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산업과 마케팅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화 산업과 마케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비스업으로서의 영화산업 마케팅과 (제조업 중심의) 일반 마케팅의 차이점을 제시해 보시오.
1. 영화마케팅이란 무엇인가?
2. 기존의 마케팅
3. 영화산업 및 영화산업 마케팅
4. 서비스업으로서의 영화산업 마케팅과 일반 마케팅의 차이점
5. 일반 마케팅과 영화 산업 마케팅의 4P 비교
6. 영화상품의 특수성

Ⅱ. 제품.유통,촉진활동 등이 상호 조화를 이뤄야 한다는 마케팅믹스관점에서 볼 때, 접속은 효과적으로 마케팅 믹스활동을 수행하였는지 진단해 보시오.
1. 마케팅전략의 수립과정
2. 영화 접속의 마케팅 믹스 전략.

Ⅲ. 마케팅 전략의 흐름(환경분석, SWOT 분석, 목표설정, 위상정립 수립, 제품전략, 유통전략, 촉진전략)중, 접속의 성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무엇이며, 그 이유를 제시해 보시오.
- 접속의 성공 요인 (의견 및 교재 내용)

본문내용

주로 영화는 개봉관 - 재개봉관 - 비디오중개상 - 비디오 가게로 이어지는 유통망을 통해서 배급이 되고 있다.
- 영화  접속 은 피카디리 극장이라는 특급 영화관을 통해서 배급되었다. 영화산업에서의 유통은 배급을 의미하는데 배급도 사실상 무시할 수 없는 가치 를 갖고 있다. 즉 어느 영화관(유통점)에서 상영하느냐가 흥행실적에 영향을 미치는 영역이 어느정도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 제조업에서도 전속적 유통 경로라고 하여 고가의 제품들은 자사 제품만을 취급하는 도매상 또는 소매상을 갖는 전략을 가진다. 이들 도소매상에 대하여 제조업체의 통제가 가능하므로 긴밀한 협조체제를 형성할 수 있고 제품 이미지 제고 및 유지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개방적 유통경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유통 비용이 적게 듭니다. 고급 의류, 가구, 자동차 등 비교적 고가의 제품에 적합한 유통 경로이다.
- 영화산업에서는 차이점이 많게 나타나지만 고가의 제품들은 그에 따른 유통경로가 필요하고 그 제품들이 전시되어야 할 장소 또한 고가 전략에 맞는 유통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접속’이라는 영화도 마찬가지로 특급영화관에서 개봉함으로써 영화 자체의 상품성을 높이고 그에 따른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Ⅲ. 마케팅 전략의 흐름(환경분석, SWOT 분석, 목표설정, 위상정립 수립, 제품전략, 유통전략, 촉진전략)중, 접속의 성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무엇이며, 그 이유를 제시해 보시오.
- 접속의 성공 요인
◆ 뛰어난 제품적 전략
‘접속’은 젊은 관객들 사이에 큰 반향을 불러왔다. 제작사인 명필름측 집계로는 추석 시즌 9월18일 개봉해 9일까지만 서울에서 36만2천명이 관람했다. 한국영화론 그 당시에 관객이 가장 많이 들었던 ‘비트’(영화) 스코어 41만명에 육박하는 기록이다. 1997년 10월 4일 35회 대종상도 젊은 영화에 대한 칭찬에 인색해온 관례를 깨고 ‘접속’에 최우수작품상을 비롯해 6개 트로피를 안겼다.
‘접속’이 부른 현상은 영화 한편 히트라는 표현으론 설명이 모자란다. PC통신을 통해 사랑을 교감하는 ‘접속’ 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은 역시 네티즌들이었다. 협찬사였던 유니텔을 비롯한 PC통신은 요즘 가입자가 10% 가까이 늘었다. 이것을 두고 통신서비스 관계자들은 [접속 특수]라고 했었다.
