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신교통시스템
1. 정 의
2. 종 류
1) 경전철
2) 간선급행버스체계 - BRT: bus rapid transit
3) 자기부상열차 - magnetic levitation train
4) GRT(Guided Rapid Transit·유도 고속차량)
5) 트램 - tram car
6) PRT(Personal Rapid Transit)
3. 장점과 단점
신교통시스템
1. 정 의
2. 종 류
1) 경전철
2) 간선급행버스체계 - BRT: bus rapid transit
3) 자기부상열차 - magnetic levitation train
4) GRT(Guided Rapid Transit·유도 고속차량)
5) 트램 - tram car
6) PRT(Personal Rapid Transit)
3. 장점과 단점
본문내용
고성능화와 더불어 궤도의 전용 노선화 및 지하 터널화하여 버스를 능가하는 수송능력을 갖춘 도시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6) PRT(Personal Rapid Transit)
PRT는 버스와 대비한 택시 개념으로 생각하면 이해가 빠를 것이다. 궤도를 이용하고 전기 동력을 이용하는 것은 다른 경전철들과 크게 다르지 않으나, 4~6인용의 작은 차량을 이용 탑승자가 원하는 목적지까지 논스톱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교통수단이다. 아직까지는 일부 국가에서 시범적으로 운행되고 있고, 상업화 된 노선은 없다.
3. 장점과 단점
1) 정시성
대중교통의 생명은 정시성이다. 신교통시스템의 경우 타 교통수단에 비해 정해진 시간을 지켜서 운행하기 용의하다.
하지만 이미 자동차 위주의 도로가 되어버린 우리나라에서는 경전철의 노면운행은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모노레일 같은 선로운영시스템 이외에 노면운행을 하는 신교통수단의 경우에는 정시성이 확보되기 어려운 점이 있다.
2) 대량수송
경전철은 버스의 6배 용량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두 교통수단이 100% 이용되었을 때의 비교이다. 수송량의 크고 작음의 기준보다는, 수요에 대응한 적절한 용량의 교통수단 운영이 경제적으로 합당할 것이다. 이용률이 그리 높지 않은 상황이라면, 고용량의 교통수단은 비효율적일 수 있다.
3) 경제성
노면경전철은 지하철, 모노레일, AGT와 비교해서 경제성이 있지만 버스에 비해서는 상당히 비싼 시설이다.
미국 LA의 통계를 보면 1통행당 비용이 지하철의 경우 26.85달러, 경전철이 11.90달러인데, 버스는 1.79달러로서 도시철도의 10%∼20%수준이다.
경전철 차량도 버스에 비해 약 3배 비싸며. 운전자, 역무원, 정비창 등을 고려하면 경전철비용은 상당할 것이다.
4) 친환경성
경전철 자체는 환경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그러나, 노면경전철에 의한 교통체계변화 및 차량과의 혼재운영은 차량지체를 발생시켜 오염원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또한, 경전철은 정차시 상당한 소음을 발생시키는 경향이 있다. 환경친화적 측면에서 본다면 완전분리방식의 AGT나 모노레일이 친환경성에 적합하다.
5) 안전성
차량과 혼재된 노면경전철에서 안전성을 찾기는 힘들 것이다. 경전철이 승하차 할 때 편리성과 안전성이 있다고는 하나, 외국의 경우 저상버스를 운영하고 버스정류장를 효율적으로 건설하여 노약자 및 장애인 등 시민에게 편리성과 안전성을 제공하고 있다.
6) PRT(Personal Rapid Transit)
PRT는 버스와 대비한 택시 개념으로 생각하면 이해가 빠를 것이다. 궤도를 이용하고 전기 동력을 이용하는 것은 다른 경전철들과 크게 다르지 않으나, 4~6인용의 작은 차량을 이용 탑승자가 원하는 목적지까지 논스톱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교통수단이다. 아직까지는 일부 국가에서 시범적으로 운행되고 있고, 상업화 된 노선은 없다.
3. 장점과 단점
1) 정시성
대중교통의 생명은 정시성이다. 신교통시스템의 경우 타 교통수단에 비해 정해진 시간을 지켜서 운행하기 용의하다.
하지만 이미 자동차 위주의 도로가 되어버린 우리나라에서는 경전철의 노면운행은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모노레일 같은 선로운영시스템 이외에 노면운행을 하는 신교통수단의 경우에는 정시성이 확보되기 어려운 점이 있다.
2) 대량수송
경전철은 버스의 6배 용량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두 교통수단이 100% 이용되었을 때의 비교이다. 수송량의 크고 작음의 기준보다는, 수요에 대응한 적절한 용량의 교통수단 운영이 경제적으로 합당할 것이다. 이용률이 그리 높지 않은 상황이라면, 고용량의 교통수단은 비효율적일 수 있다.
3) 경제성
노면경전철은 지하철, 모노레일, AGT와 비교해서 경제성이 있지만 버스에 비해서는 상당히 비싼 시설이다.
미국 LA의 통계를 보면 1통행당 비용이 지하철의 경우 26.85달러, 경전철이 11.90달러인데, 버스는 1.79달러로서 도시철도의 10%∼20%수준이다.
경전철 차량도 버스에 비해 약 3배 비싸며. 운전자, 역무원, 정비창 등을 고려하면 경전철비용은 상당할 것이다.
4) 친환경성
경전철 자체는 환경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그러나, 노면경전철에 의한 교통체계변화 및 차량과의 혼재운영은 차량지체를 발생시켜 오염원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또한, 경전철은 정차시 상당한 소음을 발생시키는 경향이 있다. 환경친화적 측면에서 본다면 완전분리방식의 AGT나 모노레일이 친환경성에 적합하다.
5) 안전성
차량과 혼재된 노면경전철에서 안전성을 찾기는 힘들 것이다. 경전철이 승하차 할 때 편리성과 안전성이 있다고는 하나, 외국의 경우 저상버스를 운영하고 버스정류장를 효율적으로 건설하여 노약자 및 장애인 등 시민에게 편리성과 안전성을 제공하고 있다.
추천자료
[대중교통론] 철도교통의 현황과 문제점
미래 항공 교통 국내외 현황 및 파급효과
교통사고처리법 4조 1항 위헌확인에 대한 분석및 문제점
(A+자료) 관광교통으로써 삭도를 통한 남산케이블카 문제점 및 활성화 방안
교통사고에 대한 문제점과 유아의 교통사고 대처방안
교통사고에 대한 문제점과 대처방안, 안전규칙에 대하여
창의적 공학설계 - 대한민국의 도심교통대란을 일으키는 문제점들
[디지틀 시스템 설계 및 실습] 06.사거리 교통신호 제어기 설계 - 베릴로그 신호등
텔레매틱스 국내,해외 사례분석과 정의분석및 문제점및 해결방안과미래전망.국내·외 텔레매...
노인복지관에서 교통수단서비스의 일환으로 차량구입이 필요하나 기관장은 예산상의 문제로 ...
[항만물류시스템] 부산 크루즈- 부산 북항 크루즈 부두 활성화 방안 및 기대효과 {연구의 목...
태국 관광 실태, 태국 관광 소개, 영문 레포트, 태국의 관광지원 교통편 및 인프라스트럭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