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식 구근초 와 추파 일년초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선화의 구근에는 유독 성분이 있어 종기나 부스럼에 소독약으로 쓰인다. 향이 강해서 방 안에 두면 강한 최면 효과가 있는데, 그 독성이 강해서 튤립 구근을 즐겨 파먹는 들쥐마저 수선화 구근은 건드리지 않는다고 한다.
오늘날 우리가 흔히 보는 원예 품종은 대부분 영국에서 개량된 품종으로, 자생력이 강해서 한번 심으면 매년 같은 시기에 싹이 나고 꽃이 핀다.
그러나 일단 꽃이 지고 잎이 누렇게 변하면 캐내서 건조한 공에 따로 저장해 주는 것이 좋다.
1.
아네모네
2.
학명
Anemone coronaria
영명
Anemone
과명
미 나 리 아 재 비 과
3.
이용
4~5월에 피는데, 지름 6~7cm이고 홑꽃과 여러 겹꽃이 있으며, 빨간색, 흰색, 분홍색, 하늘색, 노란색, 자주색 등으로 핀다. 6월에 잎이 누렇게 되면 알뿌리를 캐어서 그늘에 말려 저장하였다가, 9~10월 기름진 중성 토양에 깊이 심는다. 번식은 알뿌리나누기나 종자로 한다.
꽃 이름은 그리스어의 아네모스에서 비롯하였다. 꽃말은 ‘사랑의 괴로움’이다. 그리스 신화에서는 미소년 아도니스가 죽을 때 흘린 피에서 생겨난 꽃이라고 한다. 한국에는 설악산에서 자라는 바람꽃, 한라산에서 자라는 세바람꽃 등이 자란다.
1.
구근 아이리스
2.
학명
Iris x hollandica
영명
Iris
과명
붓 꽃 과
3.
이용
아이리스란 말은 ‘무지개의 여신’이란 뜻으로 원예에서 재배하고 있는 모든 종류를 가리킨다. 보통 여러해살이 구근초 이나 알뿌리종도 있다.
뿌리의 형태에 따라서 비늘줄기종과 뿌리줄기종으로 구분하기도 하는데, 독일붓꽃은 뿌리줄기종, 나머지 3계통은 비늘줄기종에 속한다.
저먼아이리스 : 독일붓꽃이라고도 한다. 유럽 원산 종과 많은 종의 교배잡종이다. 높이 30~60cm로서 덩이줄기이다. 꽃은 여러 가지 빛깔이고 5월에 피며 향기가 있거나 꽃잎이 옆으로 퍼지는 종류도 있다. 화단용이나 분재, 꽃꽂이용 등으로 많이 쓴다.
1.
시클라멘
2.
학명
Cyclamen persicum
영명
Cyclamen
과명
앵 초 과
3.
이용
꽃은 11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피는데, 한 꽃줄기 끝에 1개씩 아래를 향하여 달린다. 꽃잎은 위로 젖혀지고 지름 15cm 정도이며 빛깔은 흰색, 분홍색, 빨간색 등이 있다. 홑꽃, 만첩꽃 이 있고 향기가 강한 종류도 잇다. 열매는 삭과로서 6월에 익는데, 공 모양이고 절반은 꽃받침에 싸인다. 서늘한 기후에서 잘 자라며 번식은 종자나 포기나누기로 한다.
귀화식물로서 관상초로 심는다. 한국에는 원예식물로 들려왔으며 원예농가에서 온실이나 비닐하우스에서 재배한다. 한국, 그리스, 시리아, 유럽 중남부 등지에 분포한다.
1.
프리지어
2.
학명
Freesia hybrida
영명
Freesia
과명
붓 꽃 과
3.
이용
꽃자루는 30~45cm 자라지만 개량된 것은 60cm 이상 자란다. 꽃은 깔때기같이 생기고 끝이 6개로 갈라져서 펴지며 노란빛을 띤 흰색이지만 바깥 꽃잎 중앙에 자주색 줄이 있다. 안쪽의 화피갈래조각은 노란색이며 노란색의 삼각형 무늬가 있으나 개량종에는 순백색이 많다. 꽃 색은 흰색, 연분홍색, 홍색, 자주색 등 많은 품종이 있다.
