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본론
맺음말
본론
맺음말
본문내용
북한은 사실 평화가 필요하다. 핵 문제를 해결하기 전에 한국전쟁을 종결시키는 것이 플러스라는 인식을 한국과 공유한다면 그런 방향으로 움직일 가능성이 있다.”
Ⅲ.맺음말
남한과 북한의 분단은 단 우리나라만이 가지고 있는 문제가 아니였다. 남북의 분단과 관련된 동북아시아의 관심과 긴장, 모든 것이 주변국과의 이해관계와 경제적인 문제와 얽혀있었다. 지형적으로 너무 중요한 곳에 있기 때문에 항상 국제정치의 핵심에 있을 수밖에 없는 운명이었고 남북분단으로 인해 우리나라는 세계 제 12위정도의 강대국이지만 동북아시아에서는 제일 허약한 나라라는 운명을 벗어날 수 없었다. 2차 남북정상회담 이후 한반도 정세는 급격한 변화의 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교착된 남북문제가 풀리면서 북·미 관계 개선 등 주변 국가들과의 관계 개선까지 이뤄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북한 핵 폐기의 속도가 한층 빨라질 수도 있다. 북핵 불능화 단계가 제대로 이행된다면 한반도를 비롯한 동북아 정세는 화해의 급물살을 탈 수 있다는 지적이다. 전문가들은 북한 핵 문제 해결이 점차 가시화되면 한반도 평화 선언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 과정에서 북·미 관계의 개선도 급격히 이뤄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북한에 대한 경제제재 조치 등 포괄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제재들이 풀릴 가능성도 높다. 일각에서는 남북정상회담에 이어 4자 정상회담 등을 통한 북한의 국제사회 편입 가능성도 제기된다. 정상회담의 성격이 정치적으로 이뤄진 만큼 한반도 주변 정세에 대해 미치는 영향이 그리 크지 않을 수도 있다는 지적도 있다. 아직도 냉전적 사고를 벗어나지 못한 일부 정치세력과 주류 언론이 생산적 논의를 외면하고 역풍을 일으키려 하고 있지만, 국민 다수는 대결구도의 청산과 평화체제 정착을 지지하고 있다. 평화와 남북간 경제협력 없이 민족의 미래는 어두울 수 밖에 없으며 선진국 집입도 무망하게 된다.중미간의 갈등과 이를 둘러싼 제세력의 합종연횡은 마치 19세기 해양세력과 대륙세력의 충돌이 재현되는 느낌마저 주고 있다. 이 격동의 시기에, 동북아시아의 안전보장과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을 향한 민족 내부의 단결과 의지가 그 어느 때보다 소망스럽다. 남북정상들의 지혜로운 결단과 대처를 기대해 본다.
* 참고문헌
한반도 및 동북아의 평화와 번영 / 국제학술회의 발표논문집/통일연구원/2004
21세기 한국외교 대전략 / 하영선 편/동아시아연구원/2006
중앙일보 2007년 8월 9일자
Ⅲ.맺음말
남한과 북한의 분단은 단 우리나라만이 가지고 있는 문제가 아니였다. 남북의 분단과 관련된 동북아시아의 관심과 긴장, 모든 것이 주변국과의 이해관계와 경제적인 문제와 얽혀있었다. 지형적으로 너무 중요한 곳에 있기 때문에 항상 국제정치의 핵심에 있을 수밖에 없는 운명이었고 남북분단으로 인해 우리나라는 세계 제 12위정도의 강대국이지만 동북아시아에서는 제일 허약한 나라라는 운명을 벗어날 수 없었다. 2차 남북정상회담 이후 한반도 정세는 급격한 변화의 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교착된 남북문제가 풀리면서 북·미 관계 개선 등 주변 국가들과의 관계 개선까지 이뤄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북한 핵 폐기의 속도가 한층 빨라질 수도 있다. 북핵 불능화 단계가 제대로 이행된다면 한반도를 비롯한 동북아 정세는 화해의 급물살을 탈 수 있다는 지적이다. 전문가들은 북한 핵 문제 해결이 점차 가시화되면 한반도 평화 선언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 과정에서 북·미 관계의 개선도 급격히 이뤄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북한에 대한 경제제재 조치 등 포괄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제재들이 풀릴 가능성도 높다. 일각에서는 남북정상회담에 이어 4자 정상회담 등을 통한 북한의 국제사회 편입 가능성도 제기된다. 정상회담의 성격이 정치적으로 이뤄진 만큼 한반도 주변 정세에 대해 미치는 영향이 그리 크지 않을 수도 있다는 지적도 있다. 아직도 냉전적 사고를 벗어나지 못한 일부 정치세력과 주류 언론이 생산적 논의를 외면하고 역풍을 일으키려 하고 있지만, 국민 다수는 대결구도의 청산과 평화체제 정착을 지지하고 있다. 평화와 남북간 경제협력 없이 민족의 미래는 어두울 수 밖에 없으며 선진국 집입도 무망하게 된다.중미간의 갈등과 이를 둘러싼 제세력의 합종연횡은 마치 19세기 해양세력과 대륙세력의 충돌이 재현되는 느낌마저 주고 있다. 이 격동의 시기에, 동북아시아의 안전보장과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을 향한 민족 내부의 단결과 의지가 그 어느 때보다 소망스럽다. 남북정상들의 지혜로운 결단과 대처를 기대해 본다.
* 참고문헌
한반도 및 동북아의 평화와 번영 / 국제학술회의 발표논문집/통일연구원/2004
21세기 한국외교 대전략 / 하영선 편/동아시아연구원/2006
중앙일보 2007년 8월 9일자
추천자료
소강상태인 남북관계 해법은 무엇
8.28 남북정사회담의 성공적 개최를 위한 과제와 대선 영향성에 대한 보고서
[남북외교정책][남북통일외교정책][남북관계][대북정책][남북통일]남북외교정책의 주요 시책...
[남북통일정책][남북관계][대북정책]남북통일정책의 변천, 북한 대외정책의 전개, 북한의 경...
[남북관계에 대한 언론의 특수성][남북관계에 대한 언론의 자세][남북관계의 현실][언론의 과...
북한의 대외정책과 국제사회와의 관계
[통일외교정책] 남북 관계 보고서 - 평화통일의 진정성을 중심으로
[통일][민족통일][교육][북한][남북회담][38선][휴전선]통일(민족통일)의 논리, 통일(민족통...
[장관][장관 유형][장관 역할][장관 정책능력][회의][리더십][남북회담]장관의 유형, 장관의 ...
북일 관계 - 국교정상화를 위한 교섭의 진전과 협상 - (가네마루 방북 3당선언)
[세상읽기와논술 D형] 1. 이명박 정부 이후 현재까지 남북관계와 관련한 주요 현안들을 조사...
[통일인사이드 공통] 2015년은 광복 70주년이자 남북 분단 70년이 되는 해입니다. 다음 2가지...
[국어국문학과 E형] 1. 박근혜 정부 이후 남북관계와 관련한 주요 현안들을 간략히 살펴본 후...
[세상읽기와 논술 A형] 아래 ‘남북관계 개선‘과 관련된 주제어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그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