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등의 논의나 혹은 FTA가 타결 되었다, 부결 되었다, 등의 결론적인 단어들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생각된다. 다만 FTA협상이 진행중일때는 FTA를 반대하는 기사 일색이기도 했었는데 FTA가 타결되자 FTA협상의 정당성과 필요성을 강조하고 대통령의 결단력을 칭찬하기 바쁜 언론에 답답함을 느낄 뿐이다. 이제 앞으로 어떤 목적을 향해 갈 것이고, 농민들에게 분명히 발생할 불이익에 대해서는 어떤 대책을 세울 것인지 확실히 해 줌으로써 그들의 불안을 잠재워주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한미FTA의 성공의 열쇠는 타결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향후 관리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하느냐에 달려 있으며 이러한 때에 한미FTA의 경제적 영향을 면밀하게 분석하여 긍정적 영향을 최대로 활용하는 한편 부정적 영향을 줄일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전문적인 지식의 부족으로 구체적인 대안을 생각하는 것이 힘들지만 한미FTA로 피해가 예상되는 산업에 대해 구제 제도와 같이 사회적인 안전망을 확립해주는 것이 필요하고, 기술 집약적인 중소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해야 한다. 또 FTA를 통해 인적 시장의 국제화를 유도하고 국내 농업을 특산화, 기업화시킨다면 일정부분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이다.
추천자료
[독후감]쾌도난마 한국경제
[독후감]세계 경제 읽는 법
독후감, 독서감상문 - 유시민의 경제학 카페를 읽고
[우수평가독후감]위험한 경제학 서평.- 저자가 말하는 핵심 교훈과 시사점.
[A+평가독후감]2020 세계경제의 라이벌 독후감상문, 저자가 말하는 교훈과 시사점을 중심으로.
[A+평가독후감]불평등의 경제학 독후감상문, 저자가 말하는 교훈과 시사점을 중심으로.
[A+평가독후감]한국 경제 기회는 어디에 있는가 독후감상문, 저자가 말하는 교훈과 시사점을 ...
[독후감] 박영일의 <경제와 윤리>를 읽고
[독후감] 조군현의 <경제전쟁>을 읽고
[독후감] 버블 경제학(Subprime Solution) _ 로버트 쉴러(Robert J. Shiller) 저
[문화와 경제-독후감] ‘나쁜 사마리아인들’을 읽고 _ 장하준 저
[독후감] 새로운 경제권력 신용등급을 읽고
[독후감] ‘경제학 콘서트’를 읽고
[독후감] 『지방경제 새싹이 돋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