소리를 표현해보렴. 야! 라고 말야.
S1 : (손에 힘은 없지만 땀이 칠판에 손가락 모양을 그렸다. 작은 소리로) 야!
T : (S1과 거의 비슷한 목소리로) 야! 혜연아, 네 속상하고 답답하고 힘든 마음이 이 정도밖에 안되니? 더 크게 소리내 봐.
S1 : 야! (조금 큰 소리로)
T : 야! 야! 야! (이렇게 말야.)
S1 : ........ 야! (교사와 친구들도 놀랐다. 평상시에 혜연이는 그렇게 큰 소리 를 내질러 본 적이 없는 조용한 아이였다)
T : (중간에 교실 문을 두드리는 소리에 잠시 멈춰지게 되었다. 여기에서 드 라마에서 말하는 업된 느낌에서 다운된 느낌으로 분위기가 전환되는 듯 했다. 공문과 관련하여 시간이 잠시 소요되었다. 다시 혜연이한테로 와 서) 괜찮니?
S1 : 예.(여전히 혜연이는 칠판에 손을 얹어있는 상태였다.)
T : 다시 소리내어 네 속상한 마음을 표현해보고 싶니?
S1 : 아니요. (칠판에서 손을 뗀다. 조금 전에 큰 소리를 지를 때의 그 흥분 이 이제는 평정을 찾은 듯했다. 제자리로 와서 앉게 했다)
T : 혜연아, 오늘에야 조용하게 지내던 네가 얼마나 힘들어왔는지를 알겠구 나.
(뒤에서 신문지를 갖고 오게 했다. 조금 전에 큰 소리를 지를 때 혜연이 가 더 큰 분노를 표현하고 싶은 느낌이 전달되어서 교실에 있는 유일한 소품인 신문지를 갖고 오게 했다.)
여기에 신문지가 있는데 네가 정말 힘든 그 마음을 신문지로 표현해 보 자.
(교사가 먼저 신문지를 마구 찢어댔다. 이때 자리에 앉아 있던 아동들 이 더 긴장하는 듯했다.)
네가 뭔데 나를 이렇게 힘들게 하냐. 네가 도대체 뭔데.
S1 : (얼굴을 찡그리고, 고개를 숙인 상태에서 천천히 신문지를 찢는다)
T : (혜연이가 천천히 신문지를 찢고 있는 옆에서 분노의 감정을 싣고) 내가 얼마나 긴 시간동안 힘들었는지 아니? 내가 왜 바보니? 어! 나도 집에 가면 부모님의 사랑과 기대 속에 똑똑한 딸로 인정받는다 말야. 네가 도 대체 뭐야!
영어단어 하나 모른다고 네가 나를 학원 친구들과 선생님 앞에 놀려댔 을 때 내가 얼마나 힘들었는지 아니? 나는 자존심도 없는 줄 아니? 나도 잘 하고 싶어. 나도 잘 하고 싶단 말야.
S1 : (점점 더 빨리, 더 세게, 힘있게 신문지를 계속 찢어대며 눈물은 계속 볼을 타고 흘러내리고 손에 힘이 들어가면서 근육이 실룩거린다.)
(앞에 책상은 찢어진 신문지 조각으로 가득하다. 앉아 있는 친구들은 혜연이의 이런 모습을 넋이 나간 듯이 집중해서 쳐다보고 있다.)
.................... 잠시 침묵이 흐른다.(교사는 혜연이 옆에서 어깨를 다독 거리고 혜연이는 고개를 숙인 채 신문지를 찢던 손이 멈춰져 있다.) .................... (S6의 손이 S1의 무릎 위에 얹어진다.)
Ⅴ. 결론
본래 세상이란 회색빛도 아니고 밝은 색도 아니다. 하지만 우리들 마음이 회색빛이면 세상은 회색이 되고 우리들 마음이 밝으면 세상은 밝아지게 된다. 심리극에서는 마음속의 억울하고 분하고 화나는 감정들을 말끔하게 해소시켜줌으로써 마음그릇에 담겨있던 긍정적인 마음들이 떠오를 수 있도록 도와준다. 본래 마음이란 긍정도 부정도 없지만 부정이 사라진 크기만큼 긍정이 떠오르게 되면서 심리극을 체험하기 이전보다 밝고 맑아진 세상을 체험하게 되는 것이다. 우리가 교육의 현장에 나갔을 때, 교사인 우리는 아동들의 작은 고민 하나 하나에도 귀를 기울여야 하며, 아동들이 좋은 방향으로 자신의 고민을 발산시킬 수 있도록 최선의 방법을 찾아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심리극은 우리에게 좋은 안내자가 될 것이다.
학교 현장에서 심리극을 제대로 진행시키기 위해서는 연출자인 우리 교사들의 역할이 아주 중요하다. 극을 전체적으로 이끌어가는 연출자는 심리극에서 뺄 수 없는 인물이다. 마치 대선장처럼 극이 가야할 길을 정해주고 거기에서 보다 쉽고 안정되게 주인공과 보조자아가 극을 이끌어갈 수 있도록 방향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연출자가 주인공의 문제를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면 극이 위험에 빠지는 경우도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심리극에 대한 충분한 학문적 지식을 미리 쌓아두어야 하며, 심리극을 직접 접할 기회를 가지고, 참여도 하면서 실제적 경험도 해두어야 한다. 대학로 소극장에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심리극이 매주 실시되고 있고, ‘한국 사이코드라마 연구원’과 같은 단체에서 연출자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이번 발표가 심리극에 대해 기존에 가지고 있던 오해를 풀고 심리극이 일상의 다양한 분야에서 유익하게 사용될 수 있는 심리 치료 방법이라는 인식을 심어주었길 바란다. 특히 교육의 현장에서 심리극이 아동들에게 미치는 좋은 영향들을 잘 명심해서, 각자 교사가 되었을 때 심리극을 아동들과 함께 해보는 시간을 가져보기를 고대해본다.
<참 고 문 헌>
김영한(2000), 심리극이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긍정적 자기개념 향상에 미치는 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 논문.
양혜진(2001), 심리극이 초등학생의 자기표현과 상담효과의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 542~562쪽.
오수성(1985), 심리극과 그의 적용, 전남대학교 논문집.
이근후(1988), 『싸이코드라마』, 서울: 하나의학사.
Karp M. Holmes(2005), 『심리극의 세계』, 서울: 학지사.
<참 고 사 이 트>
별자리 사회심리극연구소 ( http://www.psychodrama.or.kr )
제주상담센터 ( http://www.jejucoun.org )
-이봉화(2000),『심리극을 활용한 초등아동 사례; 나는 바보가 아니야!』
한국사이코드라마연구원 ( http://www.psychodrama.co.kr )
한국심리극연구소 ( http://www.cchki.kr21.net )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7.10.07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06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