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투 표 행 태
1. 유권자요인
(1) 정당일체감(party identification)
(2) 정책쟁점(policy issue)
(3) 사회경제적 배경
2. 후보자 요인
Ⅱ. 투표모형
1. 미시간 학파 모형
2. 사회학적 모형
3. 다운즈의 공간 이론
4. 합리적 투표선택 모형
Ⅲ.2002년 대통령 선거에 나타난 투표행태
1. 지역주의의 유지 혹은 변화
2. 세대 요인.
3. 변화에 대한 국민들의 열망이 정치권에 반영
4.역대 대선에 비해 낮은 투표율 특징
Ⅳ. 17대 총선에 나타난 투표행태
1. 17대 총선의 특징
2. 분석
1. 유권자요인
(1) 정당일체감(party identification)
(2) 정책쟁점(policy issue)
(3) 사회경제적 배경
2. 후보자 요인
Ⅱ. 투표모형
1. 미시간 학파 모형
2. 사회학적 모형
3. 다운즈의 공간 이론
4. 합리적 투표선택 모형
Ⅲ.2002년 대통령 선거에 나타난 투표행태
1. 지역주의의 유지 혹은 변화
2. 세대 요인.
3. 변화에 대한 국민들의 열망이 정치권에 반영
4.역대 대선에 비해 낮은 투표율 특징
Ⅳ. 17대 총선에 나타난 투표행태
1. 17대 총선의 특징
2. 분석
본문내용
7석)
민주노동당 - 10석 2+8 (16대 0석)
새천년민주당 - 9석 5+4 (16대 61석)
자유민주연합 - 4석 4+0 (16대 10석)
무 소 속 - 2석 2+0
국민통합21 - 1석 1+0
→열린 우리당이 과반수 여당, 한나라당이 2당으로 추락.
→진보정당인 민주노동당이 헌정사상 처음으로 원내진출
→민주당 추락
1. 17대 총선의 특징
① 1인 2표제 실시
1인 2표제 : 17대 총선부터 실시된 제도로, 유권자가 지지하는 지역구 후보와 지지하는 정당에 대해 각각 1표씩 총 2표를 행사하는 것. (16대 선거까지는 유권자 1인이 지지하는 후보 1명에게만 투표했었음) 17대 국회 총 의석 299석 중 243명이 지역구 국회의원으로 선출되고, 나머지 56석은 유권자들이 각 정당에 투표한 표수에 비례해 각 정당 의석이 배분됨.
② 정치신인의 대거 등장
- 젊어진 국회와 정치신인의 대거등장
30대 23명(8%) 초선 188명(63%)
40대 106명(35%) 재선 52명(17.3%)
50대 121명(41%) 3선 42명(14%)
60대 이상 49명(16%) 4선이상 9명(3%)
③ 여성의원 당선 ↑ : 처음으로 10%가 넘는 13%(39명)을 기록 (16대 : 5.86%)
→비례대표제 국회의원의 여성비율제(50%)
→한계점 : 비례대표에서 29명이 당선된 반면 지역구는 10명밖에 당선되지 못함
④ 인터넷 활용 ↑ : 인터넷에 정치행위의 공간 형성
2. 분석
- 전체적으로 유권자가 젊을수록, 정치적 효능감이 클수록, 진보적일수록, 노무현 정부에 대한 평가가 좋을수록, 전라도와 충청도 출신일수록, 탄핵에 반대할수록, 그리고 정치인 물갈이가 총선의 중요한 이슈라고 생각할수록 열린 우리당을 지지하는 경향
① 정치상황적 요인 : 탄핵 찬반의 쟁점선거 -
-탄핵에 찬성한 한나라당에 대해 열린 우리당이 집중적으로 유권자의 반대 여론을 동원하는 데 성공함으로써 열린 우리당이 약진했다는 논리.
