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규칙없는 게임’을 보고
1) 빛의 조절을 통한 효과
2)거울을 통한 화각 확장
3) 장면의 흔들림
4) 자동차 신 밖의 배경
5) 카메라 위치
6) 반전을 위한 준비, 심리적 시간
7)영화의 플롯과 반전
1) 빛의 조절을 통한 효과
2)거울을 통한 화각 확장
3) 장면의 흔들림
4) 자동차 신 밖의 배경
5) 카메라 위치
6) 반전을 위한 준비, 심리적 시간
7)영화의 플롯과 반전
본문내용
모르지만 )
그러나 결과는 엉뚱하게 나온다. 케인과 부인이 서로 총을 겨누는 초긴장의 상태에서 총구는 엉뚱하게 베라에게 가고 베라는 아름답지 못한 자세로 총알을 맞고서 쓰러진다.
여기서 긴장을 풀리지 않는다. 관객은 영문을 모른다. (머리좋은 관객이라면 모르지만 나는 여전히 긴장 상태에 있었다.) 그 다음의 부인과 케인의 대화를 통해 그제서야 이들이 만불을 위해 서로 짜고 베라를 살해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관객은 자신이 속았다고 분해하기 보다는 '아차!' 싶을 것이고 영화가 끝났음에도 자신의 생각을 다시 한번 정리한다. 이것이 감독의 의도였을 것이고 최소한 나한테 있어서는 적중했다.
신선한 규칙이 있는 영화,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는 15분의 서스펜스를 영화 '규칙 없는 게임'을 보고 느꼈다.
그러나 결과는 엉뚱하게 나온다. 케인과 부인이 서로 총을 겨누는 초긴장의 상태에서 총구는 엉뚱하게 베라에게 가고 베라는 아름답지 못한 자세로 총알을 맞고서 쓰러진다.
여기서 긴장을 풀리지 않는다. 관객은 영문을 모른다. (머리좋은 관객이라면 모르지만 나는 여전히 긴장 상태에 있었다.) 그 다음의 부인과 케인의 대화를 통해 그제서야 이들이 만불을 위해 서로 짜고 베라를 살해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관객은 자신이 속았다고 분해하기 보다는 '아차!' 싶을 것이고 영화가 끝났음에도 자신의 생각을 다시 한번 정리한다. 이것이 감독의 의도였을 것이고 최소한 나한테 있어서는 적중했다.
신선한 규칙이 있는 영화,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는 15분의 서스펜스를 영화 '규칙 없는 게임'을 보고 느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