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 론
II. 본 론
1. 인지주의
2. 수업이론의 기본 구성
(1) 선행경향성의 자극
(2) 지식의 구조
(3) 학습의 계열
(4) 강화
(5) 학습자 사고의 자극
3. 발견학습
(1) 발견학습의 의미
(2) 발견학습의 조건
(3) 발견학습의 과정
(4) 발견학습에서의 4가지 수업요건
(5) 발견학습 이론의 교육적 의의
4. 나선형 교육과정
III. 결 론
II. 본 론
1. 인지주의
2. 수업이론의 기본 구성
(1) 선행경향성의 자극
(2) 지식의 구조
(3) 학습의 계열
(4) 강화
(5) 학습자 사고의 자극
3. 발견학습
(1) 발견학습의 의미
(2) 발견학습의 조건
(3) 발견학습의 과정
(4) 발견학습에서의 4가지 수업요건
(5) 발견학습 이론의 교육적 의의
4. 나선형 교육과정
III. 결 론
본문내용
등지식과 전문가 수준에서의 고등 지식간의 간격을 좁힐 수 있다는데 있다. 브루너는 지식의 구조, 즉 학문의 기저를 이루고 있는 기본적인 아이디어나 원리를 이런 식으로 계속해서 반복적으로 심화시켜 가르침으로써 그 내용을 보다 깊게 이해할 수 있다고 한다.
Ⅲ. 결론
이렇게 해서 브루너에 대한 이론들을 살펴보았다. 학문중심 교육과정 운동의 기수였던 브루너의 교수이론은 그의 교육과정 사상의 영향력과 함께 주목을 끈다. 그는 아동의 재능을 최대한으로 실현하도록 조력하는 것을 수업의 본질로 보면서 지식 기술을 기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에 관한 법칙을 규정하는 것이 수업이론의 본질로 본다. 급변하는 사회, 지식의 폭발과 관련하여 학교 교육에 심각하게 제기되는 문제는 무엇을, 언제, 어떻게 가르치느냐 하는 것이다. 브루너의 교수이론은 우리에게 이러한 질문에 대한 하나의 탁월한 대답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 참고문헌
권성호, 『교육공학의 탐구』, 양서원, 1998.
김경배김재건이홍숙 공저, 『교과 교육론』, 학지사, 2001.
김대현,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학지사, 1996.
김정규이광자조정숙 공저, 『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 정민사, 1998.
박성익홍순정 공저, 『교수학습이론과 매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1999.
박태영,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의 이해』, 동아대학교출판부, 2001.
이홍우, 『Bruner』,교육과학사, 1988.
조성일 외 4명 공저, 『교육방법과 교육공학』, 동문사, 2002.
최동근양용칠박인우 공저, 『교육방법의 공학적 접근』, 교육과학사, 1997.
조화섭 『교육학』
Ⅲ. 결론
이렇게 해서 브루너에 대한 이론들을 살펴보았다. 학문중심 교육과정 운동의 기수였던 브루너의 교수이론은 그의 교육과정 사상의 영향력과 함께 주목을 끈다. 그는 아동의 재능을 최대한으로 실현하도록 조력하는 것을 수업의 본질로 보면서 지식 기술을 기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에 관한 법칙을 규정하는 것이 수업이론의 본질로 본다. 급변하는 사회, 지식의 폭발과 관련하여 학교 교육에 심각하게 제기되는 문제는 무엇을, 언제, 어떻게 가르치느냐 하는 것이다. 브루너의 교수이론은 우리에게 이러한 질문에 대한 하나의 탁월한 대답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 참고문헌
권성호, 『교육공학의 탐구』, 양서원, 1998.
김경배김재건이홍숙 공저, 『교과 교육론』, 학지사, 2001.
김대현,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학지사, 1996.
김정규이광자조정숙 공저, 『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 정민사, 1998.
박성익홍순정 공저, 『교수학습이론과 매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1999.
박태영,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의 이해』, 동아대학교출판부, 2001.
이홍우, 『Bruner』,교육과학사, 1988.
조성일 외 4명 공저, 『교육방법과 교육공학』, 동문사, 2002.
최동근양용칠박인우 공저, 『교육방법의 공학적 접근』, 교육과학사, 1997.
조화섭 『교육학』
추천자료
사회과 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정의 특징과 학습내용, 사회과 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정의 ...
[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정]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정 의미와 종류, 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
[과학교육과정][과학과수업][과학과학습]과학과(과학과교육) 현장학습, 과학과(과학과교육) ...
학습자중심교육(학생중심교육)의 정의와 특성, 학습자중심교육(학생중심교육)과 구성주의, 제...
수학(수학과)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 수학(수학과)교육과정의 수업환경, 수학(수학과)교육과...
영어교육과정(영어과교육과정)의 성격과 기본 방향, 영어교육과정(영어과교육과정)의 개정 중...
제7차교육과정의 특성, 제7차교육과정의 개정 배경, 제7차교육과정의 편성, 제7차교육과정의 ...
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정의 정의와 형태, 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정의 운영지침과 운영실...
수학과교육과정의 특성, 수학과교육과정의 목표, 수학과교육과정의 기본 방향, 수학과교육과...
학습자중심교육(학생중심교육) 정의와 운영 기초, 학습자중심교육(학생중심교육)과 특수교육...
기술가정교육과정(기술가정과교육과정)의 목표와 개정중점, 기술가정교육과정(기술가정과교육...
초등학교 영어과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 초등학교 영어과교육과정과 인터넷활용교육과 TEE정...
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정(수업)의 정의와 쟁점, 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정(수업) 교수학습...
[교육과정] 아동과 교육과정 - 학습자와 경험 중심의 교육과정 (듀이 이론, 존 듀이의 아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