② 사회경제적 요인
→사회적 불평등, 경제적 안정성의 상실→중산층 몰락, 빈곤층의 확대→기득권층에 대한 부정적 국민정서 확산→부패 및 독점에 대한 비판→엘리트에 대한 서민층의 정치적 불만은 노무현 대통령 및 열린우리당에 대한 지지로 연결
*수도권(서울, 경기) 지역의 투표행태에서도 잘 나타남
→ 고소득층의 밀집거주 지역 및 소득이 높은 층이 거주하는 선거구에서는 한나라당에 대한 지지가 높은 반면, 소득이 낮은 유권자들의 거주 지역일수록 열린 우리당이 선전
③ 지역주의에 기반한 투표 : 비례대표 선거에서의 영호남 지역의 선거양상
경상북도
한나라당 58.3% 새천년민주당 1.4% 열린우리당 23.0% 자민련 1.2% 민주노동당 12.0%
경상남도
한나라당 47.3% 새천년민주당 1.4% 열린우리당 31.7% 자민련 0.8% 민주노동당 15.8%
전라북도
한나라당 3.4% 새천년민주당 13.6% 열린우리당 67.3% 자민련 1.0% 민주노동당 11.1%
전라남도
한나라당 2.9% 새천년민주당 33.8% 열린우리당 46.7% 자민련 1.0% 민주노동당 11.2%
→지역별로 60~70%(영남), 80~90%(호남)에 육박하는 압도적 몰표가 나오던 과거에 비해 지지율 격차가 감소하기는 했으나 여전히 지역주의에 기반한 투표행태를 보이고 있음
*참고문헌
김웅진외, 2004, 현대정치학서설, 세영사
진덕규, 1993, 현대정치학, 학문과 사상사
박찬욱, 2005, 제17대 국회의원 총선거분석, 푸른길
강원택, 2003, 한국의 선거정치, 푸른길
안청시, 2000, 현대 정치경제학의 주요 이론가들, 아카넷
서울대 경제학과 86학번 서창녕님의 http://www.csuh.pe.kr/index.htm
거북이의삶 그리고 세상읽기 네이버블로그
http://blog.naver.com/kame1004?Redirect=Log&logNo=140015198956
*목차
Ⅰ.투 표 행 태
1. 유권자요인
(1) 정당일체감(party identification)
(2) 정책쟁점(policy issue)
(3) 사회경제적 배경
2. 후보자 요인
Ⅱ. 투표모형
1. 미시간 학파 모형
2. 사회학적 모형
3. 다운즈의 공간 이론
4. 합리적 투표선택 모형
Ⅲ.2002년 대통령 선거에 나타난 투표행태
1. 지역주의의 유지 혹은 변화
2. 세대 요인.
3. 변화에 대한 국민들의 열망이 정치권에 반영
4.역대 대선에 비해 낮은 투표율 특징
Ⅳ. 17대 총선에 나타난 투표행태
1. 17대 총선의 특징
2. 분석
*참고문헌
민주노동당 - 10석 2+8 (16대 0석)
새천년민주당 - 9석 5+4 (16대 61석)
자유민주연합 - 4석 4+0 (16대 10석)
무 소 속 - 2석 2+0
국민통합21 - 1석 1+0
→열린 우리당이 과반수 여당, 한나라당이 2당으로 추락.
→진보정당인 민주노동당이 헌정사상 처음으로 원내진출
→민주당 추락
1. 17대 총선의 특징
① 1인 2표제 실시
1인 2표제 : 17대 총선부터 실시된 제도로, 유권자가 지지하는 지역구 후보와 지지하는 정당에 대해 각각 1표씩 총 2표를 행사하는 것. (16대 선거까지는 유권자 1인이 지지하는 후보 1명에게만 투표했었음) 17대 국회 총 의석 299석 중 243명이 지역구 국회의원으로 선출되고, 나머지 56석은 유권자들이 각 정당에 투표한 표수에 비례해 각 정당 의석이 배분됨.
② 정치신인의 대거 등장
- 젊어진 국회와 정치신인의 대거등장
30대 23명(8%) 초선 188명(63%)
40대 106명(35%) 재선 52명(17.3%)
50대 121명(41%) 3선 42명(14%)
60대 이상 49명(16%) 4선이상 9명(3%)
③ 여성의원 당선 ↑ : 처음으로 10%가 넘는 13%(39명)을 기록 (16대 : 5.86%)
→비례대표제 국회의원의 여성비율제(50%)
→한계점 : 비례대표에서 29명이 당선된 반면 지역구는 10명밖에 당선되지 못함
④ 인터넷 활용 ↑ : 인터넷에 정치행위의 공간 형성
2. 분석
- 전체적으로 유권자가 젊을수록, 정치적 효능감이 클수록, 진보적일수록, 노무현 정부에 대한 평가가 좋을수록, 전라도와 충청도 출신일수록, 탄핵에 반대할수록, 그리고 정치인 물갈이가 총선의 중요한 이슈라고 생각할수록 열린 우리당을 지지하는 경향
① 정치상황적 요인 : 탄핵 찬반의 쟁점선거 -
-탄핵에 찬성한 한나라당에 대해 열린 우리당이 집중적으로 유권자의 반대 여론을 동원하는 데 성공함으로써 열린 우리당이 약진했다는 논리.