11월경 온상에 넣어서 12월부터 꽃이 피고 5월경 잎이 마르면 알뿌리를 캐내어 건조시켜 저장하였다가 다시 심는다. 겨울과 이른봄에 꽃꽂이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1.
나리(아시아계)
2.
학명
Lilium Asiatis Hybrids
영명
Lily
과명
백 합 과
3.
이용
백합은 한문이며, 우리말은‘나리’이다. 백합은 세상 사람들에게 가장 먼저 알려진 꽃이며, 꽃이 매우 기품이 있다. ‘솔로몬의 영화도 한 송이 백합에 못 미친다’는 이야기가 있을 정도로 자태와 향기가 뛰어나며 아름답다.
가을에 심는 구근초로 북반구의 온대에 70~100종이 있다. 특히 동아시아에는 종류가 풍부하며 아름다운 꽃이 피는 것이 많다. 옛날부터 세계 각지에서 진귀하게 여겨왔으며 개량하여 좋은 품종을 많이 길러냈다.
식용, 약용, 관상용, 밀원용 으로 많이 쓰인다.
1.
알리움
2.
학명
Allium giganteum
영명
Allium
과명
백 합 과
3.
이용
전세계에 325종이 있고, 대부분 북반구에 분포하며, 한국에는 21종이 있다. 이 속에 속한 관상용 식물을 알리움이라 부르기도 한다.
큰꽃알리움은 중앙아시아가 원산지이고 비늘줄기가 크며 높이가 1.5m에 달한다. 잎은 길이가 50~60cm이고, 꽃은 5월에 분홍색으로 피며 꽃 줄기에 200여 개가 산형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노란색 꽃이 피는 릴리리크와 분홍색 꽃이 피는 리키는 관상용으로 심지만 채소로 먹을 수도 있다. 꽃은 탐스럽지 않으나 꽃줄기를 자유롭게 굽힐 수 있으므로 꽃꽂이에 많이 이용한다.
1.
무스카리
2.
학명
Muscari spp.
영명
Grape hyacinth
과명
백 합 과
3.
이용
히아신스의 근연종이다. 구근은 비늘줄기로 작은 구형이다. 개화기는 4~5월로 염색체수는 2n=18이다. 구근은 8~9월에 심어서 프레임 속에서 재배 출하하며, 수년 동안 심어둔 채로 두면 쉽게 번식한다. 사질양토에서 잘 자라며, 화분에서는 밭 흙과 부엽토, 모래를 5:3:2의 비율로 혼합하여 재배한다. 햇볕이 잘 드는 곳에서 5~15℃ 의 온도에서 잘 자란다.
지중해 지방 및 서남아시아에 40 ~50종이 분포한다. 무스카리 속에는 그 밖에 흰꽃무스카리, 플루모숨 무스카리 등이 있다.
1.
라넌큘러스
2.
학명
Ranunculus asiaticus
영명
Turban and Persian Buttercup
과명
미 나 리 아 재 비 과
3.
이용
4~5월에 덩이뿌리에서 여러 개의 꽃자루가 자라 그 끝에 여러 송이의 꽃이 핀다. 야생종이 꽃잎은 5장으로 원 모양 또는 달걀 모양이다.
꽃 색깔은 붉은색, 분홍색, 오렌지색, 노란색, 흰색 등으로 풍부하며, 커다란 구슬 같은 둥근 꽃송이가 매우 아름답다.
라넌큘러스의 이름은 라틴어 ‘라이나(개구리)’의 축소형으로 ‘작은개구리’라는 뜻이다. 꽃이 자라는 곳이 주로 연못이나 습지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꽃꽂이나 웨딩 부케로 많이 쓰인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7.10.14
  • 저작시기200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18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