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서 맞장구의 기능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맞장구의 정의

2.맞장구의 기능

3.맞장구의 표현형식

본문내용

청자가 반복하는 형태이다. 반복한다라고 하는 것은 상대의 말을 듣고 있다는 표시이므로 이또한 기능적으로 맞장구 행동이라고 할 T 있다. 또 이야기의 진행을 돕는다는 점에서 맞장구의 일종으로 할 수 있다.
A: 日本料理は目で食べるとよく言われるんですよ。
B: はあ 目で食べるですか、おもしろい表現ですね。
예문에서 밑출친 부분은 화자의 발화내용의 일부를 반복하면서 다음의 발화 진행을 돕고 있다. 그리고 청자의 적극적인 자세에 화자는 다음 이야기의 전개가 용이 할수 있다. 또한 화자의 발화내용에 참가하고 기여함으로서 상대와 공감을 나누고 더 나아가 일체감을 높이며 회화속에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형태로 일본인의 언어 습성을 엿볼수 있다.
3.보강형태(환언)
화자의 발화 내용을 청자가 자신의 단어나 말로 재현하면서 보강하는 형태이다.청자가 사용하는 어구는 화자의 발화 내용과 같은 것은 아니지만 내용은 반복형태가 되는 셈이다. 내용을 반복한다는 것은 상대의 이야기를 듣고 있다 ,이야기를 진행을 돕는다 라고 하는 표시이므로 맞장구 행동의 일종이라고 할 수 있다.
1.A: 同じ年にはいったんですけど。
B: 同期生。
2.A: 今度日曜みんなでテニスするんだけど一に、、
B: ああ わたしスポツはあんまり、、
예문을 보면 화자의 발화에 적극 참여하고 있으며 화자의 발화 내용에 청자가 자신의 표현 방식으로 보강 보충함으로서 다음 발화 진행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표현형태이다. 예문1에서는 화자의 발화내용 전체를 청자자신의 단어로 재현하면서 보강하였고 예문2에서는 테니스를 스포츠라고 하여 발화 일부만을 청자가 자신의 표현으로 보강하였다.

키워드

  • 가격6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10.29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41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