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분석 영화 정보(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2. 주성요소 활용분석
1) 최루성 멜로 영화 : 계몽적 테마를 친근하게 담아내는 전략
2) 캐스팅 효과 : 사회적 동정심을 유발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꽃미남을 캐스팅했는가?
3) 자살 vs 살인
4) 가족에 의한 상처와 가족에 의한 치유
5) 강간범 vs 살인범
6) 사형제도의 모순
7) 종교의 이중성
8) 공간과 조명과 음악의 이분화

3. 사회적으로 끼친 영향
1) 공지영의 동명 소설 뒤늦은 베스트셀러 : 한국소설 4년 만에 베스트셀러 1위 탈환
2) 뉴스 보도 : 영화의 흥행 & 사형제 폐지의 날(10월 10일)

4. 부록(대중의 심층 인터뷰)

본문내용

(강원일보_06.10.20) “그 죄는 미워하되 죄인은 용서하라?
- 한국은 일본, 인도, 싱가포르 등과 함께 사형제 존치국 68개국 중의 하나로, 정부 수립 이래 900여명이 사형에 처해졌다. 최근 영화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이 흥행에 성공하면서 사형제 존폐 여부가 다시 논란이 되고 있다. … 사형수 출신인 유인태 열린우리당 의원이 대표 발의한 ‘사형페지에 관한 특별법’이 현재 국회 법사위에서 계류 중이다.
(강원일보_06.10.23) 사형제도 반대 편지쓰기 성황
- 사형제도 폐지를 위한 편지쓰기 마라톤 행사가 강릉에서 열렸다.
부 록
● 인터뷰 : 영화를 즐기지 않는 대상으로 잘못 선정하여 심층적인 답변을 이끌어내지 못함
성별
연령
직업
종교
결혼
학력(전공)
남성
1971년생
가족 문제 상담
기독교
기혼
대학원(상담, 신학)
● 영화를 보게 된 동기는?
지금 인터뷰하는 사람이 과제물 내야한다고 보자고 했다.
● 이 영화가 어떤 내용을 담은 영화라는 것을 미리 알고 있었는가?(공지영의 원작소설을 읽었는가?
읽지 못했다. 그냥 영화 포스터를 보고 남녀 간의 사랑을 다룬 슬픈 영화인줄 알다.
● 영화가 다 끝났는데 영화를 보고 난 느낌은?
법(사형제도)이 또 다른 살인자와 희생자를 낳고 있구나.
● 감독이 영화를 통해 중점적으로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직접적으로) 사형제도를 부정하여 고발하기보다는 (간접적으로) 사형제도의 맹점을 고발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 가장 인상적인 장면과 대사를 꼽는다면?
가장 인상적인 장면 : 마지막에 윤수가 애국가를 부르며 두려움을 떨치려했던 모습
가장 인상적인 대사 : “남들한테는 먼지만한 가시 같아도 그게 내 상처일 때는 우주보다 더 아픈 것이다.”
● 가장 공감이 가는 캐릭터가 있다면(이유)?
남자 주인공 : 가장 기본적인 안정망인 가족(엄마)에게서 버림받고, 삶의 유일한 희망이었던 사랑하는 사람에게서도 버림받고, 세상으로부터도 버림받아 결국은 이 사회에게서조차 사형을 통해 완전히 버림받은 주인공의 아픔에 공감이 간다.
● 평소 사형제도 또는 사형제도 폐지 논란에 관심이 있었는가?
관심 없었다.
● 영화를 보고 난 후, 사형제도에 대해 영화가 끼친 영향이 있다면?
무관심 했고 어쩌면 당연한 것으로 여겼던 사형제도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다. 사형제도 안에 심각한 맹점이 있다는 것이 희미하게나마 보이는 것 같다.
● 사형제도는 존속되어야 한다고 보는가, 폐지되어야 한다고 보는가(이유)?
영화를 통해 사형제도가 또 다른 아픔(사형수의 가족과 사행집행관 등)을 낳고 있다는 면에서는 폐지도 한 방법이 될 수 있다고는 생각하지만, 인면수심의 범죄에 대한 대처는 분명히 존재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범죄자에 의해 희생당한 사람의 인권은 이미 죽은 사람이니까 어쩔 수 없고, 비록 범죄자일지라도 아직 살아 있는 사람이라는 이유로 그 사람의 인권은 지켜져야 한다는 논리 또한 허점이 있어 보인다.
● 구약성경에 보면, 사형을 제도화하는 율법이 나오는데 사형제도가 필요하다는 개인의 생각은 신앙에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생각하는가?
성경에 나와 있기 때문에 사형제도 폐지에 반대한다는 생각은 해본 적이 없다. 본래 큰 관심이 없었으니까. 그러나 성경에도 제시되어 있는 제도라면 그 필요성에 대해서도 다시 한 번 생각해보고 싶다. 영화에서 사행집행 과정 중에 신부님이 참관하여 사행집행을 ‘돕는 모습’이 종교가 사형제도를 묵인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그것에 정당성을 실어주는 모습으로 그려지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 기타 : 나누고 싶은 말?
새삼 법의 목적은 집행이 목적인가, 계도가 목적인가 하는 물음이 생겼다.
  • 가격1,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7.10.27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39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