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절별 수온약층의 변화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수온(Water Temperature)
1. 수온의 변화
2. 수온 변화의 요인

Ⅲ. 수온변화에 따른 연직구조
1. 혼합층(Mixed Layer)
2. 수온약층(Thermocline)
3. 심해층(Deep Zone)

Ⅳ. 결론(위도에 따른 해수의 연직구조 변화)

【 부 록 1 】내용출처

본문내용

, 심해층으로 나눌 수 있다. 하지만 위의 3가지 층은 위도와 계절에 따라 약간씩 바뀌는데, 그 이유를 알아보자.
혼합층의 생성 여부는 바람의 세기에 따라 달라지므로, 이 층은 바람이 센 쪽 즉 고기압이 잘 발달한 중위도 지역에서 두껍게 나타난다. 이는 풍속이 크면 해수의 아랫부분까지 해수를 잘 섞어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수온약층의 생성은 저층과 표층의 온도 차이 때문이다. 저층의 수온은 저위도중위도고위도 할 것 없이 거의 동일하다. 하지만, 표층의 수온은 태양에너지로 인하여 각각 차이가 있다.
저위도의 경우, 해수면의 온도가 타 지역보다 매우 높다. 상대적으로 높았던 수온이 수심의 증가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다가, 어느 순간 급격히 떨어지게 되면서 수온약층의 두께가 매우 얇아지는 것이다.
중위도에서는 적당한 표층의 수온으로, 수온이 급격히 변하지 않는 깊이가 저위도에 비해 얕기 수심이 깊지 않다.
때문에 수온약층의 두께가 두꺼워 지는 것이다.
그리고, 고위도에서는 저위도중위도에 비해서 표층의 수온이 상대적으로 매우 낮기 때문에 수온약층이 거의 생성되지 않는다.
계절적인 요인에 있어서, 여름철보다 겨울철이 수온약층이 거의 생기지 않는 이유는 태양복사에너지를 적게 받기 때문에, 표층의 수온이 여름철보다 상대적으로 낮아져 수온약층이 얇아지게 되는 것이다.
【 부 록 1 】내용출처
고철환박철유신재, 「해양생물학」, 서울대학교출판부, 2002
John A. Knauss 원저, 안희수오임상 공역, 「물리해양학」, ∑시그마프레스(주),
2004
동아일보, www.donga.com
인테넷 검색 참조...

키워드

  • 가격6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11.02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47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