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영화산업의 현황에 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세계의 영화산업

2. 미국의 영화산업

3. 영국의 영화산업

4. 프랑스의 영화산업

5. 독일의 영화산업

6. 일본의 영화산업

7. 중국의 영화산업

8. 홍콩의 영화산업

9. 대만의 영화산업

10. 인도의 영화산업

본문내용

d의 영어판 영화가 흥행하기 어려운 자연스러운 수입 장벽효과가 있음.
- 지역 언어별 영화산업의 독자적 발달
2) 독특한 제작 시스템
- 영화, 엔터네인먼트, 음악, 춤의 통합성 : 웬만한 인도 국내산 영화들은 노래와 춤을 곁들인 뮤지컬식의 영화임, 전문 가수가 녹음을 하고 배우는 Lip-sync를 하는 경우도 많음
- 영화 개봉 전 뮤직비디오 및 음반 선 출시를 통한 제작비 동원
3) Star System의 자본 집중
- Super Star급에 소요되는 제작비용이 과다함에 따라, 영화자체가 탄탄한 스토리라인 중심이기 보다는 스타 중심의 영화로 기형적 발달
-완벽한 춤과 노래실력, 그리고 영어구사능력이 영화배우에게는 필수적임
- Cricket경기 외에 특별한 엔터네인먼트 요소가 없는 인도에서 Star급 영화배우가 끼치는 사회적 파장력은 매우 큼
- 다국적 기업이나 인도 내 대기업의 마케팅활동에 Star의 활용은 필수적임
보통 사람들에게 어느 나라가 세계에서 영화를 제일 많이 제작하는가라고 물어보면 열중의 아홉은 즉각적으로 미국의 헐리우드라 대답을 할 것이다. 그러나 이 대답이 정답이 되려면 한 나라를 예외로 해야 하는데 인도가 바로 그것이다. 1970년대부터 인도는 세계에서 가장 많은 영화 편수를 제작하는 나라가 되었기 때문이다. 인도 영화 산업은 1992년 한해의 예를 들더라도 개봉을 앞두고 심사를 기다리는 영화 편수가 무려 8백36편을 기록하였다. 인도 전역에 걸쳐서는 무려 1만2천개의 영화 상영관이 있다. 2003년에는 총 1,100편의 영화가 제작되었다. 또한 인도는 자국영화 점유율이 무려 95퍼센트 이상인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 서적
◎ 황현탁, 「한국 영상 산업론」, 나남출판, 1996.
◎ Wilson P. Dizard. Jr, 「Old Media, New Media : Mass Communications in the Information Age」, 1997, 이민규 역, 「올드미디어 뉴미디어 정보화 시대의 매스 커뮤니케이션」, 나남.
● 논문
◎ 나길환,「한국 영화산업의 세계화 전략에 관한 연구」,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 이동균,「시장개방에 따른 한국 영화산업의 구조 개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0.
◎ 이동수,「한국 영화의 해외시장 진출 시론」,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9
◎ 정헌용,「한국 영화산업의 시장에 개방에 따른 구조변화」,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4.
● 인터넷 서치
◎ 시네21(www.cine21.co.kr), 씨네라인(www.cineline.co.kr), 기타 싸이트
● 기타
◎ 김대호, 김은미, 김유정, 「1990년대 한국영화산업에 대한 평가」, 「한국언론학보」43-2, 1998.
◎ 김휴종, 「한국 영화산업, 돌파구는 없는가」, 삼성경제연구소, 1999.
◎ 한국방송개발원, 「21세기 한국영상산업의 발전연구」, 1996.
◎ 영화진흥위원회,「한국영화연감」각 년호
◎ 한국영상자료원, 문화관광부, 한국방송개발원, 극장연합회, 웹매거진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10.14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18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