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살구-->/개/의 의미 확대 ([犬],[惡])
*공감각적 은유
[냉정함]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하기 위해 촉각을 나타내는 <차갑다>를 비유적으로 이용.
♡의미 사이의 인접성 때문에 명칭이 전이된 경우 ex)동궁, 머리/머리카락, 코/콧물(환유)
/머리/
환유
[頭]--(인접)--[頭髮]
[부분]⇒[전체]
입→가족, 손→사람, 코→얼굴
[특수]⇒[일반] 제유
홈런→대성공, 영감→노인
고유명사⇒보통명사
서울→수도, 강태공→낚시꾼
♡명칭 사이의 유사성 때문에 의미가 전이된 경우 -언중들의 욕구에 의한 민간어원.
/쵸마/--(유사)--/행주/
[짧은앞치마] [地名]
♡명칭 사이의 인접성 때문에 의미가 전이된 경우 -ex) 아침-아침밥 (명칭사이 인접)
/인간칠십/--(인접)--/고래희/
[나이70세] [古來稀]
(A) 언어의 보수성에 의한 변화 -ex)바가지
(B) 언어의 개신성에 의한 변화
(가) 명칭이 전이된 경우
① 의미 사이의 유사성 때문에 -은유
② 의미 사이의 인접성 때문에 -환유, 제유
(나) 의미가 전이된 경우
③ 명칭 사이의 유사성 때문에 -민간어원
④ 명칭 사이의 인접성 때문에
(다) 복합적 변화 -‘가리키다’와 ‘가르치다’, [指]와 [敎]
*공감각적 은유
[냉정함]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하기 위해 촉각을 나타내는 <차갑다>를 비유적으로 이용.
♡의미 사이의 인접성 때문에 명칭이 전이된 경우 ex)동궁, 머리/머리카락, 코/콧물(환유)
/머리/
환유
[頭]--(인접)--[頭髮]
[부분]⇒[전체]
입→가족, 손→사람, 코→얼굴
[특수]⇒[일반] 제유
홈런→대성공, 영감→노인
고유명사⇒보통명사
서울→수도, 강태공→낚시꾼
♡명칭 사이의 유사성 때문에 의미가 전이된 경우 -언중들의 욕구에 의한 민간어원.
/쵸마/--(유사)--/행주/
[짧은앞치마] [地名]
♡명칭 사이의 인접성 때문에 의미가 전이된 경우 -ex) 아침-아침밥 (명칭사이 인접)
/인간칠십/--(인접)--/고래희/
[나이70세] [古來稀]
(A) 언어의 보수성에 의한 변화 -ex)바가지
(B) 언어의 개신성에 의한 변화
(가) 명칭이 전이된 경우
① 의미 사이의 유사성 때문에 -은유
② 의미 사이의 인접성 때문에 -환유, 제유
(나) 의미가 전이된 경우
③ 명칭 사이의 유사성 때문에 -민간어원
④ 명칭 사이의 인접성 때문에
(다) 복합적 변화 -‘가리키다’와 ‘가르치다’, [指]와 [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