② 사회경제적 요인
→사회적 불평등, 경제적 안정성의 상실→중산층 몰락, 빈곤층의 확대→기득권층에 대한 부정적 국민정서 확산→부패 및 독점에 대한 비판→엘리트에 대한 서민층의 정치적 불만은 노무현 대통령 및 열린우리당에 대한 지지로 연결
*수도권(서울, 경기) 지역의 투표행태에서도 잘 나타남
→ 고소득층의 밀집거주 지역 및 소득이 높은 층이 거주하는 선거구에서는 한나라당에 대한 지지가 높은 반면, 소득이 낮은 유권자들의 거주 지역일수록 열린 우리당이 선전
③ 지역주의에 기반한 투표 : 비례대표 선거에서의 영호남 지역의 선거양상
경상북도
한나라당 58.3% 새천년민주당 1.4% 열린우리당 23.0% 자민련 1.2% 민주노동당 12.0%
경상남도
한나라당 47.3% 새천년민주당 1.4% 열린우리당 31.7% 자민련 0.8% 민주노동당 15.8%
전라북도
한나라당 3.4% 새천년민주당 13.6% 열린우리당 67.3% 자민련 1.0% 민주노동당 11.1%
전라남도
한나라당 2.9% 새천년민주당 33.8% 열린우리당 46.7% 자민련 1.0% 민주노동당 11.2%
→지역별로 60~70%(영남), 80~90%(호남)에 육박하는 압도적 몰표가 나오던 과거에 비해 지지율 격차가 감소하기는 했으나 여전히 지역주의에 기반한 투표행태를 보이고 있음
*참고문헌
김웅진외, 2004, 현대정치학서설, 세영사
진덕규, 1993, 현대정치학, 학문과 사상사
박찬욱, 2005, 제17대 국회의원 총선거분석, 푸른길
강원택, 2003, 한국의 선거정치, 푸른길
안청시, 2000, 현대 정치경제학의 주요 이론가들, 아카넷
서울대 경제학과 86학번 서창녕님의 http://www.csuh.pe.kr/index.htm
거북이의삶 그리고 세상읽기 네이버블로그
http://blog.naver.com/kame1004?Redirect=Log&logNo=140015198956
*목차
Ⅰ.투 표 행 태
1. 유권자요인
(1) 정당일체감(party identification)
(2) 정책쟁점(policy issue)
(3) 사회경제적 배경
2. 후보자 요인
Ⅱ. 투표모형
1. 미시간 학파 모형
2. 사회학적 모형
3. 다운즈의 공간 이론
4. 합리적 투표선택 모형
Ⅲ.2002년 대통령 선거에 나타난 투표행태
1. 지역주의의 유지 혹은 변화
2. 세대 요인.
3. 변화에 대한 국민들의 열망이 정치권에 반영
4.역대 대선에 비해 낮은 투표율 특징
Ⅳ. 17대 총선에 나타난 투표행태
1. 17대 총선의 특징
2. 분석
*참고문헌
키워드
추천자료
비정규직노동자의 실태에 관한 조사와 대선후보들의 극복방안 분석
[보도 성향 분석]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울시장 후보 강금실과 오세훈을 조명하는 언론사의 보...
당신은 대선후보 중 누구를 지지하는가
제 2차 교육에 관한 정동영,이명박 후보의 정책에 관한 발언의 화용론적 분석
사료섭취량, 지방, 성장과 관련되어 있는 돼지형질 후보유전자, Melanocortin - 4 Receptor(M...
[여성정책][의제발굴][여성고용정책]여성정책의 의제발굴, 여성정책과 여성고용정책, 여성정...
[기업형태] 기업의 일반형태(사기업 및 공기업과 공사공동기업)와 복합형태, 중소기업의 경영
[소논문] 2012 대선후보 3인(문재인, 박근혜, 안철수)에 대한 언론 보도 성향 분석 - 경향신...
[헌법] 우리나라(한국) 선거와 관련하여 {지방선거와 정당공천, 정당 내 민주주의, 영-호남 ...
17대 총선 - 부동층의 의미와 개정된 선거법 (구로갑 민주당 후보를 중심으로)
[창업절차] 점포개발 절차(점포개발의 순서 - 물건정보수집, 후보점포조사, 입지조사-입지분...
지방선거제도 (후보자 공천제도와 관련하여)