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에서의 신화의 위치와 의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들이 많이 있다. 대표적으로 <공공의적>(2002),<친절한 금자씨>(2005) 등이 그 예이다. <공공의 적>은 한 변호사가 아버지의 유산을 물려받기 위해, 자신의 부모님을 죽이는 패륜아(이성재)가 등장한다. 또한 <친절한 금자씨>에서는 부모들에게 금품을 요구하기 위해 아이들을 유괴한 뒤, 돈을 받고서는 아이들이 시끄럽게 운다고 죽이곤 하는 영어학원 원장(최민식)이 등장하기도 한다.
<공공의 적>, (2002) <친절한 금자씨>, (2005)
[이카루스 신화]
이카루스는 뛰어난 장인이었던 다이달로스의 아들이었다. 다이달로스는 미노스 왕의 미움을 받아 자신이 만든 미궁에 아들과 함께 갇히게 된다. 다이달로스는 새의 깃털을 모아 밀랍으로 붙힌 후, 날개를 만들어 이카루스와 함께 하늘을 날아 미궁을 탈출하게 된다. 이 때 다이달로스는 너무 높이 날면 태양이 밀납을 녹여 떨어질 것을 경고하였으나 하늘을 나는 기분에 도취되었던 이카루스는 계속해서 고도를 높였고, 결국 이카루스는 순간의 비상을 맛본 후 밀납이 녹아 떨어져 죽게 되었다.
이카루스는 너무 높이 올라가면 밀납이 녹아 떨어져 죽을 것을 알고 있었으나, 무모하게도 더 높이 오르다 죽음을 맞이한다. 그러나 우리는 이카루스가 안전하게 날지 않고 무모하게 높이 오르려 했다고 하여 그를 비난할 수만은 없다. 이카루스의 '무모한 도전'이 현실적인 패배로 귀결되었을지라도 우리는 그 속에서 이상을 향한 노력과 경주를 게을리하지 않는 도전 정신을 발견할 수 있다. 결국, 인류의 역사는 추락을 두려워하지 않은 수많은 이카루스들에 의해 발전해 왔음을 이 신화는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카루스의 날개 신화가 가지는 의미를 간단하게 정리 한다면 불가능의 욕망에 가깝다. 신에 다가가고자 하지만 다가가면 죽어버리는 것이죠.(이카루스는 하늘을 동경했다고 하죠) 신의 대한 대항이라고는 보기 힘듭니다. 신의 대항에 대한 가장 기본적인 신화는 바빌론 탑을 들 수 있다. 따라서 현대에서 금기이지만 사람들이 가지고 싶어 하며 가질 수 없는 것, 대표적으로 영생에 관련된 연구가 아닌가 싶다. 냉동인간, DNA의 연구(복제를 비롯한 줄기 세표 연구 )등등 그런 것들이 대표적인 것 이다.
<복제 동물 및 줄기세포를 연구한 황우석 박사> <냉동인간을 등장시킨 영화‘배트맨&로 빈’(1997)>
3. 마치며
<그리스.로마 신화>는 이 밖에도 다양한 원형적 상징들을 가지고 있으며, 또 그것들은 수많은 저작 및 예술 작품의 모티브로 활용되어 일일이 열거할 수 없을 정도다. 그만큼 <그리스.로마 신화>는 인간 상상력의 극치이며, 살아 있는 원형적 상징들의 집결체라고 할 수 있다. 현대인들 가운데 신화 속의 신들을 종교적으로 대상으로 섬기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물론 <그리스.로마 신화>가 종교의 경전이 될 필요도 없다. 다만 신화의 내용을 흥미로운 이야기쯤으로만 여기지 않고, 그 속에 담긴 인간 문제에 대한 상징적인 의미에 주목할 수 있다면 그것이 바로 고전으로서의 <그리스.로마 신화>를 제대로 접하는 길이 될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10.12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14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