젊은이들 감각과 생활 패턴을 예리하게 관찰해 반영했던 디테일들은 거꾸로 젊은이들 사이에 유행을 만들어갔다. 극중 한석규와 전도연이 쓴 통신ID [해피엔드]와 [여인2]를 모방해 [해피엔드2] [여인 3]같은 ID가 유행이 되었으며 음악쪽에선 사운드트랙 앨범 인기가 폭발적이어서 약 50만장의 판매를 올려 영화 사운드트랙에서 새로운 기록을 수립하기도 했다.
그 원천은 젊은 관객들이 가장 보고 싶어하는 영화에 부합했다는 데 있겠다. 이념의 데모대가 사라진 거리, 대면 커뮤니케이션보다는 컴퓨터 모니터 앞에서 몇시간씩 대면하며 물화된 정보와 마주하고, 24시간 편의점과 인스턴트음식, 인스턴트 사진을 즐기는 세대 감성을 제대로 소화해낸 결과다. 그것은 틀에 박힌 로맨틱 멜로나 액션 코미디에서 허우적대는 한국영화들 사이에서 볼 영화를 찾아 헤매던 관객들을 파고 들어갔다.
영화 ‘접속’은 제품적 전략에 있어서 고객들이 즉 관객들이 가장 원하고 있었던 멜로 영화를 가장 잘 만들어 낸 것이다. 관객들의 잠재되어 있는 needs를 충족시켰기 때문에 그 당시 유행하였던 각 종 코메디 물과 헐리우드 블록버스터 영화들 사이에서 영화 ‘접속’은 100만명의 관객을 동원할 수 있었던 것이다.
◆ 교재 내용 요약 (성공 요인)
1997년 9월 13일 개봉되어 12월 중순까지 개봉관에서 연장 상영된 접속은 이기간 총 148만 명의 관객동원을 기록하였다. 또한 영화와 더불어 치밀하게 계획된 영화음악 역시 공전의 음반판매량을 기록했다.(사운드 트랙 음반판매량: 54만장으로 국내 영화 음악 사상 최고의 기록이다.)
- 외적 요인: PC 통신을 소재로 하여 신세대 감성에 부합한 것이 적중하였다.
영화전편에 모던하면서도 도시적인 분위기를 부각시키기 위해
현대인의 도구를 영화 전편에 골고루 도입시켰으며, 신선한 감각의
러브스토리를 부각시키기 위해 PC통신을 통한 새로운 사랑법을
암묵적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20-30대의 젊은층을 목표시장으로
삼아 마케팅을 하였던 것이 적중을 하였다.
- 내적 요인: PC통신이라는 딱딱한 분위기, 기계적 느낌은 감각적인 영상미,
잘 다듬고 고른 정확한 대사, 조화된 음악으로 잘 포장하였다.
영화 중 두 남녀의 PC통신을 통한 비현실적인 만남은 역으로
새로운 형식의 사랑영화라는 다른영화와의 차별성으로 부각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성공요인의 내면에는 다음과 같은 중요한 요인들이 자리잡고 있다.
즉 영화 제작 과정상에서의 성공요인으로서 (1)고정관념의 타파, (2)우수한 인적요소, (3)영화와 마케팅의 결합 등이 그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요소들을 종합해 보면 치밀하고 체계적인 마케팅전략이 주요했음을 알 수 있다.
(1) 고정관념의 타파 : 현실적 사항이 아닌 가상공간에서의 정신적 사랑.
(2) 우수한 인적자원 : 인기 영화배우 캐스팅(한석규, 전도연..)
(설문조사를 통한 고객들의 의견 수용)
(3) 영화와 마케팅의 조화 : 루.리드/벨벳 언더그라운드와 Bach의 미뉴엣의 조화
(A Lover\'s Concerto 영화 접속의 주제가)치밀한
마케팅 전략과 탄탄한 영화 스토리 90년대
감수성의 새로운 사랑 이야기를 표방하는 멜로영화로 서 외로운 남녀의 심리와 정서를 살릴 수 있는 음악.
◎ 참고 문헌
http://mini7895.hihome.com/Movie_Html/movie_1997_korea.htm
http://www.wowad.co.kr/Templates/E/jsp/report/cnt/323.doc -
http://www.cineace.com/
http://www.cine21.co.kr/kisa/sec-001100105/2003/09/030927115101134.html
http://www.myungfilm.com/movie/info.asp?MovieSerial=10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7.10.17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23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