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화스왑의 개념 및 발전에 관하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스왑의 개념 및 발전
ⅰ. 통화스왑에 대한 개괄
1) 통화스왑의 정의 및 종류
2) 통화스왑의 이용
3) 통화스왑의 경제적 기능
4) 통화스왑과 재정

Ⅱ. 아시아 국가 간 금융협력 진전과 의의
ⅰ. 협력 진전 과정
⑴ 한은-중국인민중앙은행
⑵ 한은-인도네시아
⑶ 한은-일본 중국
⑷ 한은-말레이시아
⑸ 한은-필리핀
ⅱ. 최근 현황
ⅲ. 추진 의의

Ⅲ. 결론

본문내용

) 수혜국 요청시 미달러화로 전환
5) 한국은행, 필리핀 중앙은행과 통화스왑계약 체결 국제국 국제기획팀 조사역 신성욱(☏ 759-5753)
Fax: 759-5736 E-mail : realgens@bok.or.kr
-2005. 10. 18일자 보도
한국은행은 필리핀 중앙은행(Bangko Sentral ng Pilipinas)과 15억달러 규모의 통화스왑계약을 2005.10.17일자로 체결하였다. (계약기간 : 2년)
이번 계약은 지난 2005.5.4일 ASEAN+3(韓·中·日) 재무장관회의 선언 내용을 반영하여 계약규모를 증액(종전 10억달러→15억달러)하였고, IMF 자금지원 프로그램과 연계되지 않고 양국간 합의에 의해 상호 지원할 수 있는 금액도 인출금액의 20%(기존 10%)까지로 확대하였다.
그 외에 우리나라는 현재 중국과 일본은 물론 태국, 말레이시아 등 6개국과 130억 달러의 통화 스왑계약을 맺고 있다.
ⅱ. 최근 현황 ‘韓.日 중앙은행 통화스왑계약 체결’ -신지홍 특파원, 매일경제, 2006.02.24
한국과 일본 중앙은행이 24일 도쿄에서 위기 시 통화스왑계약에 따라 총 150억 달러를 서로 지원하는 것을 골자로 한 통화스왑계약을 체결했다. 도쿄를 방문중인 박승 한국은행 총재는 이날 도시히코 후쿠이(福井俊彦) 일본 은행 총재와 만나 통화스왑계약에 서명했다.
앞서 한국과 일본 재무장관은 지난 5일 도쿄에서 제1차 한.일 재무장관회의를 열어 이러한 내용 등을 담은 6개항의 합의문을 발표했다.
이 합의의 후속 조치인 이날 계약은 한국의 금융위기시 일본이 100억 달러를, 일본의 위기시 한국이 50억 달러를 각각 지원하는 내용을 담았다. 이는 한국의 위기시 일본이 70억 달러를 지원하는 내용의 기존 계약을 쌍방 지원으로 바꾸고 규모도 확대한 것이다.
ⅲ. 추진 의의
동남아시아연합(ASEAN)과 한중일 3국(이하 아세안+3)은 또 역내 금융위기 발생시 공동대응 할 수 있는 통화스왑 규모를 현재의 두 배로 확대하기로 협의하면서,
위기발생시 지원도 각국이 개별적으로 판단하는 것에서 공동결정공동지원 방식으로 바꾸기로 합의했다. 이어 4일(현지시간) 터키 이스탄불에서 열린 제 8차 아세안+3 재무장관 회의에서 각국 재무장관들은 역내 금융위기 발생시 공동 대응을 하기 위한 통화스왑 규모를 현재의 395억달러에서 2배인 790억달러까지 증액하기로 의결함으로써, IMF의 지원이 없더라도 독자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비율을 현재의 10%에서 20%로 확대해 유동성 위기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했다.
이 같은 협약에 따라 지금까지는 특정국이 위기에 빠졌을 때 스왑계약을 맺고 있는 각국이 개별적으로 지원결정을 하는 방식이 앞으로는 공동논의 후 공동지원하게 된다. 이로써 의사결정의 투명성이 높아지는 것은 물론 집중적인 지원으로 위기의 확산을 조기에 차단하는 효과를 누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시아 국가들이 공동으로 위와 같은 요구를 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세계경제나 금융에서 제 목소리를 내겠다는 선전포고로 해석될 수도 있는 민감한 대목이다.
이는 아시아 국가들의 쿼터가 확대되기 위해서는 기존에 최대 투표권을 보유한 미국을 비롯한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등 2차 세계대전 승전국들의 쿼터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세계 금융시장에서 아시아의 영향력 확대를 원하지 않는 미국이나 유럽 등의 강력한 반대가 예상돼 아세안+3국의 요구가 받아들여질지는 미지수다.
이밖에도 아세안+3국은 일본이 제안한 역내 채권시장의 정보 공유 등과 한국이 제안한 `아시아채권시장 표준규범(Asian Bond Standards)` 연구 등의 로드맵에 대해서도 의결했다.
이로 인해 역내 중앙은행들이 추진하고 있는 아시아채권펀드(ABF)와 함께 아시아 역내 채권시장의 인프라 개선에 상당한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Ⅳ. 결론
동아시아는 금융협력 강화를 통해 대외영향력을 확대해 나갈 것으로 전망되며 그간 주춤했던 아시아통화기금(AMF) 설립 논의도 다시 활발해 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아시아가 국제통화기금(IMF)에서 몫 늘리기에 본격 나서면서, IMF에서의 투표권 등을 포함한 영향력을 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에 걸맞게 재조정해 달라고 정식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과 IMF 등은 향후 경제 성장에 따른 동아시아의 영향력 확대를 점차 용인할 것으로 예상되나, AMF 창설에는 해결해야할 과제가 많아 다소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외환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인 아시아 국가간의 공동협조체제는 금융기법을 통해 국가간 상호 협력을 강화하는 수단으로써, 항시 금융 유동성 확보 및 외환위기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겠다.
[참고문헌]
2005 (개정판), ‘금융시장과 금융상품’, 이요섭, 연암사
1998, ‘손바닥 금융’, 김중근이주명, 사계절
개정판, ‘선물거래상담사Ⅱ-스왑편’, 한국선물협회
2002.06.24, ‘한국은행, 중국인민은행과 통화스왑계약 체결’, 한국은행 국제국 외환운영팀
2003.12.23, ‘인도네시아와 통화스왑협정 체결’, 재정경제부 국제금융국
2005.05.28, ‘한국은행, 일본은행 및 중국인민은행과 통화스왑계약 체결’, 한국은행 국제국 국제기획팀
2005.06.16, ‘최근 아시아 국가간 금융협력 진전과 향후 전망’, 한국은행 조사국 해외조사실
2005.07.01, ‘외화대출연계 통화스왑거래 실시’, 한국은행 국제국 국제기획팀
2005.10.15, ‘한국은행, 말레이시아 중앙은행과 통화스왑계약 체결’, 한국은행 국제국
2005.10.21, ‘한국은행, 필리핀 중앙은행과 통화스왑계약 체결’, 한국은행 국제국 국제기획팀
[참고싸이트]
한국은행: http://www.bok.or.kr/index.jsp
삼성경제연구소: http://www.seri.org/
재경부: http://www.mofe.go.kr/
한국개발연구원: http://www.kdi.re.kr/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http://www.kotra.or.kr/main/main.jsp
매일경제: http://www.mk.co.kr/
한국경제: http://www.hankyung.com/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7.10.07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07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